View : 1383 Download: 0

조선과 명 · 청 직물에 나타나는 과실문양 연구

Title
조선과 명 · 청 직물에 나타나는 과실문양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Fruit Pattern on the Textiles of Joseon and Ming · Qing
Authors
전은정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나영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시대와 중국의 명 ․ 청시대의 직물에 나타나는 과실문양(果實紋樣)의 종류와 조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출토복식 조사보고서와 박물관 도록, 국내 ․ 외 단행본을 통해 수집한 조선시대 직물 200점과, 명 ․ 청시대 직물 142점을 고찰하였다. 중국의 유물의 경우 국내에서 접할 수 있는 단행본에 의존하였기 때문에 명 ․ 청대의 전체 직물문양을 고찰하는데 한계를 지닌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식물문양에 속하는 과실문양은 길상(吉相)의 의미를 담아 즐겨 사용한 문양이다. 직물의 문양으로 사용된 과실문양에는 복숭아, 석류, 불수감, 포도, 호리병박, 여지, 계원, 과, 천죽문양 등이 있다. 조선시대 직물에서 과실문양은 직조(織造), 금박(金箔), 자수(刺繡) 등의 기법을 통해 직물에서 표현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은은한 스민문[暗花紋]을 선호하였기 때문에 대다수의 경우 문양은 직조(織造)의 방식으로 표현되었다. 직조 직물로 표현되는 복숭아문양과 석류문양은 구성과 배치방법 등에서 같은 시기의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 이 두 문양은 18세기를 전후하면서 굵은 가지가 사선으로 직물전체를 관통하는 충전형의 구도로 표현되다가, 불수감문양과 합해져 조선말기 다수(多壽), 다남(多男), 다복(多福)의 의미를 가진 ‘도류불수문(桃榴佛手紋)’으로 즐겨 사용되었다. 포도문양은 포도동자문과 부귀와 자손의 번성을 기원하는 포도다람쥐문의 도안으로 사용되었다. 출토복식에서 ‘오호로문(五胡虜紋)’의 형태로 발견되던 호리병박문양은 조선 말기가 되면 생고사나 숙고사에서 원형의 수자(壽字), 박쥐, 나비 등과 함께 시문되어 도류불수문과 더불어 즐겨 사용되었다. 금박 기법으로 표현되는 과실문양은 당의, 치마, 원삼, 댕기, 굴레 등에 시문되며 대부분 여성복식에 한정되었다. 금박에 사용된 과실문양은 정해진 공간 안에 문양을 표현해야했기에 단순화된 형태로 많이 나타났다. 자수로 표현된 과실문양에는 복숭아, 석류, 불수감문양 등이 있으며 이들은 활옷, 흉배, 여러 가지 생활소품에 표현되었다. 자수는 직조와 금박의 문양과 비교하여 보다 다양한 곳에 자유로운 형태로 표현되었다. 명 ․ 청대 직물에서 과실문양은 직조(織造), 자수(刺繡) 등을 기법으로 표현되었다. 스민문을 선호한 조선 직조 직물과 다르게 중국에서는 다양한 색의 실을 사용하여 화려하게 표현한 직조 직물이 많이 사용되었다. 조선 직조 직물에서 볼 수 있는 포도다람쥐문, 오호로문, 중국에서 삼다문으로 불리는 도류불수문 등 공통된 도안도 발견되나, 그 표현에 있어서는 차이를 가진다. 조선에서 거의 발견되지 않았던 과문양(瓜紋樣) 천죽문양(天竹紋樣)이 명 ․ 청에서는 상대적으로 즐겨 사용되었다. 과문양은 호랑나비와 함께 구성한 도안인 ‘과질면면(瓜瓞緜緜)’으로 즐겨 사용되었다. 과질면면문은 자손이 번성하여 끊임없이 이어지기를 축원하는 도안이다. 천죽은 대부분의 경우 수선화와 함께 시문되어 장수하기를 축원하는 천선수지(天仙壽芝)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중국에서는 자수기법을 사용해 관복 뿐 아니라 의복, 종교복식, 생활 소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직물에 과실문양을 표현하였다. 용포 등의 관복과 흉배에서는 복숭아문양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팔단의 보(補), 의복의 바탕직물, 소매의 장식, 소품 등에 삼다문이나 자손이 번성하길 바라는 과질면면문(瓜瓞緜緜紋) 등의 길상도안이 자주 등장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조선과 명 ․ 청은 공통적으로 길상의 의미로 과실문양을 즐겨 사용하였다. 조선과 명 ․ 청 과실문양의 구성방법은 양국에서 모두 과실문양만이 사용되는 단독형보다, 다른 문양과 함께 구성된 복합형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선호하는 문양의 종류도 일부 차이를 보이며, 구성과 표현에서도 취향의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류가 많았던 한국과 중국에서 공통적으로 즐겨 사용했던 과실문양이 양 국에서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졌는가를 살피는 것이다. 본 연구가 동일한 문화권에 속하는 중국과 일본의 문양의 비교 연구에 도움이 되어, 우리 고유 문양을 발전시키는데 이바지하기를 기원한다. ;This study is about the fruit pattern(果實紋樣) on the textiles during Joseon(朝鮮) Dynasty and Ming(明) ․ Qing(淸) Dynasties. In the case of Chinese relics, the dependence on the books which I may encounter in Korea sets the limit to the investigation of the overall fabric pattern in the Qing Dynasty. Fruit pattern belonging to the plant pattern is the pattern which was a lot used to suggest the meanings of being auspicious(吉相). The fruit pattern used in textiles include the patterns of peach, pomegranate, Buddha's Hand, grape, bottle gourd, litchi, longan, gwa(瓜), and Nandina(天竹). The fruit patterns in the Joseon Dynasty were expressed by the techniques of weaving(織造), gilding(金箔), and embroidery(刺繡) in the fabric. The patterns of peach and pomegranate expressed in woven fabrics show a similar trend in the configuration and arrangement method and the like at the same period of time. These two patterns had been expressed in the composition of the infilled type that thick branches penetrates across the entire fabric around the 18th century and these patterns added by the pattern of Buddha's Hand, called the doryubulsu(桃榴佛手), were a lot used to suggest the longevity(多壽), delivery of boys(多男), and great happiness(多福)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e grape pattern was used in the pattern of grapges and boys figure pattern and the pattern of grapes and squirrels to suggest the prosperity of wealth and offspring. The gourd pattern in the form of 'the pattern of 5 gourds'(五胡虜紋) found in excavated costumes with the patterns of character Su(壽字), bats, butterflies was a lot used in the Saenggosa(生庫紗) and Sukggosa(熟庫紗) along with the pattern doryubulsu(桃榴佛手)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Fruit patterns represented by the technique of gilding were in most cases limited to ladies' trimmings patterned in the Dangui(唐衣), Chima(skirt), Wonsam(圓衫), Daengi, Gulle. Fruit pattern in the gilding must be represen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only to be in the simplified forms. The fruit pattern represented in the embroidery included the patterns of doryubulsu, which were expressed in the Hwalot, Hyungbae(胸背), and many other life props. The patterns represented in the embroidery, compared to the those in weaving and gliding, represented themselves in the free style at a wider variety of places. Fruit patterns in the Ming and Qing Dynasty were represented in the manner of weaving (織造) and embroidery (刺繡). The common patterns such as the pattern of grapes and squirrels and the pattern of 5 gourds which are found in the Joseon woven fabric, and the pattern of peach, pomegranate and Buddha's Hand called the pattern of Samda(三多) in China are found, but they had some difference in their expression. The pattern of gwa and of Nandina are relatively a lot used in the Ming and Qing Dynasty. The pattern of gwa was a lot used as the pattern of Gwajilmyonmyon(瓜瓞緜緜) configured with tiger swallowtail. The pattern of Gwajilmyonmyon is a pattern for the prosperity of descendants and the unbroken family line. Nandina in most cases, patterned with daffodils are used in the sense of Cheonseonsugi(天仙壽芝) which suggests the longevity. In China, fruit patterns were represented by the techniques of embroidery in a variety of fabrics ranging from the official uniform to clothes, religious costume, and life props. The pattern of peach was a lot used in the official uniform such as Yongpo(龍袍) and the like and Hyungbae, and the auspicious patterns such as the pattern of Samda and the pattern of Gwajilmyonmyon for the prosperity of descendents is frequently found in the Bo(補), the base textile of clothes, decorative sleeves, props. As described above, fruit pattern as auspicious one was a lot used in Joseon as well as Ming and Qing. The complex type mixed with fruit pattern and other patterns rather than the types only of fruit pattern in the composition of the patterns was dominant in both countries. However, some of the differences in the type of preferred pattern are found, and in the taste of its composition, and its expression to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common fruit patterns a lot used in the two countries, Korea and China whose interactions have been made frequently. I hope for this study to be helpful to the comparative studies on the patterns of China and Japan which belong to the same culture area and to contribute to develop our unique patter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