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8 Download: 0

한국 수출 가공식품 아이덴티티를 위한 한글의 특징을 담은 영문레터링 개발연구

Title
한국 수출 가공식품 아이덴티티를 위한 한글의 특징을 담은 영문레터링 개발연구
Other Titles
Study on English Lettering having Hangeul Characteristics for Identity of Korean Processed Food : Focusing on the Korean Processed Food For Exports
Authors
김가형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수진
Abstract
한국식품의 가치와 인식은 매우 높아진 반면, 외국 소비자들에게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포장재의 한국식품 표기법은 불분명한 표기로 인해 외국 소비자가 구매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해외에 유통되고 있는 한국 상품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한글을 모르는 외국인들로서는 정확히 어떤 상품인지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특히 외국인에게 생소한 한국 고유 전통 가공식품은 외국 소비자의 정확한 인식을 위해 품목별로 동일 제품명과 제품설명을 표기하여야 하지만 각 브랜드별로 제품명도 브랜드마다 다르게 영문으로 표현함으로써 식품을 구매하는 외국 소비자에게 명확하게 인식시키지 못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 비슷한 품목의 김, 미역, 다시마, 파래는 ‘Seaweed' 로 통칭해서 표기하지만, 일본은 각각의 식품을 세분화 시켜 미역은 자국어인 ‘Wakame'로, 김은 ‘Nori', 다시마는 ‘Konbu' 로 철저히 세분화하여 빈틈없는 상품 홍보 및 상품명 선점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그러므로 외국 소비자에게 한국 수출 가공 식품을 인식시키고 해외시장 개척 및 현지 판매 확대를 유인할 수 있는 상품의 표기법에 대한 전략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 대표 수출 가공식품의 기업 브랜드별 영문표기 현황을 분석하고 일본의 수출 가공식품 고유상품명 표기법 사례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장기적인 안목에서 현지 상황에 맞추어 국산 제품명을 부각시킬 수 있는 한국 가공식품 표기법에 관한 외국인 선호도 이미지 조사를 주요 수출 대상국인 미국, 중국, 일본과 기타국가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 수출 가공식품의 영문 레터링 표기법에 대한 문제점 해결을 위하여 한·중·일 수출 가공식품에 대한 영문레터링 특징을 비교 분석 하였고,한국 대표수출 가공식품의 영문표기에 대한 한국적인 제품명의 성격 부여를 위하여 한글의 특징을 담은 영문레터링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디자인 개발을 위해 먼저 외국문자의 조형성을 담은, 즉 일본의 히라가나, 인도의 데바나가리, 아랍의 아라빅, 태국의 타이문자 형태를 접목한 한글의 사례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한글의 특징을 구조적, 조형적으로 분석하고 장식적 요소를 갖춘 한글의 서체를 분석하였다. 한글의 특징을 담은 한국수출 전통 가공식품의 영문레터링 디자인 개발을 위해 한국적 이미지를 담은 붓글씨의 첫돌기와 맺음의 부드러운 곡선의 특징을 살린 영문 레터링 디자인을 제작하였고, 제작된 디자인을 특정 브랜드에 국한되지 않고 전통 가공 수출식품인 고추장, 된장, 간장의 영문서체와 잘 어울리고 한국적 이미지를 표현 할 수 있는 Application 적용을 위해 전통가공 수출식품의 장류에 대한 상품 라벨을 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수출 가공식품의 브랜드 가치를 이끌어내고, 디자인적 가치가 내표되어 개발된, 이미지를 통해 국제적 경쟁력 제고를 이루고 소비자에게 일관된 이미지를 효율적인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으로 전달하여 우리 상품명을 세계적으로 차별화 할 수 있는 글로벌화 대안과 그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Values and recognitions on Korean food have been much enhanced, however, foreign consumers have many difficulties in purchasing owing to unclear notation of Korean food packing materials directly connected to overseas consumers. Through in-depth examination of Korean products distributed to overseas including USA, it shows that foreigners who don't know Hangeul hav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m correctly. Particularly, as for Korean traditional processed food unfamiliar with foreigners, identical product name and description by item have to be marked in order for foreign consumers to recognize correctly. However, it fails in achieving clear recognition of foreign consumers who purchase food since product name is expressed in English differently from each brand. Besides, while laver, sea mustard, kelp and green laver of similar items are marked as 'Seaweed' commonly in our nation, Japan gives thorough food segmentation, calling sea mustard ‘Wakame', laver 'Nori', kelp ‘Konbu' in Japanese and commanding a pre-emptive strategy for product name with complete product PR. Therefore, it's required to have a strategy for product notation to make foreign consumers recognize Korean processed food and induce foreign market development and local sales expansion. This study analyzed present conditions of English lettering notation by corporate brand for Korean representative exported process food and examined notation cases of Japanese processed food. Furthermore, a survey for foreigners' preference image was conducted on Korean processed food notation to emphasize a domestic product name fitting for the local situation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rough dividing into main export target nations including USA, China, Japan and others. Based on research data, in order to solve problems of English lettering notation of Korean exported process food, it compared ․ analyzed English letter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nese·Japanese processed food. Also it developed an English lettering design having characteristics of Hangeul to characterize Korean own product name in English lettering notation of Korean representative processed food. For design development, it surveyed cases of Hangeul grafting character forms including Japanese Hiragana, Indian deva-nāgarī, Arabic, Thai and having formativeness of foreign characters. Also, it analyzed Hangeul characteristics structurally and formatively in addition to a style of Hangeul having decorative elements. In order to give characteristics of Hangeul to Korean traditional processed food, English lettering design was manufactured, making the most use of gentle curve characteristics of initial and ending serif in calligraphy having Korean design. In addition, product labels were manufactured on traditional processed food, especially on fermented soy products including Gochujang, Doenjang and Soy sauce for application to express Korean images and match with their English lettering styles without limiting to particular brand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at inducing brand values of Korean processed food and rais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images developed with implied design values. In the end, it aims at presenting alternatives and improvements for globalization to differentiate our product name through providing consumers with consistent images by efficient visual communi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