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15 Download: 0

현대도시의 타자화된 욕망에 관한 시각 표현 연구

Title
현대도시의 타자화된 욕망에 관한 시각 표현 연구
Other Titles
An Expressive Study on Desire of Otherness in Modern City : Focusing on Reconceptualization through Borrowing
Authors
김영실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수진
Abstract
도시는 인류의 삶의 공간, 문명의 중심지이자 시대의 의식을 반영하는 거울이다. 인간의 사회적 활동은 도시 구조의 형성에 영향을 주며 그렇게 생성된 도시 구조 체계는 새로운 사회 질서와 관계를 재생산하고 인간의 삶에 영향력을 행사한다. 그러한 가운데 21세기 자본과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도시를 둘러싼 근대적 패러다임의 급격한 전환을 일으키며 인간이 도시공간을 인식하는 관점을 변화시킨다. 그로 인해 도시와 인간은 새로운 관계를 맺게 되고, 그 특성을 반영한 이른바 ‘소비사회’ 라고 일컬어지는 대중사회가 도시공간에 형성된다. 소비사회에서 인간은 생산이 아닌 소비 행위를 통해 정체성을 획득하고자 하며, 마찬가지로 도시공간 역시 인간의 소비 활동에 의해 공간의 정체성이 규정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정체성 획득의 방식은 인간과 도시의 위기를 가져오는 원인으로 지목된다. 기호적 소비 행위가 주체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것은 인간과 도시의 주체가 자연스럽게 자본의 욕망에 귀속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으며, 그로 인한 현상인 정체성 상실의 문제와 대면하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세계화로 인한 도시 간의 무한 경쟁 체제는 도시공간의 물신화를 가속시키고 전 세계적인 도시 판촉을 조장하고 있다. 이에 도시는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왜곡된 충족의 형태인 환상을 끊임없이 생성해낸다. 환상은 자본의 불완전함을 은폐하고 욕망을 계속해서 지탱하는 힘으로 도시 주체는 그러한 환상에 현혹되어 정체성 회복을 위한 어떠한 조치도 내리지 못한 채 도시로부터 소외된다. 이러한 정체성 상실의 문제는 인간의 삶의 방식과 인식의 변화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도시의 수많은 문제적 현상으로 표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의 원인인 도시의 욕망을 감지하고 분석하는 것은 자본의 욕망에 의해 상실된 도시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피상적으로만 보이는 도시와 인간의 삶을 구체화시켜 이해하는 바탕이 된다. 라캉의 이론에 따르면 인간의 삶을 이끄는 것의 근원은 욕망이며, 인간 행위의 산물인 도시의 변화를 이끄는 것 역시 다름 아닌 욕망이다. 그런데 이러한 욕망은 본질적으로 ‘타자의 욕망’이며, 결코 충족될 수 없다. 라캉은 절대적으로 ‘채워지지 않는 것’이 특징인 욕망으로 인해 인간은 끊임없이 결핍을 느끼며 살아가기 때문에 인간 존재 자체를 근원적으로 결핍과 부재, 분열의 존재라고 말한다. 도시의 변화와 위기를 야기하는 도시의 정체성 상실의 원인 또한 이러한 욕망의 특성을 통해 찾을 수 있다. 도시는 자본의 욕망에 포획되어 그것을 충족시키기 위한 환상을 만들어낸다. 도시의 경관과 상징이미지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타자화된 욕망이 투영된 도시 공간에서 도시의 장소와 이미지는 보여지기 위한 대상으로만 간주되며 도시마케팅을 위한 재료가 될 뿐이다. 무한대로 재생되는 욕망은 도시를 환상으로 가득 찬 거대한 환영으로 재탄생시킨다. 결과적으로 도시를 삶의 공간으로 여겨왔던 도시민은 도시의 환영 속에서 소외와 결핍만을 경험하게 된다. 그들은 도시의 주체지만 그 존재감을 드러낼 수 조차 없으며 진정한 삶의 공간을 상실하게 된다. 이것이 자본에 포획된 욕망의 고리를 끊어야하는 명백한 이유다. 연구자는 현대 도시공간의 근본적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 욕망이론을 바탕으로 도시를 해석하고 인간과 도시의 관계를 재정립하고자 한다. 또한 타자화된 욕망이 투영된 도시공간에서 정체성 획득을 위해 만들어내는 환상과 이미지를 구체화하고 시각화 작업으로 승화시켜 현대 도시에 존재하는 욕망에 의한 허구적 환상물에 대해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그 표현 방법을 제안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모든 현상은 한가지 편파적인 측면만 갖는 것이 아닌 보는 관점이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속성을 가진다. 즉 현상과 사물은 평면이 아니고 입체의 형태를 지니며 특정 가치관이 투영되고 재구성된 세계는 현상의 한 면에 불과하다. 이에 현상을 보다 총제적으로 파악하고사유하기위해서는다양한가치관이모인전체의면을볼수있어야한다.본 연구자는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도시에 실재하는 현상이 제공한 이미지를 차용하고 이를 변형, 해체, 재배열함으로써 현상의 다른 면을 보다 입체적인 각도로 바라볼 수 있도록 시각화하는 것을 시도했다. 그 표현의 방법으로 도면 형식의 차용을 중심에 두고 있는데, 이것은 작품의 시각화 방법은 물론 의미에도 의의가 있다. 도면은 다른 말로 ‘Blue print’, 즉 미래를 계획하는 청사진을 의미하기도 한다. ‘청사진을 그리다’ 라는 말이 있듯, 도면에 나타내는 대상은 계획이기 때문에 늘 이상적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자본의 욕망이 투영된 도시의 산물은 그것이 도시 공간에 재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그 존재가 환영이자 이상, 즉 도시의 환상으로서만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하기 위해 그 대상을 다시 청사진에 위치시켰다. 이러한 도시의 환상은 도시경관과 도시브랜드 슬로건으로 규정한다. 그리고 그 대상이 자본의 욕망만을 충족시키기 위해 감추고 있는 다른 면들을 도면의 시각적 특성을 활용해서 드러내고 새롭게 시각화하였다. 이처럼 도면은 도시의 환상을 청사진에 위치시켜 타자화된 욕망을 품은 계획이 현실 도시에 재현되었을 때 얻게 되는 균열과 간극을 극적으로 시각화하는데 활용하였다. 하나의 현상에 대한 다른 관점을 유도하는 방법은 수용자로 하여금그현상의다른면에주목하게하는것이다.이에연구자는도시공간에환상을 걷어내고 그것을 생성해내는 근원인 도시의 타자화된 욕망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적 접근을 시도하여 그동안 관조했던 도시의 문제를 인식하고 새로운 도시 담론에 대한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A city is a space of human life, a center of the civilization and a mirror reflecting the periodic awareness. Human social activities have an effect on establishment of an urban structure, and the resulting urban structural system reproduces a new social order and rela- tion, influencing on the human life. Hence, swift development of the 21st century’s capital and technology causes a rapid transformation of a modern paradigm surrounding a city, changing a perspective human beings perceive an urban space. So, city and human form a new relationship and a mass society called a ‘consumption community’ reflecting such characteristics is shaped in an urban space. In the consumption community, human beings try to acquire their identity not through production but through consumption behaviors and similarly urban space has a character- istic that its identity is defined by human consumption activities. Such a method of identity acquisition attracts attention as a cause of human and urban crisis. Defining of the subject’s identity by the consumption of taste had a consequence that human and urban subjects were naturally attributed to desire of capital, making them face an issue of identity loss. Besides, unlimited competition system among cities caused from the globalization is ac- celerating fetishism of the urban space and fostering global city promotion. Therefore, cit- ies produce continually illusion of the distorted satisfaction to have competitive advantage. Illusion is the power to hide imperfection of the capital and sustain the desire constantly, and urban subject is dazzled by such an illusion and alienated from the city while taking no measure for recovering the identity. Such an issue of identity loss has a powerful effect on way of life and change of recognition for human beings, expressed as numerous prob- lematic phenomena. Accordingly, as a cause of such an problem, sensing and analyzing urban desire form a basis for recovering urban identity lost by the desire of capital and understanding human and urban life seemingly superficial through the specification. Ac- cording to the theory of Lacan, the origin of human life is a desire and it is also desire that leads to changes of a city, a product of human actions. However, such a desire is essentially a ‘desire of others’ and can’t be satisfied at all. Lacan mentioned that human beings live a life feeling the lack continually by the ‘unsatisfied’ desire and human itself is an existence of lack, absence and disruption. A cause of urban identity loss causing a change and crisis of a city may be also found out from such characteristics of the desire. A city is seized by the desire of capital, making an illusion to satisfy it. Representative instances are urban scenery and symbolic images. In an urban space that desire of others is reflected, urban places and images are regarded as objects only for viewing and made materials for urban marketing. Desire reproduced indefinitely makes a city recreated as a huge phantasm full of illusions. As a result, urban- ites who have regarded a city as the space of the life come to experience only alienation and shortage in the phantasm of the city. Though subjects of the city, they can’t show their sense of existence, and come to lose a space of the true life. It is the obvious reason why a loop of the desire seized by capital has to be severed. This research aims at interpreting a city based on the Desire Theory and reestablish- ing relations of human and city to explore a fundamental meaning of the urban space. Fur- thermo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ed expressive methods for accepting critically fictional illusions by the desire which exists in a modern city through specifying and sublimating visually illusions and images created for indentify acquisition in an urban space that desire of otherness is reflected. Every phenomenon has various attributes from viewing perspective or intentions rather than having one partial aspect. In other words, phenomenon and object have not a plane but a three-dimensional shape, and the world certain values are reflected and reorganized is merely an aspect of the phenomenon. There- fore, in order to understand and think the phenomenon as a whole, the entire aspect com- posed of diverse values should be considered. Based on such a perspective, this research made an attempt to visualize other aspects of the phenomenon from a three-dimensional angle through borrowing, transforming, dissolving and rearranging images that existen- tial urban phenomenon provides. Such an expressive method is centered on borrowing of a ‘drawing’ form, and it has semantic significance in addition to a visualizing method of the work. Drawing also means ‘Blue print’ planning the future. As shown from the phrase ‘draw a blue print’, objects on the drawing is a plan so ideal inevitably. However, in order to suggest that urban products reflected by the capitalistic desire still function only as an illusion and ideal, that is, illusion of a city though they are represented in the urban space, such objects were located again at the blue print. These urban illusions are defined as the urban landscape and city brand slogan. Also, other aspects that such objects hide to satisfy only desire of capital were displayed and visualized newly using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drawing. Such a drawing, through locating urban illusion at the blue print, was used for visualizing ruptures and gaps obtained when a plan having the desire of otherness is represented at a realistic city. A method inducing another perspective on a phenomenon is to make a recipient pay attention to other aspects of that phenomenon. Therefore, through clearing the illusion in the urban space and attempting a new visual approach to see the urban desire of otherness generating such an illusion, this study aims at recognizing newly urban issues contemplated so far and providing a clue for the new urban discour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