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2 Download: 0

조선후기 책거리 그림의 색채특성 분석을 통한 색채 및 배색팔레트 구축에 관한 연구

Title
조선후기 책거리 그림의 색채특성 분석을 통한 색채 및 배색팔레트 구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stablishment of Color and Color Combination Palettes through Analysis of Color Characteristics of Scholars' Accoutrements in the Late Joseon
Authors
이미연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경실
Abstract
전통이란 한 집단 내에서 지난 시기에 이미 이루어져 계통을 이루며 전하여 내려오는 사상·관습·행동 등의 양식이나 그것의 핵심을 이루는 정신적 가치 체계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에드워드 쉴즈(E. Shils, 1992)는 전통을 단지 과거의 유산만일 뿐 아니라 현재에도 기능을 하며 사회가 유지하는데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이처럼 전통은 단순히 그 시대에 한정된 과거의 소산(所産)이 아닌, 시간이라는 촉매제를 통해 영속성을 가진다. 현재 다방면에서 전통색을 연구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현대화하려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전통색의 연구가 어느 한 영역으로 치우쳐져 진행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건축, 의복에 관한 전통색 연구가 활발한 반면 전통색채의 기저를 보여줄 수 있는 회화작품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현재 전통채색화의 정확한 정립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채색된 모든 그림을‘민화’라고 칭하고 있는 실정이며, 대부분의 연구가 대상의 표면적 특성만을 파악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진정한 전통 계승을 위해서는 연구 대상에 대한 근본적 이해가 전제가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후기 전통채색화의 주요 소재였던 책거리 그림을 대상으로, 그림이 그려진 시대의 이해가 바탕이 된 전통색에 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책거리 그림은 궁중으로부터 시작된 전통채색화의 한 종류로 오랜 기간 그 도상을 잃지 않고 계승된 그림이다. 책거리 그림은 궁중을 거쳐 사대부, 신흥 부유층 및 중인층을 거쳐 민가로 확대 되었는데, 이 과정을 거치며 구도 및 형태와 시점 그리고 색채가 변화한다. 조형적 변화뿐만 아니라 요소의 등장 빈도, 그 의미의 변화까지 나타나는데, 이러한 변화를 바탕으로 수용층별 등장 요소의 대표 색채 및 배색팔레트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이론연구를 통해 책거리 그림의 저변화 과정과 이에 따라 변하는 조형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두 번째, 책거리 그림 50작품을 대상으로 디지털 이미지화 작업을 거친 후, CIE a*b* 그래프와 L*C* tone그래프를 활용해 책거리 그림의 전반적 색채분포와 주요 물상 요소 24개의 색채정보를 분석하였다. 세 번째, 24개 물상에 대한 색상팔레트들을 수용층에 따라 궁중 책거리, 중인 책거리, 민가 책거리 세 가지로 분류하고, 색채 범주화 과정을 거쳐 각 분류별 대표 색채 및 배색팔레트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팔레트는 NCS 색상환과 색 삼각형을 이용해 구체적인 색채 값과 함께 제시하고, 그 색채 특성은 사회·문화적 측면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궁중 책거리에서는 책가가 포함된 책가형이 주를 이루다가 사대부 계층으로 넘어가며 책가가 사라진 분산형이 나타나며, 중인과 민가로 확대될수록 작아진 화폭으로 인해 물상들을 서로 쌓아올린 집적형의 책거리로 그 구도가 변하고 있었다. 책가형에서는 선 투시도법이 적용되어 사실적 원근감을 보였지만 집적형 책거리에서는 다시점이 나타나며 구도에 따라 시점의 변화도 함께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등장 요소 또한 초기 책거리 그림이 책가와 책만으로 화면을 구성한 것과 달리 점점 진귀한 과일과 고급스러운 중국의 도자들이 주가 되기 시작하였고, 단계를 거쳐 저변화 될수록 상류층에서 향유하던 물상들에서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물상들로 바뀌어 가는데, 특히 다자다복(多子多福)의 의미를 가지는 채소과 과일들로 대체되고 있었다. 또한 같은 물상이라도 그 형태나 의미를 다르게 표현하기도 하였다. 책거리 그림은 시대와 수용층의 변화를 거치며 학문의 증진이라는 본래의 취지를 넘어 물상의 완상 그리고 기복의 의미로 확대되어 가는 과정을 보인다. 책거리 그림의 전반적 색채특성은 Y·YR계열 색상의 Dark grayish·Soft tone에 주로 분포하는데, 수용층별로 보이는 세부 특성은 그 분류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차분하고 진중한 이미지를 주는 중명도 중채도의 색상들이 주를 이루는 궁중의 책거리와 달리 중인과 민가의 책거리 그림에는 먹으로 추정되는 Neutral의 저명도 저채도의 색상들이 많은 요소에 등장하였으며, 색상의 차 또는 명도와 채도의 차가 큰 배색이 나타났다. 궁중 책거리에 등장하는 요소들이 그 형태와 색채가 사실적으로 표현된 반면 중인과 민가의 책거리 속 요소들은 실물을 보고 그린 것이 아닌 그림의 모사를 여러 번 거치며 형태와 색이 변형되고 있었다. 이는 책거리 그림의 수용층 및 제작층에 따라 사용한 염료가 다르거나 색채표현이 달랐음을 의미하고 더 나아가 이러한 차이를 만든 것은 계층에 따른 기회의 차이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조선후기 책거리 그림은 수용층 및 제작층의 능력과 물상을 접할 기회에 따라 구도 및 형태, 색채가 다각도로 변형되며 저변화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According to the dictionary definition, the tradition is a mode of thought, custom, behavior and so on, or the mental value system which is an essence of them. They have been transmitted from the previous periods, after they were already completed in one group. E. Shils(1992) not only regarded it as a past heritage but also believed that it would currently function to maintain our society. Hence, the tradition is not a simple past product limited by time, but has permanence through a catalyst, the time. At present, traditional colors are examined in many directions and modernized by creating database of them. However, it is true that studies of them are still biased toward a certain area. While they are actively investigated in architecture and cloths, paintings are not studied appropriately. Without specific establishment of a traditional painting, all pictures painted are currently called 'folk paining', and most of studied are limited to understanding only properties of surfaces. For the true succession of the tradition, fundamental understandings of subjects are necessar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raditional colors based on some understandings of the periods when the scholars' accoutrement was drawn, which was a primary material of the traditional painting. The scholars' accoutrement, a kind of traditional painting originated from the palace, which has been long succeeded without losing its iconography. It was extended into folk houses via men of noble family, new wealthy class and middle class. Through this process, compositions, forms, viewpoints and colors were changes. Not only formative changes but also modifications in appearance frequency of objects and their meanings were shown. On the basis of these changes, representative color and color combination palettes of the objects are attempted to be established according to each class. The process and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research of theory examines some formative features varying according to a wide spread of the scholars' accoutrement. Second, after the digital imaging process for 50 pieces of the scholars' accoutrement, CIE a*b* and L*C* tone graph are used to analyze entire color distribution of the scholars' accoutrement and color information of the primary 24 shapes of objects. Third, the color palettes for 24 shapes of objects are divided into three kinds of scholars' accoutrement: palace, middle class and folk house. And each representative color and color combination palettes are suggested through color categorization. The palettes are suggested with specific color values by using NCS color wheel and triangle, and the color properties are analyses by considering social·cultural aspects. The findings show that scholars' accoutrements in the palace were mainly composed of bookshelf type, and then for men of noble family, decentralization type excluding bookshelf appeared. As it is extended into middle classes and folk houses, its composition was changed into that of integrated scholars' accoutrement in which shapes of objects are accumulated. While the bookshelf type to which the line perspective is applied showed realistic depth perception, the integrated type exhibits multi-perspective, and therefore, the viewpoints are varied depending on a composition. The early scholars' accoutrement composed a scene with only books, whereas, the objects were gradually changed into precious fruits and luxury pottery. As it is spread, the shapes of objects shifted from those enjoyed by high class to those easily seen, and especially they were replaced with vegetables and fruits having the meaning of fecundity and great happiness. In addition, even the same shapes of objects were differed in their forms and meanings. The meanings of scholars' accoutrements seemed to be extended into appreciation and invoking a Gibok (invoking a blessing) beyond its original purpose, enhancement of scholarship, via changes of classes and ages. The distribution of color features of the scholars' accoutrement is entirely centered on Dark grayish·Soft tone, a color of Y·YR series, sub-features by class are varied according to its classification. Different from the scholars' accoutrements in the palace, which were mainly composed of middle brightness and chroma providing calm and gentle images, for those in middle class or folk houses, some colors with low brightness and chroma of Neutral appeared in many objects, and combinations of colors with large differences in color, brightness and chroma were exhibited. While the objects appearing in the scholars' accoutrements in the palace were realistically expressed, forma and colors of those in the scholars' accoutrements in middle classes and folk houses were modified through repeated copying of paintings, which were not directed drawn while seeing them. This means that the dye used and color expressions were varied according to class or creators of the scholars' accoutrements, and furthermore, these differences may be originated from opportunity differences among the classes. It can be found that compositions, forms and colors in the scholars' accoutrements were changed in many directions and spread, depending on opportunity to contact with shapes of objects and capabilities of classes and artists. This means that the dye used and color expressions were varied according to class or creators of the scholars' accoutrements, and furthermore, these differences may be originated from opportunity differences among the classes. It can be found that compositions, forms and colors in the scholars' accoutrements were changed in many directions and spread, depending on opportunity to contact with shapes of objects and capabilities of classes and artis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