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8 Download: 0

스타트업의 혁신성 제고를 위한 디자인융합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스타트업의 혁신성 제고를 위한 디자인융합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influential factors on design convergence for improving innovativeness in start-up
Authors
장하리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산업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조재경
Abstract
혁신은 급변하는 시장과 글로벌경쟁 속에서 기업의 경쟁력을 키우는 데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해왔다. 혁신의 유형은 제품성능의 혁신, 생산 공정의 혁신, 프로세스의 혁신, 신제품 혁신 등 시대와 관점에 따라 변화되어 왔으며 오늘날 ‘융합’은 혁신의 도구로써 기술, 산업, 시장, 학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화두가 되고 있다. 융합은 이전에 없던 혁신을 창출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세계화로부터 오는 방대한 자원, 기술교류의 증가, 통합분야, 공동 작업을 통한 비즈니스의 기회, 그리고 혁신에 의해 구동되는 기술·제품·서비스 전 분야의 융합 활동을 통한 시너지효과는 풀 솔루션과 혁신적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속적인 고객의 수요를 유도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기업은 융합의 시대에 발맞추어 디자인융합을 도입함으로써 새로운 아이디어의 창출을 유도하고 있다. 특히, 설립한지 오래되지 않은 신생 벤처기업을 뜻하는 스타트업은 상대적으로 인적자원과 자금사정에 있어 열악한 개발환경에 놓여있음에 따라 스타트업에서의 혁신가치 창출을 위해서는 디자인융합적 혁신 개념의 도입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기업 내, 타 부서와의 디자인융합은 기술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제품의 질(Quality)개선과 가격경쟁력 확보에 맞추어진 방법론, 서로 다른 부서간의 문화와 언어의 차이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지속성을 띄지 못하고 단기 프로젝트의 성격을 보인다는 점에서 디자인융합에 영향을 주는 요인 관점에서의 깊이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스타트업에서의 혁신성을 위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디자인 융합에 대하여 스타트업 내에서 디자인융합의 실행자들의 의견을 조사하여 디자인융합요인 간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파악함으로써, 열악한 스타트업의 제품개발환경에서 최대한의 인적자원 활용을 통해 혁신을 이룸으로써 글로벌 경쟁의 시대에서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더 나아가 신산업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함으로써 국가적 차원에서의 혁신까지도 이룰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제품개발 혁신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이론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디자인융합 영향요인에 대해 선행된 문헌연구가 부재함에 따라 기술 간의 융합, 산업 간의 융합, 학문 간의 융합 등 포괄적으로 정의되고 있는 융합의 영향요인들을 기존의 문헌연구 고찰을 통해 이론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후 스타트업의 디자인융합 혁신 사례 조사를 진행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한 융합 영향요인 적용의 타당성 여부를 검증하였으며, 1,2차에 걸쳐 진행한 FGI연구조사를 통해 디자인융합영향요인을 최종적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본 조사인 AHP조사는 6개 스타트업에서 총 38명의 디자인융합 실행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이들 중 일관성 비율이 20%이상으로 나온 설문지 3부를 제외한 총 35개의 설문지 답변에 대하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디자인융합 영향요인의 계층 2에 대한 가중치는 문화, 커뮤니케이션, 노력, 조직의 순으로 중요도에 대한 가중치가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스타트업의 환경에서 디자인 융합의 실행자들이 판단할 때, 기업 문화의 영향요인이 다른 요인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음에 따라 디자인융합 실행자들 간의 융합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디자인융합 지향적인 기업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디자인융합이 잘 이루어 질 수 있는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조직의 구성원들 간의 상호교류를 통해 지식 및 정보의 공유가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위해 기업은 업무와의 관련성 여부를 떠나 식사를 함께하거나 워크숍 및 세미나를 진행하는 등의 문화조성 노력이 필요하며, 디자인융합의 영향요인들을 고찰함으로써 디자인융합의 실행자들이 스타트업의 환경에서 융합의 질을 높일 수 있기에 혁신을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유용한 기초 자료로 본 연구가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본다; Innovation has been a critical factor in building a corporation's competitive power in the dynamic market. Innovation has adapted to changing consumer's taste and played a valuable role in product performance, process, and launch. Recently, "convergence" has been a hot topic in terms of triggering innovation by combining resources, exchanging technology, and creating business opportunities. In other words, "convergence" has produced satisfaction to the customers tailoring to their demand. For these reasons, design industry has introduced convergence in order to facilitate innovation and promote competitiveness. In order to improve upon the aforementioned setbacks, much research has been done based on previous studies by analyzing variables that affect technology, industry, and communication in design convergence. Thereafter, extensive systematic review was done on previous design convergence cases on startup companies to examine which variables had biggest influences on the company in terms of facilitating innovation. After performing two trials of FGI and combining research results, the critical variables were determined. Design convergence innovation can play a critical role in triggering value innovation, especially in start-up venture where the firm is relatively new and likely to face shortage in capital and HR. However, interdepartmental design convergence within a firm is facing various difficulties due to departments having different strategies and technologies stemming from conflicting quality improvement goals, communication difficulties, and different culture among the departments. These factors likely to lead design convergence to be a short-term project without durability; therefore, there has been a demand for a careful research to determine factors that influences design convergence. This study is designed to provide a basic guidance for design convergence factors that need to be considered for start-up innovation by collecting and analyzing gathered information from design convergence executors in start-up.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ve importance among different factors in design convergence and give guidance on what factors need to be prioritized in order to have a successful innovation despite disadvantages in product improvement environment that start-up may have.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etus to strengthen a firm's competiveness and to contribute in creating new jobs and new industry that leads to national level innovation. AHP survey of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38 participants, who are all design convergence executor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as drawn by analyzing the answers from 35 questionnaires that had excluded 3 questionnaires, which exceeded the consistency ratio of 20%. Weights on factors affecting design convergence (class II) was measured based on the level of importance of factors including culture, communication, efforts and organization in order.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in start-up environment, design convergence oriented corporate culture should be created to thoroughly facilitate convergence among design convergence executors as it was discover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corporate culture is higher than any other factors. In order to create a culture that can facilitate design convergence soundly, knowledge and information exchange within organization members is necessitated through mutual interchange among the members. For this to be executed, firms need to put effort to create a culture by promoting activities, which may be irrelevant to main tasks such as having meals together, opening workshops and seminars. Also, by considering the factors affecting design convergence, this study can be used as a useful source that can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firms since design convergence executors can improve quality of convergence through innovation in the start-up environ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