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1 Download: 0

입양법제의 개선방안

Title
입양법제의 개선방안
Other Titles
Measures to Improve the Adoption Legislation : In Response to the Ratification of the Hague Convention on Intercountry Adoption
Authors
안소영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태윤
Abstract
The adoption legisl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s composed of the Civil Law and Special Adoption Act, and according to the Civil Law adoption is categorized into two, namely simple adoption and full adoption. Although the Special Adoption Act regulates the adoption procedure carried out by adoption agencies for the child requiring protection, it also stipulates that contents not covered by the act should be regulated by the Civil Law. As a result, the Civil Law regulates adoption as a general law. Therefore, in the case of domestic adoption, the Special Adoption Act is applied only to children who qualify the conditions stipulated by the Act, whereas other children are adop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set out by the Civil Law which differentiates the type of adoption into simple adoption and full adoption. Meanwhile, for intercountry adoption, when foster parents of foreign nationality adopt South Korean children, this is named as overseas adoption and the adoption procedure is regulated only by the Special Adoption Act. However, for cases in which children of foreign nationality are adopted by South Korean parents, there are no regulations. As a result, when South Korean foster parents attempt to adopt a child of foreign nationality, the applicable law is determined by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and therefore the Civil Law of the Republic of Korea is applied for the adoption. Although the applied legislation differs based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adoption, the Civil Law and the Special Adoption Act are applied accordingly throughout the adoption procedure in the case of domestic adoption. Revisions were made so that whichever legislation is applied, adoption by minors must receive permission from the court. Also, the Special Adoption Act was revised so that articles on the effect of adoption, cause of cancellation, breakdown of adoption are aligned with the adoption related articles of the Civil Law. However, there are still confusions at working level as different legislations are applied according to the child put up for adoption, and from the perspective of legislative structure such dual legislation and whether or not such system are for the best interest of the children are doubtful and remain as issues. Therefore, the current dual legislation for domestic adoption requires further review. Meanwhile, as a country which sends children for adoption on a large scale, South Korea has been criticized for the lack of adequate protection over the children put up for adoption. As a result, South Korea signed the Hague Convention on Protection of Children and Co-Operation in Respect of Intercountry Adoption, hereinafter “the Hague Convention of Intercountry Adoption”, in May 2013 and is now making institutional preparations to ratify the convention. According to the Hague Convention of Intercountry Adoption, each state should take as a matter of priority appropriate measures to enable the child to remain in the care of his or her family of origin, and as a secondary step each state should make efforts so that the child is adopted domestically. Intercountry adoptions are to be made only in the best interests of the child as a measure of last resort. Also, the Hague Convention of Intercountry Adoption stipulates regulations to be observed by each state in intercountry adoption for the protection of the child put up for adoption. However, in the case of South Korea, the current Special Adoption Act is not sufficient in executing the Hague Convention of Intercountry Adoption, and therefore revisions should be made in order to carry out the duties established by the convention. Thus, when a decision for adoption is made, priority must be placed on domestic adoption and legislation must be revamped so that the best interest of the child is protected throughout the domestic adoption process. Also, when domestic adoption is not possible and as a result intercountry adoption has to be carried out, the relevant legislations should be revised so that the child put up for adoption is protected not only within South Korea but also in the country that the child is sent to. As a result, the aim of the paper is to propose the abolishment of the domestic adoption articles in the Special Adoption Act and integrate the articles into the adoption section of the Civil Law.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domestic adoption and intercountry adoption is only different in terms of procedure, and actual conditions for adoption are identical. Therefore, the standards established by the Hague Convention should be reflected in the adoption related articles in the Civil Law, and such articles can be adopted for intercountry adoption. Also this paper aims to provide suggestions to improve issues arising from misinterpretation of legislation due to lack or deficiency of the current law. In relation to the procedure of intercountry adoption, regardless of whether the adoption qualifies for the application of the Hague Convention of Intercountry Adoption, measures to include all adoption types under the Special Adopt Act is proposed. The above issues are to be reviewed in each chapter as below. In chapter 2, the actual terms and conditions for domestic adoption are reviewed based on the parties directly concerned with the adoption, namely the child, adoptive parents, and birth parents. As the first step to integrate domestic adoption regulations of the Special Adoption Act into the Civil Law and in relation to the child, the paper discusses that the concept of child requiring protection is not necessary. Regarding the adoptive parent, the thesis claims that the qualifications of the adoptive parents which differ between the Special Adoption Act and the Civil Law should be aligned and integrated in the Civil Law, and single parent adoption should be allowed. Lastly, in relation to the birth parents, the regulations on the acceptance and consent of adoption by legal representatives are reviewed and the guaranteeing of anonymity of birth parents is discussed. Chapter 3 focuses on discussing each issue which results from the procedure of domestic adoption. Problems that arise after adoption consideration period and solutions for such problems, and the necessity of the child’s participation in the adoption procedure are discussed in this chapter. Also, as all types of adoption must be permitted by the Family Court, the implications of the court’s permission in the adoption procedure is reviewed, and whether or not the effectiveness of past decisions made by the court to admit false birth registration of the adopted child as the adoptive parents’ biological child should be maintained is discussed. Finally, the suggestion of introducing probationary period for adoption in order to offset the issue of prolonged waiting period due to waiting for the court’s permit. In chapter 4, the paper reviews the effect of adoption based on the type of adoption, general adoption and full adoption, and the possibility of successive adoption in South Korea when the previous adoption has not been yet settled. South Korea, unlike Germany and France, has no law stipulating that such cases are prohibited, and therefore in this thesis the possibility of successive adoption based on the court decisions is discussed. Also, the issue of expanding the childcare support and post-support which is provided for adoptions concluded according to the Special Adoption Act to all adoptions is discussed. Chapter 5 reviews the settlement of adoption, in other words the annulment and cancellation of adoption, and breakdown of adoption. Especially, with regards to the cancellation of adoption, the right of rescission of the birth parent who had not acknowledged the existence of the child is discussed. Breakdown of adoption is discussed with focus on lower courts’ recent decisions and their interpretation of the articles stipulating the cause of breakdown, and suggestions to improve the system of adoption breakdown are offered. The last chapter investigates the procedure of intercountry adoption. As a preparatory measure for the enforcement of the Hague Convention of Intercountry Adoption, the application scope of the Hague Convention based on habitual residence should be clarified, and proposals for legislation to provide regulations for adoption procedures executed according to the Hague Convention as well as adoption procedures that are not affected by the Hague Convention is put forward. Also, as increasing number of states recognize either the legal rights of same-sex couples or same-sex marriage, the possibility of adoption by adoptive parents who are same-sex couples and their habitual residence is located overseas is discussed. The issue of post-management of adopting a child from overseas into South Korea and the approval of adoption by overseas courts are reviewed.; 우리나라의 입양법제는 민법과 입양특례법으로 이원화 되어 있고, 민법상 입양의 유형은 일반입양과 친양자 입양으로 나뉘어 있다. 일정한 범위의 요보호 아동의 입양기관에 의한 입양절차를 입양특례법에서 규정하고 있으나, 입양에 관하여 입양특례법에 특별히 규정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민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르도록 준용규정을 둠으로써, 모든 입양에 대한 일반법의 역할은 민법이 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국내입양의 경우 입양특례법의 적용대상이 되는 아동의 경우에는 입양특례법의 절차에 의해서 그리고 나머지 모든 아동의 경우는 민법상 절차(양친될 자가 입양의 효력에 따라 일반입양이나 친양자 입양을 선택하여)에 의해서 입양이 이루어진다. 한편, 국제입양의 경우, 외국국적의 양친이 우리나라 아동을 입양하는 경우를‘국외입양’이라고 하여 입양특례법에서만 그 절차를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외국국적의 아동을 우리나라 양친이 입양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별도의 규정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우리나라 국적의 양친이 외국국적의 아동을 입양하고자 하는 경우는 국제사법에 따라 준거법이 결정되고, 양친의 본국법인 우리 민법을 적용하여 입양이 성립하게 된다. 이처럼 입양에 따라 법을 달리하여 규정하고 있지만, 국내입양의 경우 현재 민법과 입양특례법은 입양절차 전반에 걸쳐 어느 정도 조화를 이루고 있다. 미성년자의 입양은 어느 법에 따르든 법원의 허가를 요건으로 하며, 입양특례법상 입양에 있어 그 효과와 취소사유, 파양 등에 대한 규정을 민법상 친양자 입양과 일치시켜 규정되도록 개정이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여전히 아동에 따라 법을 달리 적용하여야 하므로 실무에는 혼선이 빚어지고 있고, 법체계적인 측면에서도 여전히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점이 다소 존재하며, 이러한 구별이 아동의 최선의 이익을 위해 필요한 것인지 의심스럽다는 점에서 이원화 되어 있는 국내입양법제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한편, 우리나라는 최근까지 해외로 아동을 입양 보내는 주요 국가 중 하나로 손꼽히며, 그 과정에서 자국 아동을 적절하게 보호하지 못한다는 비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우리나라는 2013년 5월 ‘국제입양에 관한 아동의 보호 및 협력에 관한 협약(The Hague Convention of 29 May 1993 on Protection of Children and Co-Operation in Respect of Intercountry Adoption)’에 서명하였고, 현재 협약을 비준하기 위한 제도적 정비를 진행하고 있다. 이 협약에 따르면 국가는 우선 아동이 자신이 태어난 가정에서 자랄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하고, 다음으로 국내입양을 위해 노력하여야 하며, 국제입양은 아동의 최선의 이익을 위한 최후의 선택이어야 한다. 그리고 협약은 아동의 국제입양을 진행함에 있어 국가가 아동의 보호를 위해 취하여야 할 최소한의 조치를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입양특례법이 규정하고 있는 국제입양에 대한 조항만으로는 헤이그국제입양협약을 시행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협약이 규정하고 있는 의무를 이행하기 위한 법적 정비가 필요하다. 즉, 아동을 위해 입양이 선택되는 경우 국내입양이 우선되어야 하므로, 국내입양절차에 있어서도 아동의 최선의 이익이 보호될 수 있도록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뿐만 아니라, 국내입양이 곤란하여 국제입양이 결정되는 경우에는 국제입양절차에서 아동이 우리나라에서 뿐만 아니라 입양 보내지는 국가에서도 적절한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법적 제도적 정비가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일차적으로 입양특례법의 국내입양에 관한 규정을 삭제하고 이를 민법으로 통합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국내입양과 국제입양은 절차상 차이가 날 뿐 입양의 실질적 요건에 있어 다를 필요는 없으므로, 헤이그국제입양협약의 기준을 반영하여, 민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입양의 실질적 요건을 정비하고 이를 국제입양에서도 준용하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현행 민법상 규정의 미비 혹은 흠결로 인하여 해석상 문제되고 있는 쟁점들에 대하여 논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국제입양의 절차에 관하여는, 헤이그입양협약이 적용되는 경우와 적용되지 않는 경우를 모두 포섭하여, 입양특례법에 규정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각 장에서 구체적으로 논의한 사항은 아래와 같다. 제2장에서는 국내입양의 실질적 요건을 입양 당사자인 아동, 양친, 친생부모로 나누어 논의를 진행한다. 아동에 대하여는 입양특례법상 국내입양을 민법으로 통합하기 위한 첫 단계로, 입양특례법의 적용대상으로서의 요보호아동의 개념을 유지할 필요가 없음을 논한다. 양친에 대하여는 민법과 입양특례법이 달리 규정하고 있는 양친의 자격을 민법으로 통합하고, 독신자도 친양자 입양이 가능하여야 함을 주장한다. 끝으로 친생부모에 대하여는 입양에 있어 친생부모의 법정대리인으로서 또는 부모로서의 대락과 동의권 및 그 면제에 대한 규정을 검토하고, 현재 가장 논쟁이 되고 있는 친생부모의 익명성 보장에 대하여 논의한다. 제3장에서는 국내입양의 절차에 따라 쟁점별로 연구를 진행한다. 입양숙려기간이 시행된 후 발생한 문제점과 그 개선책 및 입양절차에 있어 아동의 참여의 필요성을 논한다. 그리고 모든 유형의 입양에 가정법원의 허가가 도입됨으로 인해 입양절차에서 법원의 허가가 가지는 의미를 논하고 나아가 지금까지 법원의 해석을 통해 허용되어 왔던 허위의 친생자 출생신고에 의한 입양이 향후 그 유효성을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다. 끝으로 법원의 허가로 인한 입양대기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그 보완을 위한 시험양육제도 도입을 제안한다. 제4장에서는 입양의 효력을 일반입양과 완전입양으로 나누어 논하고, 나아가 우리나라에서 먼저 성립한 입양이 해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2차입양(연속입양)이 가능한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독일이나 프랑스와는 달리 우리 법상 이를 금지하는 명문의 규정이 없으므로 법원의 판결을 바탕으로 하여 2차입양의 가능성을 논의하도록 한다. 그리고 입양이 성립한 후 입양특례법상 입양의 경우에만 제공되는 입양아동에 대한 양육지원 및 사후관리에 대하여 그 확대가능성을 논한다. 제5장에서는 입양의 해소, 즉 입양의 무효와 취소 그리고 파양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다. 특히 입양의 취소에서는 자를 인지하지 않은 친부의 입양취소권에 대하여 추가로 검토하고, 파양의 경우 최근 하급심 판결들을 중심으로 법원이 파양사유를 어떻게 해석하고 적용하는지를 살펴본 후 파양제도의 개선점에 대하여 논한다. 제6장에서는 국제입양절차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헤이그국제입양협약이 시행될 경우를 대비하여, 상거소를 기준으로 한 헤이그국제입양협약의 적용범위를 명확히 한 후, 헤이그국제입양협약이 적용되는 경우의 입양절차와 적용되지 않는 경우의 입양절차에 대한 입법을 제시한다. 또한, 최근 동성커플에게 법적 권리를 부여하거나 동성혼을 인정하고 이들에게 입양을 허용하는 나라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외국에 상거소를 둔 양친이 동성혼 부부 혹은 동성커플인 경우 입양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다. 나아가 외국아동이 국내로 입양될 경우 문제되는 사후관리나 외국입양재판의 승인에 대하여도 검토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