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덕현-
dc.contributor.advisor김현주-
dc.contributor.author정은영-
dc.creator정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1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8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9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859-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여성국극 프로젝트>를 구성해 온 작품의 존재와 그 유포의 당위성을 논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다시 말해, 연구자의 예술실천이 위치하고 있는 미학적, 정치적 맥락들을 제시하고 의미화 하는 작업이며, ‘동시대 미술’의 현장에서 꾸준히 만들어 온 미술 언어와 작업구성의 원리, 그리고 작품의 구조를 통해 말하고자 했던 문제의식들에 대한 본격적인 서술이기도 하다. <여성국극 프로젝트>는 1950년대 크게 유행했던‘여성국극’공연의 역사를 추적하고, 이로부터 발견한 성별 정치학, 공연학적 해석 등을 경유하여 미술 창작에 다다르는 주도적인 양식과 방법론을 연구하고 실현하고자 기획되었다. 오직 여성만이 무대에 설 수 있는 ‘여성국극’은 그 장르적 특성에서는 물론, 태생과 소멸에 이르기까지 ‘성별’에 관한 다양한 논의를 불러일으킨다. 그 중에서도 특히, 주디스 버틀러의 핵심적인 이론인 ‘수행적 젠더(performative gender)’는 이 프로젝트가 성별을 문제화하고, 그럼으로써 규범에 도전하는 이유를 뒷받침한다. 이 프로젝트는 따라서 여성주의 시각에서 성별 정치학을 견인하는 작품의 내용적 기반을 다지는 한편, 이러한 기반 위에서 현대미술의 다양한 형식적 양태들을 실험하였다. 본 논문은 이 같은 <여성국극 프로젝트> 의 미술적 실천에 있어 내용적이고 이론적인 쟁점들을 논의함은 물론, 형식적 전략과 방법론들을 또한 분석한다. 즉, 여성국극 전반에 대한 연구조사와 아카이빙, 공동체 예술로서의 정치·사회적 의미화, 비디오 예술과 퍼포먼스 예술의 매체 연구, 그리고 다양한 방법론적 영토들의 경계가 와해되고 융합되는 다원적인 태도에 이르기까지, 본 연구는 <여성국극 프로젝트>가 형식적 도전과 갱신을 거듭하면서 작품의 외형을 만들어 온 방식을 전면적으로 검토하고 다각도로 조명하고자 했다. 한편, 이와 같은 예술적 실천과 그에 대한 분석을 통해 궁극적으로 드러내고자 한 연구자의 예술에 관한 미학적이고 정치적인 입장을 고찰하는 것 역시 본 논문의 중요한 목표일 것이다. <여성국극 프로젝트>의 미학적 도전은 근본적으로‘여성주의 미학’이 개척해온 역사적 성과에 크게 빚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성별이 예술에 대한 심미적 경험에서 중요한 계기로 작동하고 있으며, 성별의 차이가 작품 자체에 대한 이해와 평가를 변경시킬 수 있다는 여성주의 미학의 전복적 관점들을 적극적으로 채택하는 작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예술을 ‘순수한 즐거움’으로 경험하고 ‘무관심성(disinterestedness)’의 태도로 관조하는 근대 미학의 전통을 비판하고 문화적이고 정치적인 미적 판단의 지평을 확대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 하에‘불화의 미학’이라는 예술적이며 정치적인 입장을 규명하고자 했다. 자크 랑시에르의 정치미학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개념인 ‘불화(dissensus)’를 예술 실천을 둘러싼 구체적인 관점과 태로로 다시읽기를 시도했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여성국극 프로젝트>라는 성별정치를 쟁점화하는 작업의 면면을 통해 모든 불화하는 존재와 사건에 관심을 가지고, 미약하기 때문에 오히려 힘을 가지는 역설적 존재에 집중하며, 비논리적이고 비규범적인 재현을 다시 정립하는 연구자의 미학적 관점과 창작의 이유를 의미화 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lies demonstrating the existence of works constituting the Yeoseong Gukgeuk Project and their rightful dissemination. In other words, this is the task of presenting and signifying the aesthetic and political contexts in which the present researcher’s artistic praxis is situated. It is also a full-fledged description of the principles of the language of art and the composition of the works steadily created by the present researcher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art” and the problematics that the present researcher has sought to communicate through the works’ structures. The Yeoseong Gukgeuk Project has been planned to trace the history of yeoseong gukgeuk (Korean traditional all-female theater) performances, which were in great vogue during the 1950s, and, by way of the gender politics and performance studies-based interpretation discovered in it, to study and realize the leading styles and methodologies arriving at artistic creation. Allowing only women on the stage, yeoseong gukgeuk raises various discussions on gender from not only its generic characteristics but also its birth and death. Out of them and in particular, performative gender, which is Judith Butler’s key theory, supports why the present project problematizes gender and thereby challenges norms. Consequently, the present project has consolidated the basis of the contents of the works leading gender politics from a feminist perspective on the one hand and, on such a basis, experimented with the diverse formal modes of contemporary art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study not only discusses the contents-related and theoretical points of contention but also analyzes the formal strategies and methodologies with respect to such artistic praxis of the Yeoseong Gukgeuk Project. In other words, from research on and archiving of yeoseong gukgeuk in general and its sociopolitical signification as communal art to research on the media of video art and performance art and interdisciplinary attitudes where the boundaries of diverse methodological territories disintegrate and converge, the present study seeks to review in full and to shed light in a multifaceted manner on the ways in which the Yeoseong Gukgeuk Project has created the works’ outward forms through repeated formal challenge and renewal. On the other hand, another and equally important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an exploration of the present researcher’s aesthetic and political position on art, which the present researcher has sought ultimately to reveal through such artistic praxis and its analysis. The aesthetic challenge of the Yeoseong Gukgeuk Project is fundamentally and deeply indebted to the historical achievements that “feminist aesthetics” has pioneered. Consequently, the present study presents the direction for the task of actively adopting the subversive perspectives of feminist aesthetics that gender acts as an important occasion in the aesthetic experience of art and that gender differences can modify one’s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f artworks themselves. Through this, the present researcher seeks to criticize the tradition of modern aesthetics, which experiences art as “pure pleasure” and contemplates it with an attitude of “disinterestedness,” and to expand the horizons of aesthetic judgment, which is at once cultural and political. Finally, from such perspectives, the present study seeks to elucidate the artistic and political position of the “aesthetics of dissensus.” It seeks to re-read “dissensus”, which is an important concept for understanding Jacques Rancière’s political aesthetics, as concrete perspectives and attitudes surrounding artistic praxis. In the end, through the task of rekindling gender politics in the form of the Yeoseong Gukgeuk Project as a point of contention, the present study signifies the present researcher’s aesthetic perspectives and reasons for creation―taking interest in all dissenting beings and events, focusing on paradoxical beings who possess strength because they are weak, and reestablishing illogical and non-normative represent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머리말 1 Ⅱ. <여성국극 프로젝트>의 쟁점: 여성국극을 분석하는 몇 가지 관점들 8 A. 여성국극의 짧은 역사: 태동과 쇠퇴 8 B. 전통연희의 전복과 공연학적 의의 15 C. 여성주의적 위상과 한계 19 D. 수행적 젠더와 성별의 정치학 29 Ⅲ. <여성국극 프로젝트>의 미술적 실천: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36 A. 연구조사 기반의 예술로서의 성격 36 B. 커뮤니티 예술로서의 성격 42 C. 비디오 예술로서의 성격 47 D. 퍼포먼스 예술로서의 성격 53 E. 다원화된 예술로서의 성격 59 Ⅳ. <여성국극 프로젝트>의 미학적 도전: 성별의 정치학과 불화의 미학 98 A. 여성주의 미학의 ‘불’가능성 98 B. 불화의 미학: 미술의 곤경과 역설 속에서 102 Ⅴ. 맺음말 107 참고문헌 110 ABSTRACT 11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591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성별의 정치학과 불화의 미학-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여성국극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Politics of Gender and the Aesthetics of Dissensus With a Focus on the Yeoseong Gukgeuk Project:-
dc.creator.othernameJung, Eun Young-
dc.format.pagev, 118 p.-
dc.contributor.examiner우순옥-
dc.contributor.examiner강수미-
dc.contributor.examiner김영옥-
dc.contributor.examiner김현주-
dc.contributor.examiner조덕현-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