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2 Download: 0

The representation of hyŏnmo yangch`ŏ notion and its change in Korean cinema

Title
The representation of hyŏnmo yangch`ŏ notion and its change in Korean cinema
Other Titles
한국 영화에서 나타나는 “형모양처” 개념의 재현과 변화 : “사랑방손님과 어머니” (1961)와 “사랑방선수와 어머니” (2007)를 중심으로
Authors
Olga Anufrieva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훈
Abstract
Melodrama, focused on a female character, has been the most popular genre in Korea. One typical example of a film focused on the loyal wife and mother figure hyŏnmo yangch`ŏ is The Mother of The Guest (1961). The movie portrays the ideal Korean woman and greatly constructed Koreans` image of traditional gender roles and solidified in minds a significant gender general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wo adaptations of Chu Yosŏp (1935) The Mother and the Border (1961) by Sin Sang-Ok and its recent remake of Im Yŏng- Sŏng released in 2007 from two different time periods and to track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portraying the female character as hyŏnmo yangch`ŏ. The notion of hyŏnmo yangch`ŏ is highly controversial, because of the conflict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and the fact that hyŏnmo yangch`ŏ is an “invented tradition” in itself. However, it constructed the image of ideal woman in the past and is highly influential even to this day. Comparing two cinematic adaptations both of which deal with the female figure, I trace the change of female image through times and its impact on creating melodramatic effect in movies. Even though the two films were produced in different time periods and concentrate on different social orders, their function is the same - to set a clear base of moral ethics that people should follow in order to create a harmonious society. It is relevant to compare two movies based on the same story in order to trace the development of past and present ideal female image in Korea. In the first chapter I summarize existing studies about melodrama in the west and their applicability to Korean melodrama, in particular the two films of the focus. Also, I discuss some other special genre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as p`ansori which largely incorporated the feeling of han, as well as shinp`a genre which was introduced from Japan and mainly constructed popular culture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how they contributed to the construction of Korean melodramatic film in the past and nowadays. I add some insightful comments of influential scholars in the area, such as Nancy Abelmann, about other peculiarities that Korean melodrama possesses. In the second chapter I discuss social conditions and the background of movie making industry development during postwar era and the 1960s and its change in the 21st century. I talk about major trends and social movements and how they contributed to the film production development. In the third chapter I compare narrative structure, plot and main focus in both movies, using Todorov`s narrative theory. Before starting the main analysis, I summarize theories and facts about the development of the hyŏnmo yangch`ŏ concept in Korea and its significance. In the last chapter, I demonstrate how hyŏnmo yangch`ŏ philosophy constructs the large part of melodramatic expression through the detailed film analysis, which includes social order, space settings, clothes and hair style as well as symbolism or “banality” of objects. Through the detailed analysis, it is easy to understand that hyŏnmo yangch`ŏ as a combination of traditional and modern values was an important concept in producing the ideal type of woman, most often mother in Korean films. We can note several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hyŏnmo yangch`ŏ representation in both movies. The most important similarity is that both mothers have a desire of a status of hyŏnmo yangch`ŏ regardless the time period and social conditions, which is shown in the movies through symbolism of objects, spatial characteristics and clothing. A common wish for a status of hyŏnmo yangch`ŏ can be interpreted with the help of the phenomenon that traditional values do not change through times, so called “fixity of traditions.” The difference is the way the mothers accomplish their goal in the movies.;여성 캐릭터를 중심으로 하는 멜로드라마는 한국에서 오랫동안 인기가 있는 장르로 꼽힌다. “형모양처”를 재현하는 대표적인 작품은 1961년에 나온 신상옥 감독의 “사랑방손님과 어머니”이다. 이 영화는 한국의 이상형 여성을 보여주면서 한국인의 전통 성별 역에 대한 상상을 구성하고 성별에 대한 대단히 중대한 일반화를 창조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주요섭의 단편 소설 “사랑방손님과 어머니”를 원작으로 한 2개의 영화의 각색을 분석하고 여성의 이미지인 “형모양처의 재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형모양처”라는 개념은 전통과 근대의 충돌 때문에 모순되고 그 충돌에서 “발명된” 전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당시의 여성의 이상형을 구성을 했고 오늘까지 이 영향은 매우 크다. 여성 이미지와 관련된 2개의 영화의 각색을 비교하면서 여성 이미지가 어떤 변화를 일으켰는지와 영화의 멜로드라마의 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두 영화는 서로 다른 시기에서 만들어졌고 사회적 배경도 다르지만 비슷한 기능을 한다. 평화로운 시회를 유지하기 위해서 사람들이 지켜야 하는 윤리적 기준을 명백하게 만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비슷한 줄거리를 담은 영화를 비교하는 것은 과거와 현대의 한국 여성의 이미지 발전과 변화를 알 수 있는 의미가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Ⅱ장에서는 멜로드라마에 대해 서구에서 논의된 내용을 요약하고 한국 멜로드라마와 특히 이 연구의 중심이 된 2개의 영화에 적용이 가능한지 알아보았다. 또는, 한국에서 고유한 장르인 판소리와 “한” 및 일본에서 형성되고 오랫동안 한국 대중문화에 영향을 미친 신파에 대해 살펴보았고 이 장르가 한국 멜로드라마 구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 멜로드라마의 또 다른 특징에 대한 Nancy Abelmann과 같은 서구의 유명한 학자의 연구를 참고해서 의견을 추가했다. Ⅲ장에서는 사회적 배경과 한국전쟁 이후와 1960년대의 영화상업과 21세기의 이 상업의 변화에 대한 알아보았다. 주로 경향과 사회적 운동과 이의 영화 상업 발전의 영향과 관련성에 대해 설명했다. Ⅳ장에서는 Todorov의 서술 이론을 가지고 단편 소설과 2개의 영화의 서술 구조, 플롯과 초점을 비교했다. 또 영화의 자세한 분석을 하기 전에 “형모양처”라는 개념의 기원, 발전과 중요성에 대한 정보를 요약했다. 마지막으로, V장에서는 자세한 영화 분석을 통해서 “형모양처”라는 개념이 영화에서 어떻게 재현되는지 지를 보여주었다. 영화 분석은 사회적 규칙, 공간의 의미, 옷과 머리 스타일, 종교 그리고 물건의 상징화를 다루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면 전통과 근대에서 모순되어 나타나는 “형모양처”의 개념 또는 여성의 이상형(주로 어머니의 이미지)가 개념을 여성의 이상형을 한국 영화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기가 쉽다. 2개의 영화에서 “형모양처”의 재현에 있어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다. 제일 중요한 공통점은 2개의 영화에서 두 나타나는 각각의 어머니들이 시대와 사회적인 상황과 상관 없이 “형모양처”의 이미지를 가지고 유지하고 싶어하는 점이다. 이것은 영화 속의 물건의 상징화 및 영화의 공간, 옷을 통해서 볼 수 있다. 이러한 공통적인 욕망은 시대 흐름에 상관없이 중요한 전통을 변하지 않은 전통의 “안정”이라는 개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각각 어머니의 목적은 비슷하지만 이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다르다. 1961년의 영화에서 어머니는 사회적 상황 때문에 재혼을 못 하고 딸의 미래를 위해 자신의 사랑과 욕망을 버려야 했지만 2007년의 영화에서 나타나는 어머니는 딸의 미래를 위해 돈을 벌고 “싱글맘”이라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벗어나려고 재혼을 원하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