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ANISTRATOVA, EKATERINA-
dc.creatorANISTRATOVA, EKATERINA-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9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4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9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47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 거주경험의 변화에 따라 러시아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중간언어에 나타나는 억양의 실현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한국어 문두 강세구의 억양과 문말 억양구의 경계성조, 어말 장음화에 초점을 두고 러시아인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실현 양상을 실험음성학적으로 서로 비교·분석하여 러시아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억양 오류와 그 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기술하고 한국어 억양 교육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고찰함으로써 외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억양 실현 양상을 실험음성학적으로 분석하여 중간언어에 나타나는 억양 체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연구 문제 1은 한국인과 러시아인 학습자 집단 간 억양 산출 차이를 문두 강세구의 억양과 문말 억양구의 경계성조, 어말 장음화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연구 문제 2는 거주 경험에 따라 러시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두 집단 간 억양 실현 양상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억양의 정의를 내리고 한국어와 러시아어 억양 구조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본고 논의의 중심이 되는 강세구와 억양구의 억양 유형과 그의 음성•문법·화용적 특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 장에서 피험자 선정 기준, 연구 대상, 자료 수집 방법, 연구 절차 그리고 자료 분석 방법에 관해 순차적으로 기술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첫째, 문두 강세구 실현 양상에 있어서 러시아인 학습자들에게 분절음 성질에 따른 초성 성조 오류와 성조 유형 오류 그리고 끝 성조 오류들이 나타났다. 한국 거주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강세구 억양 오류가 줄어드나 오류는 러시아인 한국어 학습자 두 집단의 발화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경계성조의 실현 양상에 있어서는 문장 유형에 따라 문말 억양 실형 양상을 분석한 결과, 한국 거주 기간의 차이가 두 집단의 러시아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문말 억양 실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두 집단의 러시아인 학습자들이 생성한 경계성조 유형들은 대부분의 경우 비슷한 비율을 자치하여 한국어 모어 화자와 형태적으로 동일한 유형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인의 발화에서 자주 나타난 부드럽고 친절함을 의미하는 굴곡적인 억양은 두 집단의 러시아인 학습자들에게 훨씬 더 낮은 비율로 실현되었다. 셋째, 어말 장음화의 경우 러시아인 학습자들이 거주 경험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나 한국인 만큼 선문말 음절 길이 대비 문말 음절을 길게 발음하지 못하거나 아예 장음화시키지 못한 결과가 나타났다. 본고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첫째, 기존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러시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에 나타나는 억양의 실현 양상을 제시함으로써 러시아인 학습자들의 잘못된 한국어 억양을 바로 잡아 주는데 도움이 될만한 교수제시 내용을 제공하였다. 둘째, 운율 습득에 있어 현지 거주 경험의 변화와 모국어의 간섭이라는 두 가지 변인이 러시아인 학습자의 한국어 억양 산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실험 대상자의 수가 적고 다루고자 한 운율적 요소가 문두 강세구 억양과 문말 억양으로 한정되어 있다는 한계를 가진다. 특히 러시아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억양 실현에 미치는 단순한 한국 거주 기간의 양적 변수 아니라 상호작용의 강도 즉, 학습자의 한국어 노출 정도와 한국어로 접한 사회적 접촉의 질적인 변수들의 영향에 대해서는 충분히 밝히지 못한 부분이 있다. 따라서 러시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억양 습득에 대한 후속 연구가 더욱 다양하고 높은 수준으로 이어지길 기대 해 본다.;The study examines the features of intonation realization in interlanguage of Russian learners of Korean by the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Especially the study attempts to compare and analyze the intonation realization of Russian learners and Korean speakers through experimental phonetic methods focused on intonation of Accentual Phrases, boundary tones of Intonation Phrases and final lengthening in order to find out intonation errors of Russian learners and its causes. This study consists of four chapters as follows. In Chapter I,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are described, and by considering a preceding research related to teaching Korean intonation, this thesis verifies the necessity of studies on interlanguage prosody through experimental phonetic analysis of Korean intonation realization of foreign learners, suggesting two subjects for study. Study subject 1 is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intonation realization between the group of Korean speakers and two groups of Russian learners focused on intonation of Accentual Phrases, boundary tones of Intonation Phrases and final lengthening. Study subject 2 is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intonation realization between two groups of Russian learners according to the length of residence. In Chapter II, theoretical backgrounds are introduced. First of all the definition of intonation was given and the intonation structures of Korean and Russian were reviewed. Then the tonal patterns of Accentual phrase and Intonation phrase and their phonetic, grammatical and pragmatic features were examined in detail. In Chapter III, research methods are described. These include information of participants, study objects, data collection methods, research procedures and data analysis methods. In Chapter IV,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research result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in terms of intonation of Accentual Phrases, Russian learners’ errors were observed in initial segment-tone interaction, type of pitch patterns and in final tone realization. Even though the amount of intonation errors in Accentual Phrases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length of residence, the errors continuously appeared in speech of both learner groups. Second, the difference in the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did not have much of influence on realization of boundary tones in Intonation Phrases of two groups of Russian learners. In other words, Russian learners in most cases produced Korean boundary tones with similar frequency rate and did not differ much from the Native Korean speakers. However, curved boundary tone that is quite frequently used by Koreans, which implies kind and polite attitude, was realized by the both groups at a much lower rate. Third, two groups of Russian learners showed difference in realization of Intonation phrase final lengthening according to the length of residence, but compared to Koreans the length of boundary tones was relatively short or there was no prolongation at all. The significant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this research by described the features of intonation realization in interlanguage of Russian learners of Korean that had not been brought forth before in the previous studies, and by that provided the content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that could be helpful in correcting intonation errors of Russian learners. Secon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ontributed to expanding the base of research in the second language prosody acquisition and examined the influence of two variables: the length of residence and mother tongue interference on the realization of Korean intonation by Russian learners. However, this study has a few limitations. The number of participants is quite small and the study subject is limited to the intonation of Accentual Phrases and boundary tones of Intonation Phrases. Especially, the study focused on the simple quantitative measure of the length of residence in describ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Korean intonation realization of Russian learners, but did not reveal the influence of qualitative measures of the intensity of interaction such as the quality of non native speakers’ exposure and social contacts conducted in Korean langua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urther researches on Korean intonation acquisition of Russian learners are expected to be held in detail from the point of qualitative analysis and a greater variety of aspec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B. 선행 연구 검토 6 II. 이론적 배경 15 A. 억양의 정의 15 B. 한국어 억양 구조와 특징 16 1. 강세구 21 2. 억양구 23 C. 러시아어 억양 구조와 특징 28 1. 강세구 31 2. 억양구 36 III. 연구 방법 42 A. 실험 참여자 42 B. 실험 방법 및 절차 44 C. 실험 도구 46 D. 분석 기준 48 IV. 연구 결과 52 A. 문두 강세구 52 1. 고성조군으로 시작된 강세구 성조유형 52 2. 저성조군으로 시작된 강세구 성조유형 67 B. 문말 억양 79 1. 평서문 문말 억양 79 2. 판정의문문 문말 억양 86 3. 설명의문문 문말 억양 91 4. 청유문 억양구 문말 억양 92 5. 명령문 억양구 문말 억양 98 V. 결론 103 참고문헌 108 <부록 1> 러시아인 학습자 기본 정보 설문지 117 <부록 2> 러시아인 학습자를 위한 발화 실험지 119 <부록 3> 녹음을 위한 대화 텍스트 – 문두 강세구 관찰용 122 <부록 4> 녹음을 위한 대화 텍스트 – 문말 억양 관찰용 123 ABSTRACT 1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5097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러시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에 나타나는 억양의 실현 양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문두 강세구와 문말 억양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features of intonational realization in interlanguage of Russian learners of Korean: focused on intonation of accentual phrase and boundary tones-
dc.format.pageviii, 127 p.-
dc.contributor.examiner박선희-
dc.contributor.examiner최형용-
dc.contributor.examiner이해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