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숙영-
dc.contributor.author김민아-
dc.creator김민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9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8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9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803-
dc.description.abstractThe Harlem Renaissance is a cultural movement that mainly stemmed from the Harlem district of New York City during the 1920s and 1930s. The 1920s Harlem was a large city made up mostly of African-Americans, resembling an African-American racial capital. During that time in Harlem, a cultural awakening in African-American literature and art spurred widespread activities among African-American artists. African-American jazz born during that time has become a mainstream music in the U.S. and other African-American plays, musicals, novels and dramas were also at its peak. In particular, African-American a were no longer isolated in their works like the past and were able to inspire one another with those of similar backgrounds, promoting artistic development. The African-Americans of the Harlem Renaissance strived to newly define African-Americans as human in themselves revived of their own dignity and identities, breaking away from the phase of a long, unconditional self-denial and feeling of inferiority and hatred towards the white men. These African-Americans who were filled with the determination for decolonization and racial awareness to meet that desire are termed the ‘New Negro.’ The New Negro symbolizes the spirit and consciousness of African Americans who were free from the feeling of inferiority towards the whites. They were independent metropolitan beings who were culturally active, politically aggressive and could clearly express their thoughts. The ‘New Negro’ artists of the Harlem Renaissance portrayed a positive image of the African-American self-ego and self-esteem through a correct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ir motherland Africa. They denied the moral values, artistic standards and world views of the whites and created a new history and a world from the African-American point of view. The “New Negro” opted to define themselves through their artworks, stepping up from the structuralized Black image that had been built from colonization and oppression of the past. The artworks of ‘New Negro’ artists portray characteristics of post-colonialism, which can be analyzed through the Pan-Africanism and African-American nationalism theory, both of which are the ideological pillars and roots of post-colonialism, and the contemporary post-colonialism theory. First, by depicting their motherland African as their root of identity, they denied to be spiritually subjugated by the whites. Second, they transfigured the white Christ to a black Christ in order to set Christianity, once preached to strengthen slavery, as a post-colonial strategy to overrule the white dominance. Third, they overturned the structuralized dichotomy of black and white and the standardized system of race classification through intentional emulation of the whites and frequent appearance of people with mixed black and white race. Fourth, the “New Negro” artists were able to overcome the white cultural supremacy and the tendency of black culture remaining at the peripheries by reproducing diaspora cultures of black and white hybridity such as the blues and jazz into art. These four characteristics are directly related to discourse on cultural hybridity, diaspora, race, class, difference and identity prevalent in contemporary post-colonialism art. The Harlem Renaissance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 1960s ‘Black Art Movement’ and opened the doors to art of different races. Not only did the Harlem Renaissance set the foundation for the production and discourse of art among African-Americans but also for other minorities. The ‘New Negro’ art of the Harlem Renaissance was identified as the root of post-colonialism art after the 1980s and expands the boundaries of post-colonialism art.; 1920, 30년대 뉴욕시의 할렘을 중심으로 일어난 할렘 르네상스(Harlem Renaissance)는 미국사회에서 노예제로 인하여 종속과 식민화를 경험한 흑인들이 잃어버린 흑인의 존엄성과 자긍심을 되찾고, 백인이 남긴 예속화를 극복하려는 시도에서 발생한 흑인의 문예부흥 운동이다. 흑인들만의 거대 도시가 된 1920년대의 할렘은 흑인들의 수도와 같은 곳이었다. 당시 이곳에서 흑인의 문화적, 예술적 각성이 일어나 흑인 예술인들의 활동이 대대적으로 펼쳐졌다. 이곳에서 만들어진 흑인의 재즈는 미국을 대표하는 주류 음악이 되었고, 그 외 흑인들의 연극, 뮤지컬, 소설, 드라마 등도 활발하게 전개됐다. 특히 흑인 미술가들은 과거의 고립된 작품 활동에서 벗어나 처음으로 같은 배경을 지닌 흑인 동료 예술가들과 영감을 주고받으며 예술적 발전을 도모했다. 할렘 르네상스기 흑인들은 그간의 맹목적인 자기 부정과 백인에 대한 열등감 및 증오의 허울에서 벗어나 주체성을 회복한 하나의 온전한 인간으로서 흑인을 새롭게 정의하고자 했다. 이러한 흑인의 욕구에 부응하여 탈식민 의식을 갖고 인종적 자각을 한 흑인이 ‘뉴 니그로(New Negro)’이다. ‘뉴 니그로’는 백인에 대한 열등감으로부터 해방된 할렘 르네상스기 흑인들의 정신과 의식을 상징한다. 이들은 문화적 성향을 띄고 주체적 자의식을 지녔으며 정치적으로 공격적이고 자기 생각을 분명히 말 할 수 있는 도시적인 존재였다. 할렘 르네상스의 ‘뉴 니그로’ 미술가들은 백인 미술이 의도적으로 구축한 왜곡된 흑인 이미지를 거부하며 흑인을 재현하는 창조이자 시선의 주체가 흑인임을 분명히 자각하였다. 자신을 대변할 사회적, 문화적 기회를 얻은 흑인 미술가들은 작품을 통해 흑인적 경험을 가시화하고 긍정적 흑인의 이미지를 인식시키고자 했다. 이들은 모국 아프리카에 대한 올바른 역사 인식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 인식과 흑인에 대한 자긍심을 작품에 드러냈으며, 백인이 강요하는 윤리적 가치, 미적 기준과 세계관 등을 거부하고 흑인들의 눈으로 본 세상과 흑인만의 역사를 재현했다. 과거 지배와 억압에 의해 구조화된 흑인상에서 벗어나 ‘뉴 니그로’는 미술 활동을 통해 스스로를 정의하고자 한 것이다. ‘뉴 니그로’ 미술가는 할렘 르네상스의 사상적 축이자 탈식민주의의 뿌리라고 할 수 있는 범아프리카주의(Pan-Africanism)와 흑인 민족주의, 그리고 오늘날의 탈식민주의 이론으로 분석 가능한 탈식민적 특성을 작품에 담아냈다. 첫째, 모국 아프리카를 자신들의 정체성의 근원으로 표현함으로써 백인에 대한 정신적 예속화를 거부했다. 둘째, 백인 그리스도를 흑인 그리스도로 변모시킴으로써 백인이 노예제 강화를 위해 전해준 기독교를 오히려 그들의 지배를 전복시키는 탈식민적 전략으로 삼았다. 셋째, 의도적인 백인 모방과 다양한 흑백 혼혈인을 등장시켜 정형화된 흑과 백의 이분법적 재현 체계와 획일적 인종분류 시스템을 전복시켰다. 넷째, 흑과 백이 혼종된 디아스포라적 문화인 블루스와 재즈를 미술로 재현함으로써 백인 문화 우월주의와 흑인 문화의 주변성을 극복하였다. 이 같은 네 가지 특성들은 오늘날 탈식민주의 미술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문화 간의 혼종성, 디아스포라, 인종, 계급, 차이, 정체성 담론 등과 직접적인 관련을 맺는다. 할렘 르네상스는 1960년대 흑인 예술 운동에 직접적 영향을 끼쳐 유색 인종 미술에 대한 첫 공론의 장을 열었고, 오늘날 탈식민주의 미술에서 흑인 미술뿐만 아니라 그 외 여러 소수자 미술의 생산과 담론을 위한 초석을 마련하였다. 이와 같이 할렘 르네상스의 뉴 니그로 미술은 1980년대 이후 제기된 탈식민주의 미술의 뿌리를 확인시키고, 탈식민주의 미술의 범주를 확장시킨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탈식민주의와 탈식민주의 미술 10 A. 탈식민주의 뿌리로서의 ‘범아프리카주의’와 ‘흑인 민족주의’ 10 1. 두 보이스의 범아프리카주의 11 2. 마쿠스 가비의 흑인 민족주의 17 B. 영미 학계내의 탈식민주의 이론 21 C. 탈식민주의 미술 35 III. 할렘 르네상스 미술 42 A. 할렘 르네상스의 형성 42 B. 할렘 르네상스 미술의 흑인 재현 48 1. 미국 백인 미술의 타자적 흑인 재현 48 2. 흑인 미술의 주체적 흑인 재현 52 C. 할렘 르네상스 미술에 대한 미술사적 재해석 56 1. 비평계와 제도권의 인종적 편견에 대한 비판 56 2. 1930년대 미국 미술의 아메리카니즘과 흑인 민족주의 60 IV. ‘뉴 니그로’의 탈식민적 의식 66 A. ‘뉴 니그로’의 개념 66 B. ‘뉴 니그로’의 출현 배경 69 1. 1차 세계대전과 흑인의 각성 69 2. 할렘의 게토화 72 3. 급진적 흑인운동과 저널리즘의 확산 76 C. ‘뉴 니그로’의 탈식민적 의식 81 1. 자의적 디아스포라 81 2. 혼종적 이중의식 84 Ⅴ. 할렘 르네상스의 ‘뉴 니그로’ 미술에 나타난 탈식민주의적 특성 89 A. 모국 아프리카 뿌리 찾기 89 1. 아프리카 유산의 회복 89 2. 문명의 기원으로서의 아프리카 98 B. 백인 기독교의 해체 101 1. 해방자 ‘흑인 그리스도’ 102 2. 십자가에 처형된 무죄한 흑인 그리스도 106 C. 백인 모방 111 1. 중, 상류층 흑인의 백인 모방 111 2. 혼혈 흑인의 인종분류 해체 118 D. 디아스포라적 문화 형성 124 1. 흑인 민중의 노래 블루스 125 2. 문화적 혼종: 재즈 129 V. 결론 136 참고문헌 139 도판 159 도판목록 171 Abstract 1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9704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할렘 르네상스의 '뉴 니그로 New Negro' 미술에 나타난 탈식민주의적 특성-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Characteristics of Post-colonialism in New Negro Art during the Harlem Renaissance-
dc.creator.othernameKim, Min A-
dc.format.pageiv, 180 p.-
dc.contributor.examiner김재원-
dc.contributor.examiner김현주-
dc.contributor.examiner전혜숙-
dc.contributor.examiner김남시-
dc.contributor.examiner박숙영-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