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7 Download: 0

마음 다스리기 프로그램이 정서·행동장애 위험학생을 포함한 통합학급 초등학생들의 정서안정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마음 다스리기 프로그램이 정서·행동장애 위험학생을 포함한 통합학급 초등학생들의 정서안정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Mindfulness-based Mind Control Program on Emotional Stability and Self-regul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 Risk for EBD and Their Typically Developing Peers in an Inclusive Class
Authors
박인선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지연
Abstract
학교교육은 서로간의 경쟁보다는 전인(全人)에 관심을 두고 신체와 정신의 조화로운 성장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국내의 연구자들은 초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정서조절 프로그램이 시급함을 강조하고 있지만 실제적으로 학교교육과정 안에서 정서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서·행동상의 어려움을 보이는 학생들은 다양한 갈등 상황에서 부정적인 감정을 갖기가 쉽고 감정을 충동적으로 분출할 가능성이 많으므로 감정을 스스로 통제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정서·행동상의 어려움을 보이는 학생들을 위한 증거기반실제 중에는 인지·행동적 접근이 있는데 인지·행동중재는 감정 통제와 이완 기술의 지도를 주요 요소로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몸과 마음을 이완하고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며 자연과 어울려 전인적 성장을 도모하는 교육으로 마음챙김, 심성놀이, 발도르프 교육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위 접근들은 정서능력 함양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나 일반 공립초등학교에서 실시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마음챙김을 중심으로 한 마음 다스리기 프로그램을 통해 위의 접근들의 강점과 특징을 살리면서도 학교 현장에서 일반 공립학교 교사들이 쉽게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는 정서조절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정서·행동장애 위험학생들이 포함된 통합학급 상황에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정서안정과 자기조절력 향상을 고려한 마음 다스리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 다스리기 프로그램이 정서·행동장애 위험학생들을 포함한 통합학급 초등학생들의 정서안정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학생 참여자는 서울 J초등학교와 S초등학교의 6학년 통합학급 각각 한 반이다. 실험집단은 J초등학교이고 통제집단은 S초등학교이며, 각각의 집단은 4명의 정서·행동장애 위험학생과 16명의 일반학생들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정서안정 검사와 자기조절력 검사의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측정하였다. 마음 다스리기 프로그램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통합학급 일반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두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정서·행동장애 위험학생은 각 학생의 사전-사후검사 결과와 전체 평균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음 다스리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통합학급 일반학생들은 정서안정의 변화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마음 다스리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통합학급 일반학생들은 자기조절력의 변화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마음 다스리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정서·행동장애 위험학생과 통제집단의 정서·행동장애 위험학생의 변화양상을 비교해본 결과, 정서안정에서 실험집단 정서·행동장애 위험학생의 사전-사후 변화폭이 통제집단 정서·행동장애 위험학생보다 더 컸다. 자기조절력에서는 실험집단 정서·행동장애 위험학생의 사전-사후 변화폭이 통제집단 정서·행동장애 위험학생보다 더 컸으나 통제집단의 정서·행동장애 위험학생 한 명도 향상을 보였으므로 사전-사후 변화정도가 일관적인 패턴을 보이지 않았다. 전체 평균으로 볼 때는 실험집단의 정서·행동장애 위험학생의 정서안정과 자기조절력이 모두 상승하였으며, 통제집단의 정서·행동장애 위험학생의 정서안정과 자기조절력은 모두 퇴보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마음 다스리기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초등학생들의 정서안정과 자기조절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정의적, 신체적, 인지적 영역을 아우르는 흥미롭고 다양한 내용과 활동으로 교사들이 활용하기 적절한 정서조절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생의 정서교육을 실천하는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 학급차원의 마음 다스리기 프로그램을 학교 교육과정 안에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실시했다는 점, 여러 가지 마음 다스리기의 방법을 소개하고 오감을 통해 체험하도록 하여 정서·행동장애 위험학생들을 비롯한 통합학급 학생들에게 스스로를 조절하는 방법을 찾는 기회를 제공했다는 점, 통합학급 차원에서 마음 다스리기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정서·행동장애 위험학생에게는 자연스러운 사회적 통합을, 일반학생들에게는 예방적 지원을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더 세부적이고 다양한 유형의 학생들이 통합된 학급을 대상으로 정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학생들과 많은 시간을 접하는 통합교사가 주축이 되어 정서교육을 실시한다면 프로그램 후 일반화, 유지에도 좋은 효과가 있을 것이다. 마음 다스리기란 정서적 교감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고 정서적 교감 안에서 자기조절력이 생기기 때문에 교사, 학부모들이 함께 실행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해볼 필요가 있다.;In this thesis, it has been studied for the development of mindfulness-based mind control program on emotional stability and self-regulation by introducing some creative experiences, such as meditation, tea ceremony, and communication with environ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has been described the effect of mindfulness-based mind control program on emotional stability and self-regula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n inclusive class. Especiall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o students at risk of emotional an behavioral disorder (EBD) is analyzed. The program has been conducted for 6th grade students of J and S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Korea. The inclusive classes of the J and S elementary schools were assign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Both classes were with 20 students including 4 students at risk of EBD.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has been applied to asses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for students at risk of EBD were analyzed with the descriptive statistics. The program was conducted for 16 sessions and the program was consisted with 4-subcategory; resolving stress, realizing oneself, communicating with nature, and realizing other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emotional stability and self-regulation for the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econd, the improvement of the emotional stability for the student at risk of EBD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for the student at risk of EBD in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self-regulation, no clear evidence was found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or the average value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emotional stability and self-regulat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were increased and those for the control group were decreased, however.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mindfulness-based mind control program is an effective method for enhancing emotional stability and self-regulation in an inclusive class. It also showed that mindfulness-based mind control program on emotional stability and self-regulation can be applied to students at risk of EBD as well as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