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8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혜영-
dc.contributor.author이보리-
dc.creator이보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9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48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8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483-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 정보화 사회 세계 공용어로서 영어 의사소통 능력은 국가 간 여러 분야의 교류를 이어주는 수단이자 정보 탐색에 활용되는 국가 경쟁력이 되었다. 이에 발맞춰 우리나라 초등영어교육은 암기 위주의 전통적 영어 수업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영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고자 음성언어를 강조하게 되었다. 하지만 초등학교에서 음성언어를 비중 있게 다루는 반면 문자언어 교육을 상대적으로 소홀히 하여 중학교에 올라가서 많은 학생들이 읽기에 어려움을 느끼게 되는 현실이다(최연희 외, 2003). 또한 우리나라와 같이 영어를 외국어로서 배우는 환경(English as a Foreign Language)에서는 한정된 시간의 영어 수업시간으로 유창한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것을 기대할 수 없어 읽기 자료를 통해 영어의 노출량을 늘리는 것이 현실적인 수단이며(Carrell, 1988), 읽기는 초기 읽기 단계에서의 문자 해독 교육과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Chall, 1990). 현재 2009 개정 초등 영어과 교육과정에서도 이를 우려하듯 문자 언어의 도입을 3학년 2학기로 한 학기 앞당겼지만 초기 읽기 단계에서 다뤄져야할 문자 해독 단계에서의 다양한 읽기 습득 능력 체계는 반영되지 않았다. 또한 초등 영어 교육의 목표에서도 언급했듯이 초등학교에서의 목표가 영어를 처음으로 접하는 학생들에게 영어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갖게 하여 이를 토대로 지속적인 영어 학습이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라 볼 때, 영어에 대한 흥미도는 초등학교 영어 교육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영어에서의 문자 해독 능력 및 읽기 유창성과 더불어 영어 흥미도가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영어 흥미도가 문자 해독 능력 및 읽기 유창성과 독해력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밝히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문자 해독 능력과 읽기 유창성은 독해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영어 흥미도는 독해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 영어 흥미도는 문자 해독 능력과 읽기 유창성이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가? 3-1. 영어 흥미도는 문자 해독 능력과 독해력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3-2. 영어 흥미도는 읽기 유창성과 독해력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A 사립 초등학교 6학년 아동 총 95명이다. 문자 해독 능력과 읽기 유창성 측정을 위해 Good과 Kaminski(2011)에 의해 고안된 읽기 능력 측정 도구인 DIBELS(Dynamic Indicator of Basic Early Literacy Skills) Next Assessment를 사용하였다. 문자 해독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문자 인식, 음소 인식, 단어 인식, 또한 읽기 유창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독해력 측정을 위해서는 한국형 렉사일 검사인 E-LQ 온라인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영어에 대한 흥미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영어 학습 및 영어책에 대한 흥미도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한글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표준 다중 회귀분석과 3단계 매개 회귀분석 기법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자 해독과 읽기 유창성 중 어떠한 변인이 독해력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와 그 영향력의 크기를 알아보았다. 또한 학습자에게 정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영어 흥미도가 독해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영어 흥미도는 문자 해독 능력 및 읽기 유창성과 독해력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자 해독 능력과 읽기 유창성은 독해력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문자 해독 능력과 읽기 유창성은 독해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자 해독 능력과 읽기 유창성은 독해력의 총 변화량의 59.4%를 설명하고 있으며, 읽기 유창성보다 문자 해독 능력이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자 해독 능력의 하위 요소인 문자 인식, 음소 인식, 단어 인식과 독해력과의 관계에서는 문자 인식을 제외한 두 요인이 독해력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세 요인 모두 독해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중 단어 인식이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어 흥미도는 독해력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으며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흥미도는 독해력의 총 변화량의 40%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영어 흥미도가 문자 해독 능력 및 읽기 유창성과 독해력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분석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 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하지만 영어 흥미도와 문자 해독 능력, 읽기 유창성은 각각 독해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자 해독 능력과 읽기 유창성이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매우 커 두 변인이 함께 투입되었을 때 영어 흥미도에 대한 효과가 미미해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초기 읽기 단계에서 습득되는 문자 인식, 음운 인식, 단어 인식 같은 문자 해독 능력은 독해력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훗날 능숙한 읽기 능력을 위해 습득 되어야할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초등학교에서는 읽기의 초기 단계에서 습득해야할 문자 해독 능력과 읽기 유창성의 측정을 통하여 학습자의 읽기 능력에 대한 조기 진단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읽기의 세부 능력에 대하여 개별적인 조언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단어 인식 능력이 독해력에 큰 영향력을 끼치는 것으로 보아 초등학교 영어과 읽기 교육과정 및 교수방법 개발 시 음성 언어 지도와 함께 문자를 식별하여 음소로부터 단어, 문장, 문단이 생성되는 과정을 세부적으로 다룰 수 있는 상호작용 모형(interactive compensatory model)을 적용한다면 단어 인식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다음으로 영어책에 대한 흥미는 독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어에 대한 흥미를 북돋을 수 있는 영어 수업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교실에 학생 수준에 맞는 영어책을 비치해 놓아 영어책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일으킬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영어 흥미도는 문자 해독 능력 및 읽기 유창성과 독해력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영어 흥미도는 문자 해독 능력, 읽기 유창성과 독해력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기에 읽기 기술뿐만이 아닌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흥미를 고려해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한 후속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읽기 이해력의 신장을 위해서는 학습자가 가진 읽기 능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문자 해독과 읽기 유창성 훈련 및 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외국어로서 영어를 학습하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문자 해독 능력과 읽기 유창성을 진단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춘 진단도구에 대한 연구 또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문자 인식, 음소 인식, 단어 인식과 같은 문자 해독 능력은 읽기의 자동화가 일어나기 위해 꼭 필요한 읽기 능력이며, 이는 읽기 유창성을 기르고 나아가 능숙한 독해력을 습득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읽기 발달 단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영어과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학습자의 정의적인 영역은 문자 해독 능력, 읽기 이해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학습자들의 흥미를 일으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Reading is a complex performance that requires simultaneous coordination across many tasks. To achieve simultaneous coordination across tasks, instantaneous execution of component skills is required (Logan, 1997). The process of learning how to read is conceptualized as a series of different stages and students acquire decoding skills and reading fluency needed to become a fluent reader on each stages of reading. If the variability in growth rate of decoding skills and reading fluency effect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later on,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to monitor students' growth rate those skills to accommodate students' needs. Teachers also must be responsible for knowing which reading skills each student lack and provide the proper education each student requires. However, students who learn English as second language in Korea lack in amount of input they get from reading due to the emphasis on speaking language at school. For teachers to gain more knowledge on the effects of early reading skills, more research should be held on analysing which early reading skills which influe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reading.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decoding skills, reading fluency and interest in English on reading comprehension. Moreover, the mediating role of interest in english among the decoding skills,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was examined. The reading measures were administered individually to a sample of 95 sixth grade students in Seoul, Korea to assess and analyse students' decoding skills,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The following sub-tests(Letter Naming Fluency, Phonemic Awareness, Word Fluency) were used to measure the decoding skills along with the Oral Reading Fluency. E-LQ online test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of students. Also, the students' data on interest in English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The findings obtained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 showed significant effects of bot decoding skills and reading fluency on reading comprehens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both decoding skills and reading fluency are highly correlated with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Also, decoding skills and reading fluency showed high correlation. Among the subordinates of decoding skills(Letter Naming Fluency, Phonemic Awareness, Word Fluency), word fluency showed highest effect on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These results imply that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can be predicted by the level of students' decoding skills and reading flunecy and suggest that these reading skills must be highly considered when monitoring students' reading ability. Secondly, simple regression showed that students' interest in English does effect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This result supports many previously conducted researches that showed the importance of the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when studying English. Therefore, teachers in schools must always consider the affective domain of students so that they can be engaged in learning and become successful. Thirdly, the mediating role of an interest in English between the decoding skills and reading fluency respectively with reading comprehens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interest in English showed strong relationship with all decoding skills,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therefore,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interest in English does mediate the relationship among those skills and reading comprehension but the correlation with decoding skills,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was too strong that the mediating effect did not show statistically. In short, the study showed that the decoding skills and reading fluency, especially word fluency, effect significantly on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and the interest in English always effect the reading proficiency skill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effects as the above results. The result of the study was conducted to only 95 sixth grade students in one private elementary school. Therefore, pedagog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es were present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A. 읽기 4 1. 읽기의 정의 4 2. 읽기 능력 발달 이론 5 3. 읽기 검사 도구 9 B. 문자 해독 능력 15 1. 문자 인식 16 2. 음소 인식 17 3. 단어 인식 21 C. 읽기 유창성 23 D. 독해력 25 1. 독해력의 정의 25 2. 독해력 평가의 종류 27 E. 영어 읽기의 흥미도 29 Ⅲ. 연구 방법 32 A. 연구 대상 32 B. 연구 도구 34 C. 연구 절차 46 D. 자료 수집 절차 47 E. 자료 분석 방법 48 Ⅳ. 연구 결과 49 A. 독해력에 대한 문자 해독 능력과 읽기 유창성의 영향력 49 B. 독해력에 대한 영어 흥미도의 영향력 55 C. 문자 해독 능력 및 읽기 유창성과 독해력 사이의 영어 흥미도의 매개효과 57 V. 결론 및 제언 61 A. 결론 61 B. 교육적 시사점 및 제언 64 참고문헌 66 부록 75 ABSTRACT 11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77358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초등 영어 학습자의 문자 해독 능력, 읽기 유창성 및 흥미도가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Decoding Skills, Reading Fluency and Interest in English on Reading Comprehension-
dc.creator.othernameLee, Bo Ri-
dc.format.pageviii, 12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