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4 Download: 0

조선후기 풍류방과 기방의 춤문화 비교 연구

Title
조선후기 풍류방과 기방의 춤문화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Dance Culture of Pungryubang and Gibang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Authors
유화정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상미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후기 풍류방(風流房)과 기방(妓房)의 구성원들이 향유했던 춤문화의 구조 및 의미를 도출하여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한국전통춤이 현대인들에게 대중화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출발했으며 이를 위해 당시의 풍류현장을 기록한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풍류방과 기방 춤문화의 구조를 연행자, 연행형태, 감상자, 감상형태로 분류하여 연구한 후 이를 기반으로 춤문화의 의미를 도출하여 비교하였다. 풍류방과 기방 춤문화의 구조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풍류방의 춤문화 공간은 한양 중촌의 우대를 기반으로 도시 속 다양한 장소에서 성립되었으며 구성원의 자발적인 참여와 운영으로 이루어진 비영업 공간이었다. 반면 기방의 춤문화 공간은 한양 중촌의 아래대를 기반으로 성립된 실내의 영업공간이었다. 둘째, 풍류방의 연행자는 전문예인으로서의 인식을 지닌 약방·상방 출신의 상급기생이었으며 이들은 변형된 형태의 교방정재를 연행하였다. 기방의 연행자는 출신 및 소속을 막론한 다양한 기생들이었으며, 이들은 기업 활동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써 춤을 활용하였고 당시 유행하는 모든 춤을 연행하였다. 셋째, 풍류방의 감상자는 우대 중간계층이 주를 이루었으며 이들이 지녔던 춤에 대한 인식은 예술과 성애적 향락 추구의 중간지점에 자리하고 있었다. 기방의 감상자는 아래대 중간계층 및 왈자 집단이 주를 이루었으며 이들에게 춤은 성애적 향락 추구를 위한 여흥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도출한 풍류방과 기방 춤문화의 의미는 ‘남성 중간계층의 집단의식 발현 공간’, ‘여성 전문 예인들의 연행 공간’, ‘색의 공간’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의미들은 예술문화와 유흥문화가 풍부하게 발전되었던 조선후기 사회의 문화적 흐름을 내포함과 동시에 풍류방과 기방의 정체성을 함축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두 공간의 구조와 의미에서 나타나는 공통적 특징들 중 일부는 현대 한국전통춤의 공연과 감상에 적용 가능하다. 특히 감상자의 성향을 최우선으로 하여 시시각각 변형되는 연행형태와, 연행이 진행될수록 모든 구성원들의 역할이 교차되면서 집단적 신명의 경지로 나아가는 과정은 한국전통춤의 정체성 보존과 대중화 모두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다. 본 논문은 한국전통춤에 대한 독립적인 감상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것이 현대의 한국문화 연구와 접목된다면 더욱 효과적으로 미래 한국전통춤의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tructures and the implications of dance culture enjoyed by the members of Pungryunbang and Gibang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This study begins to explore the ways to make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popular to modern people and conducted based on literature materials recording the field of enjoyment. The structures of Pungryunbang and Gibang are classified by the subjects of performance, the forms of performance, the subject of appreciation, the form of appreciation, and then the implications of dance culture are deduced and compared.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structures of Pungryunbang and Gibang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places of dance culture of Pungryunbang were established in a variety of places in cities based on the upper site of Hanyang, Jungchon. They were non-commercial places which were consist of voluntary participation and management by their members. In contrast, the places of dance culture of Gibang were indoor commercial places which we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lower site of Hanyang, Jungchon. Secondly, the subjects of performance in Pungryubang were the senior Gisaengs from Yakbang and Sangbang, who had the recognition as the professional entertainers. They performed Gyobangjeongjae in the transformed form. The subjects of performance in Gibang were a variety of Gisaengs regardless of their origins or belongings. They utilized dance as a means of business activities, and they performed all popular dance at that time. Thirdly, the subjects of appreciation in Pungryunbang were mainly middle-classes of the upper site. Their recognitions on dance were on the cusp between the pursuit of artistic pleasure and sexual pleasure. The subjects of appreciation in Gibang were mainly middle classes and Walja group in the lower site, and the dance was the entertainment for the pursuit of sexual pleasure. The implications of dance culture in Pungryubang and Gibang which are deduced from the results above are as follows: ‘the space of expression of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of the middle class men’, ‘the space of performance of the female professional entertainers’, ‘the space of Saek (eroticism)’. it can be said that such implications include the cultural trend of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society in which the art culture and entertaining culture was richly developed as well as imply the identities of Pungryubang and Gibnag. In conclusion, certain parts among the common characteristics appeared in the structures and the implications of two places can be applied to the performance and appreciation of modern Korean traditional dance. Particularly, the form of performance of ever- transforming with the emphasis on the nature of appreciators and the procedure of advancing toward the collective Sinmyeong by intersecting the roles of all members as the performance proceeding is the point to contribute to the preservation and popularization of the identitie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for the independent method for appreciation on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As integrated with the current Korean cultural studie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opularization of the future Korean traditional dance more effective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