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37 Download: 0

중립적 소비자 정보원천에 대한 연구 : 상품테스트 정보를 중심으로

Title
중립적 소비자 정보원천에 대한 연구 : 상품테스트 정보를 중심으로
Authors
우윤재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정책과학대학원 산업경제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정보와 기술의 발달로 인해 제품의 기술이 점차 고도화되고 제품의 종류와 수가 급격한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자신의 요구에 맞게 구매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제품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제품이 시장에 존재하는지 또는 특정한 제품의 품질이나 가격이 적정한지에 대해 소비자들이 탐색해야할 정보의 양 또한 증가하게 되었다. 반면, 소비자는 이러한 제품 정보를 객관적으로 인지할 능력이 부족하며 다양하고 복잡한 제품의 품질을 비교하고 측정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게 되었다. 게다가 우리나라에는 품질을 비교할 수 있는 상품테스트정보가 가격 정보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소비자 단체 및 한국소비자보호원에서 상품 테스트를 통한 품질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품목 수에 있어서 선진국에 비해 적은 편이고 홍보가 제대로 되지 않아 소비자들의 이용도가 낮은 편이다. 이러한 품질정보의 부족으로 소비자들의 비합리적인 구매를 하게되고 안전에 문제가 있는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함으로써 신체나 재산상에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시장 개방화에 따라서 수입 상품이 증가하고 있고 전자상거래로 인한 경쟁의 가속화가 진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상품테스트와 같은 객관적 품질 정보의 필요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상품테스트 정보가 부족한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 상품테스트 기관의 현황을 살펴보고 상품테스트 정보가 어떠한 형식과 내용으로 소비자에게 제공되어야 효율적인지에 대하여 바람직한 모델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각종 소비자 잡지와 기관의 보고서 등의 자료를 토대로 한 문헌 중심의 비교 연구이다. 상품테스트 운영상의 비교에서의 연구대상은 우리나라의 정부기관인 한국소비자보호원과 민간단체인 Consumer Union을 비교 하여 상품테스트의 양과 운영상의 차이점이 존재하는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상품테스트 운영상의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상품테스트의 질적 비교에서는 한국과 미국, 그리고 호주와 영국에서 2000년~2001년에 실시된 상품비교 테스트 중 같은 종류의 품목을 선택하여 소비자 정보원의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운영면과 내용면으로 나누어 바람직한 상품테스트 모델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우선 상품테스트의 운영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품목선정에 있어서 고가품과 저가 생활용품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해야하겠고 제품뿐만 아니라 보험이나 금융, 의료 등 서비스에 대한 평가가 실시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테스트 품목이 중복되지 않고 다양한 품목에 대한 정보가 전달 될 수 있도록 소비자 단체와 소비자 보호원의 정보 교환 및 협력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또한 정보제공 기관에서는 상품 테스트 품목을 선정 할 때 소비자 조사를 실시하여 소비자들이 요구하는 품목을 선택하고 시험 항목에 대한 의견을 들어 이를 적극 반영하도록 해야 하겠다. 둘째, 시험항목 및 가중치 선정시 시험기관이 임의대로 정할 것이 아니라 시험계획 수립시 소비자조사 및 전문 위원회 등의 심의를 통하여 적절한 시험항목 및 가중치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실험실 테스트뿐만 아니라 전문가 테스트, 사용자 테스트를 실시하여 제품 만족도나 제품별 고장율등 주관적이고 경험적인 측면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어야 하겠다. 넷째, 소비자 정보의 유통을 더욱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고학력, 고소득의 특징을 가진 정보탐색자 (Information Seeker) 뿐만 아니라 전체 대중에게 테스트 정보가 전달 되도록 대중매체를 적극 이용해야 하겠다. 즉 상품 테스트 결과를 고정적, 정기적으로 신문·잡지·TV에 신속하게 알려 유용한 정보를 다수의 소비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품테스트의 내용 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이 상품테스트의 내용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서는 종합 품질 평가를 제시하여야 하고 품질 점수를 수치화 하여 같은 등급에서도 뚜렷한 차이를 알 수 있도록 해야하겠다. 둘째, 상품테스트 정보가 더욱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테스트 결과에 대한 이의제기가 없고 문제가 없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품테스트 결과를 제조자에게 테스트 결과를 통보하고 이의 제기시에는 재검사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속성에 대한 상품테스트 기관의 가중치를 표시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자신의 가중치와 비교해 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가중치를 선정할 때는 성능에 대한 중요도를 조사하여 가중치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평가와 개선점을 토대로 앞으로 소비자보호원의 <소비자 시대>가 정보의 전문화, 다른 정보와의 차별화를 위해서 현재의 종합정보지의 성격에서 상품 테스트 기사의 비중을 높여 상품 테스트 정보의 보완과 신뢰성을 확보한다면 시장에서의 큰 영향력을 가지게 될 것으로 보인다. 후속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소비자 단체에서 생산하는 상품 테스트 정보에 대해서도 비교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단일한 제품에 대한 상품 테스트 정보를 비교하였기 때문에 좀더 정확한 비교가 이루어 지기 위해서는 다양한 제품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겠다.; Technologies of products have been highly developed thanks to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and technology, and number and kind of products have rapidly increased. Therefore, consumers can purchase various kinds of products according to their tastes. While a consumer shall search more information to find whether the product he or she desires exists in the market or quality or price of the product is proper among such diverse kinds of products, consumers are lack of ability of recognizing objectively such product information and search cost becomes increasingly high. In Korea, product test information enabling quality comparison is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ed to price information. Although several consumer organizations and Korea Consumer Protection Board provide quality information through product test, less number of items is provided than that of advanced countries, and consumers little use it due to lack of promotion. However, the need of objective quality information has been increased gradually on the point of time that import products have increased according to the opening of market and competition has been accelerated due to e-Commerce. Therefor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 of product test institutions to look deep into the cause of lack of product test information in Korea, and to suggest a desirable model with effective form and content of product test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consumers. As a method of this study, comparative study focused on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with reference to the data of several consumer magazines and reports of organizations. For comparison of product test management, the subjects - Korea Consumer Protection Board of a government organization and Consumer Union of a private organization - were compared to examine whether any difference in quantity and management of product tests exists, and merit and demerit of product test management in Korea were analyzed. For quality comparison of product tests, items of the same kind were selected and they were assessed according to the assessment standard of consumer information sources among the product comparison tests performed in 2000-2001 in Korea, U.S., Australia and U.K. Based on the above results, a desirable product test model is suggested as follows in each aspect of management and content. First, in the aspect of management, the followings shall be considered; First, in selection of item, high-priced article and low-priced article shall be balanced, and assessment of insurance, finance and medical service as well as product shall be performed. Therefore, information exchange and cooperation by Korea Consumer Protection Board and several consumer organizations is needed so that test items not be overlapped and information of diverse items be communicated. In addition, consumer survey shall be performed when an information-providing institution selects item for product test to select items consumers need and fully reflect their opinion of the items. Second, in selection of test item and weight, consumer survey and deliberation of professional committees shall be performed in establishment of a test plan without random selection by test institution. Third, professional test and user test as well as laboratory test shall be performed to provide information in subjective and empirical aspect such as product satisfaction, failure rate by products. Fourth, mass media shall be actively used for communicating test information to the mass of people as well as information seeker with high education and income to more activate distribution of consumer information. That is, results of product tests shall be rapidly announced to newspaper, magazine and TV regularly so that many consumers can utilize useful information. And, the followings shall be considered in the aspect of product test; First, general quality assessment shall be performed so that consumers can easily understand the content of product test, and quality marks shall be expressed numerically so that any distinct difference in the same grade can be recognized. Second, any objection shall not be raised and there shall be any problem against the test result so that product test information obtain more reliability. For this, result of product test shall be notified to the manufacturer, and if any objection is raised, reinspection shall be performed. Third, weight of each product test institution by properties shall be indicated so that consumers can compare them with their weight. Weight shall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performance. For specialization of information and differentiation from other information on the basis of such assessment and improvement measures, if of Korea Consumer Protection Board secures supplement and reliability of product test information by increasing articles of product test beyond the current feature of general information magazine, it will have a great effect on the market. In future studies, comparative analysis shall be performed for the test information of products made by our consumer organizations. As this study performed comparison among product test information of a single product, test for diverse products is needed for more correct comparis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산업경제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