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4 Download: 0

담배광고 노출과 남자 중학생 흡연 경험의 관련성

Title
담배광고 노출과 남자 중학생 흡연 경험의 관련성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obacco Advertising Exposure and Smoking Behavior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
Authors
정한나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보건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명
Abstract
오늘날 흡연은 질병과 사망의 가장 큰 설명력을 가지는 위험요인이다. 대부분의 흡연자가 청소년기에 흡연을 경험하고, 한 번 시작하면 끊기 어려운 담배의 중독성을 고려할 때 청소년 흡연 예방은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함이 없다. 청소년 흡연은 다양한 인구사회학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담배광고는 이러한 영향 요인 중 하나이다. 이에 세계보건기구의 담배규제기본협약(FCTC)에서는 담배광고에 대한 포괄적인 규제를 권고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담배광고에 대한 부분적인 규제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분야에 대한 연구도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담배소매점을 중심으로 한 담배광고 노출과 청소년 흡연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청소년 흡연 예방 정책 및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3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자 중학생 8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Test와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흡연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학년, 부모 흡연, 형제ㆍ자매 흡연, 친구의 흡연, 학교생활 만족도, 학업성취도, 스트레스 수준, 사회경제적 수준, 영화 속 흡연 장면 노출, 만화 속 흡연 장면 노출이 흡연경험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신문의 담배광고성 기사, 인터넷의 담배광고성 게시물, 담배소매점의 담배광고와 담뱃갑 진열대의 인지여부가 흡연경험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있었으며, 매체에 관계없이 담배광고에 대한 수용도와 광고 노출 후 구매유혹이 흡연경험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흡연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아버지가 흡연할 때, 친한 친구 3명 이상이 흡연할 때, 학업성취도가 낮을 때, 소매점 담배광고에 대한 수용도가 높을 때, 소매점 담배광고 노출 후 구매유혹이 있을 때 흡연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oday smoking is a leading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It is important to protect adolescents from smoking because almost every smoker starts smoking before age 18 and if someone has become addicted to nicotine once, quitting is extremely difficult. Adolescent smoking is related to various sociodemographic factors. Many studies in other countries have identified tobacco advertising as being one of the factors that affects adolescent smoking.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about this in Korea. Moreover, Korea has not adopt comprehensive regulations on tobacco advertising, which is recommended by WHO FCTC(the 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obacco advertising exposure and adolescent smoking behavior, especially focused on point-of-sale advertising. We collected data from 827 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by using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and performed chi-square test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relevant variables associated with adolescent smoking. Among sociodemographic variables, grades, parents being smokers, siblings being smokers, close friends being smokers, satisfaction of school life, school records, stress levels, socioeconomic status, watching smoking scenes in movies, and watching smoking scenes in cartoon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smoking behavior. Recognition of contents which have tobacco advertising characters in newspapers and on the internet, tobacco advertising at point-of-sale and tobacco pack display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smoking behavior. In addition, high receptivity to advertising and having the desire to buy tobacco after exposure to advertising did. In conclusion, when a father smokes, when someone has more than three friends who smoke, when school records are low, when someone has high receptivity to point-of-sale tobacco advertising, when someone has a desire to buy tobacco after exposure to advertising, adolescents are more likely to become smok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