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5 Download: 0

청계천 헌책방거리 활성화를 위한 장소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연구

Title
청계천 헌책방거리 활성화를 위한 장소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lace brand identity design for vitalization of Cheonggyecheon Secondhand Book street
Authors
박시연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수진
Abstract
책을 통해 지식과 즐거움을 얻던 과거와 달리, 다양한 매체가 발달하면서 독서 인구는 점차 감소하였고, 대형 서점은 일찌감치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발맞추어 다양한 문화를 소비할 수 있는 장소로 탈바꿈하였다. 그러나 이를 따라가지 못한 서점들은 존폐의 기로에 서 있으며, 신간 서점뿐만 아니라 헌책방도 그 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새 책도 온라인을 통해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데다, 온라인 중고 서점과 대형 프랜차이즈 중고 서점까지 등장했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더욱 쾌적하고 편리한 환경을 좇는 것은 당연한 이치일 것이다. 우리나라에는 아직 지역의 대표적인 헌책방거리 몇 곳이 남아 있다. 이 거리들은 각 지역 사회의 역사를 함께해 온 도시의 재산이며 문화적 유산이지만, 이들 역시 시대의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고 그 명맥만 간신히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러한 현상을 단순히 시대적 변화만으로 치부할 수는 없다. 영국의 헤이온와이 책 마을, 일본의 간다 고서점 거리, 그리고 해외 곳곳의 오래된 책방 거리들은 오히려 매해 수많은 사람이 다녀가는 세계적인 관광지이기 때문이다. 해외 사례뿐만 아니라 부산의 보수동 책방골목 또한, 지역을 대표하는 관광지로서 성공적인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이러한 선례들과 같이, 각 지역의 개성과 역사를 간직한 특화 거리는 그 지역 사회를 활성화할 수 있는 훌륭한 자원이 될 수 있다. 지역‧관광 브랜드 개발 열풍에 따라 무리한 개발을 시도하기보다는, 현존하고 있는 특화 거리를 활용한다면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아 있는 헌책방거리 중 가장 대표적인 청계천 헌책방거리를 중심으로 하여 활성화 방안을 세우고자 한다. 거리 전체의 개발이 아니라, 일부분의 변화를 통한 개선책으로서 청계천 헌책방거리의 정체성을 정립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체계를 구축하였다. 또 청계천 헌책방거리의 지리적‧역사적 특징과 특화 거리로서의 개성을 고려하여 콘셉트를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지향점을 도출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청계천 헌책방거리의 아이덴티티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일체감을 조성하고, 기존의 부정적인 인식의 개선과 인지도 상승효과를 꾀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서울시에서 시행하고 있는 독서 장려 정책 및 헌책방 관련 서비스로 말미암아, 더 많은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는 문화공간으로서의 모습을 기대해 본다.;Unlike the past when knowledge and pleasure had been obtained by books, various media was developed, reading population was gradually reduced and huge bookstores were early changed to the place consuming various cultures for the periodical changes. But, bookstores who couldn't follow them are on the boundary between existence and unexistence. Not only new book stores but also secondhand book stores are gradually reduced. New books can be purchased cheaply by online and there are even online secondhand book stores and huge franchise secondhand book stores. It's a natural reason that people purchase more pleasant and convenient environment. In our country, there are still several representative streets of secondhand book store in the region. Those streets are urban assets and cultural heritage which have been succeeded with a history of each regional society, but they are actually maintain the context of name without following the periodical stream. On the other hand, it's impossible to consider the phenomenon as a simply periodical change. Hay-on-wye book town in England, Kanda-Jimbocho book town in Japan and secondhand book streets of other countries are global tourist attractions lots of people visit. Not only overseas examples but also Bosu-dong book street in Busan become tourist attractions which are representative for the region successfully. Like the previous examples, specialized street including individuality and history of each region can be excellent resources which can vitalize the regional society. According to the fever of regional‧tourism brand development, more effective development can be expected if utilizing specialized street rather than trying tough development. Therefore, this research intends to establish vitalization plans by focusing on the most representative Cheonggyecheon secondhand book street among the remained secondhand book streets. As an improvement plan by partial changes, not development of the whole street, identity of Cheonggyecheon secondhand book street was established and design system of brand identity was established. The concept was set by considering geographical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Cheonggyecheon secondhand book street and individualities of specialized street, aiming point was drawn by survey and brand identity design was developed. This research intended to create a sense of unity and induce improvement of existing negative awareness and effects of awareness improvement by establishing identity system of Cheonggyecheon secondhand book street. In addition, it should be a cultural space communicating with more people because of the reading promotion policy conducted in Seoul city and secondhand book store related servi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