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백지연-
dc.contributor.author최유리-
dc.creator최유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3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902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8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90202-
dc.description.abstractTo secure competitiveness of human resources, many organizations have heavily invested on their training programs and have made efforts to increase effectiveness of their training programs. Many studies also have attempted to investigate causes and/or variables in training effectiveness from various perspectives, ultimately in order to increase learning in workplace. As one of the research works reflecting this trend, Kraiger(2003) defined training as a social event and asserted importance of increasing social interaction to increase training effectiveness because fast technology development allows easiness of communication among training participants. In addition, most of informal learning in workplace occurs in social interactions among colleagues, bosses, and subordinates; and thus, social factors take place in workplace learning. In particular, since facing person to person is a common way in informal learning of workplace, it would be very critical to investigate how individual characteristics work as a social factor in informal learning of workpl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rainer-trainee similarity in personality(agreeableness) influences on trainee's learning transfer based on Kriger's social view in training(2008) and Byrne's similarity attraction theory(1971).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o identify the role of positive emotion in informal learning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is study, a trainer is defined as a team leader and a trainee as a team member in informal learning setting in workplace.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set the four-step procedure which is consisted of (1) critically reviewing literature on similarity in personality, similarity attraction, positive emotion, and informal learning; (2) developing research framework and survey through previous research; (3) conducting a survey of 724 employees in 72 corporations, institutes, and associations; (4) analysing research data by using SPSS 19.0 and AMOS 7.0.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imilarity agreeableness has relations with motivation to learn. It means that social interaction plays a certain role in workplace learning, and that perceived similarity among instructors and learners influences positively on workplace learning. Second, positive emotion has relations with motivation to learn. Third, positive emotion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similarity agreeableness and motivation to learn. Key words: similarity attraction, training transfer, positive emotion, motivation to learn;지식기반 사회에서 기업경쟁력을 높이는데 핵심이 되는 인적자원을 개발하기 위하여 기업은 교육훈련에 많은 투자와 관심을 쏟고 있다. 그러나 교육훈련이 조직원의 직무행동 변화를 통하여 업무성과로 이어지는 ‘교육전이’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자들이 회의적인 견해를 갖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육훈련의 효과성을 높이려는 다양한 시각의 연구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중 하나로 Kraiger(2008)는 훈련을 사회적 이벤트(social event)라고 정의하면서, 기술의 발전으로 교육훈련참여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더욱 용이해졌으므로, 이를 활용한 사회적 상호작용(social interaction)의 활성화를 통하여 교육의 효율성을 증대시켜야 주장하였다. 또한 조직에서 일어나는 학습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무형식학습 상황에서는 상사와 부하, 동료와 동료 사이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학습이 발생하므로 무형식학습에 있어 사회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요인(social factor)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겠다. 또한 무형식학습의 특성상 교육훈련이 개인 대 개인으로 일어나는 경우가 많으므로 개개인의 특질이 학습에서 사회적 요인으로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yrne(1971)의 유사성-매력(similarity- attraction) 이론을 바탕으로, 개인의 다양한 특질 중 사회적 요소(social factor)를 가지고 교육훈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으로 성격(personality)의 ‘우호성(agreeableness)'을 상정하고 교육자인 팀장과 훈련자인 팀원 간의 성격유사성이 교육훈련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긍정정서상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제작된 설문지를 통하여 총 72개 기업 및 기관에서 724명의 응답을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19.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과 AMOS 7.0을 사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t-test, one-way ANOVA,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성격유사성과 긍정정서상태의 관계에서 성격유사성과 긍정정서상태는 부(-)의 영향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팀원의 긍정정서상태와 학습동기와는 정(+)의 영향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로, 긍정정서상태가 성격유사성과 학습동기와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본 결과 부분매개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로, 긍정정서상태는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무형식학습의 영향요인연구 영역을 확대하였다 볼 수 있으며, 교육훈련에서 사회적 요소(e.g. interaction)가 중요한 논의점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업교육훈련 시 교육자-학습자(instructor - learner) 관계의 중요성을 환기시키고, ‘지각된 유사성’(perceived similarity)이 긍정정서를 불러일으킴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무형식학습에서 심리학적 변인인 성격이 사회적 요인으로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며, 기업교육 훈련자는 교육훈련에 있어서의 성격의 역할에 대해 고려해보고 기업이 임의적, 일방적으로 팀을 결성하는 프로세스를 재고하여 팀의 효율성을 높여줄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토대로 (1)다양한 성격 요소들(e.g.외향성, 개방성, 성실성)과 개인의 여러 특성(e.g.가치관, 신념)이 교육훈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후속 연구 (2)성격과 같은 심리학적 요인이 형식학습(formal learning)에 미치는 영향, (3)긍정정서와 학습동기, 긍정정서와 학습전이 간의 정립된 관계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들을 후속 연구로 제안하는 바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용어의 정의 6 II. 이론적 배경 8 A. 유사성-매력 패러다임과 성격유사성 8 1. 대인매력과 유사성-매력 패러다임 8 2. 조직학습에 있어서의 유사성 - 매력 11 3. 성격과 5요인 이론 14 4. 우호성과 성격유사성 17 5. 성격의 측정 18 B. 긍정정서 20 1. 긍정정서의 개념 20 2. 긍정정서의 확장과 수립이론 20 C. 무형식학습 24 1. 무형식학습 24 2. 무형식학습과 학습동기 27 3. 무형식학습과 학습전이 31 III. 연구방법 34 A.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34 B. 연구조사방법 37 Ⅳ. 연구결과 44 A. 표본의 구성과 특성 44 B. 측정도구에 대한 검증 46 C. 연구모형의 분석결과 64 V. 결론 71 A. 연구결과 및 논의 71 B.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78 참고문헌 80 부록 - 설문지 96 ABSTRACT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19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팀장-팀원의 성격유사성이 무형식학습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긍정정서상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the Influence of Similarity in Personality on Learning Transfer in Workplace : Focused on a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Emotion-
dc.creator.othernameChoi, Yu Ri-
dc.format.pagexi, 10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제사무학과-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