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미혜-
dc.contributor.author임선영-
dc.creator임선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0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8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7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88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생활하는 여성결혼이민자의 간문화적 의사소통 능력을 위한 가치체계를 중심으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문화 교재를 분석하여 교재 내용 구성 제언 및 문화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여성결혼이민자는 언어와 문화적 차이로 인한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갈등으로 인해 한국 사회의 적응 면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어려움 가운데 간문화적 의사소통 능력 부족으로 인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여성결혼이민자 한국문화 교육에서 가치체계의 이해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교재 내에서 한국문화 교육의 내용이 한국의 가치체계 중심으로 구성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학문 또는 직업 목적 학습자에 비해 한국에서 계속해서 생활해야 하는 여성결혼이민자에게 문화 교육이 더욱 필수적이라고 보고, 체계적인 가치체계 중심 한국문화 교육을 위한 교재 내용 구성에 관해 서술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교재는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교재 중 가장 통합적인 내용으로 여러 기관에서 대표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여성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 1~6』의 언어・ 문화 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위 교재는 여성결혼이민자가 단순히 한국 문화를 이해하는 데 그치지 않고 상호 존중과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문화 상대주의 원칙에 따라 자국 문화와의 차이점을 파악하여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여성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교재가 가치체계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데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어 분석 교재로 선정하였다. 분석 방법은 Hofstede(1980)의 문화 분류 기준을 바탕으로 한국의 가치체계를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권력차이 정도, 여성성과 남성성, 불확실성의 회피 정도, 유교적 역동성에 따라 다섯 가지 범주로 나누고, 최준식(1997), 강현화(2007) 등의 연구를 참고하여 세부 문화 범주를 분류하였다. 이에 따라 가족문화, 우리문화, 공유문화, 관계문화, 체면문화, 서열문화, 남성적 문화, 운명 문화, 장기지향 문화의 9가지 세부 분류 기준을 나누어 분석 틀을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교재의 내용에 나타난 한국문화의 가치체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여성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 1~ 6』교재를 분석한 결과 Hofstede(1980)의 문화 분류 기준을 바탕으로 한 한국의 다섯 가지 가치체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을 때, ‘권력차이 큼> 집단주의> 남성성> 불확실성 회피 정도 높음> 유교적 역동성’ 순의 비율로 나타났다. 또한 세부 문화 범주 분류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의 비율은 ‘서열 문화> 남성적 문화> 체면문화, 운명 문화> 관계 문화> 장기지향 문화, 가족문화> 우리 문화’ 순으로 나타났으며, 공유 문화 가치체계 문화 범주의 내용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따라서 Hofstede(1980)의 한국의 가치체계에 관한 큰 분석 틀을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다섯 가지 가치체계가 모두 나타났지만, 세부 분류 기준을 바탕으로 분석했을 때에는 교재 내에 포함되지 않은 문화 범주도 있어 이 부분을 보완하거나 첨가한다면 내용적으로 더욱 풍부한 한국문화 교재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유교적 역동성의 가치체계가 비교적 적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한국의 장기지향 문화의 특징에 관한 내용을 교재 내에 좀 더 포함시키고, 전통적 가치체계 뿐 아니라 변화하는 현대적 가치체계의 내용과 비교 문화적 관점에서 교재 내용의 폭을 더욱 넓혀간다면 학습자의 흥미를 이끌어가는 데 더욱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단계별 교재 분석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교재의 난이도가 높아질수록 한국문화의 특성이 더 잘 드러나고 있었고, 풍부한 가치체계의 내용을 담고 있어 점차적으로 여성결혼이민자의 간문화적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교재임을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었다. 교재 내용 구성 제언으로는, 집단주의 가치체계에 해당하는 가족문화, 우리문화, 공유문화, 관계문화, 체면문화의 내용 구성 요소로 가족 간의 관계, 효, 겸손, 조화와 덤, 관계 중시, 회식 문화, 격식, 체면 중시 등의 학습 내용을 교재의 읽기나 쓰기 부분의 지문이나 어휘 부분 등으로 구성해볼 수 있다. 또한 남성성의 가치체계에 해당하는 남성적 문화의 내용으로 가부장주의, 남아 선호 사상 등의 남성 중심 가치관 등을 꼽을 수 있다. 하지만 유념해야 할 부분은 Hofstede(1980)의 문화 분류에서도 한국을 비교적 여성적 국가로 분류했듯이 여성적 가치체계의 특징을 함께 나타낼 수 있는 문화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불확실성 회피가 높은 한국의 운명 문화의 특징은 미신, 운세, 민간신앙 등의 내용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흥미를 더할 수 있는 요소로써 사주, 궁합, 운세 등의 내용으로 구성한다면, 학습자의 학습 동기 유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유교적 역동성 가치체계의 장기지향 문화의 내용을 더해 다양한 가치체계에 적합하게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proposing the direction of the culture education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by analyzing the Korean culture textbook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based on the value system for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of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Most of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are having much difficulties in adapting themselves to the Korean society due to the lingual and cultural differences. This study has proposed that the Korean culture education should be made in a way to understand the Korean value system in order to solve conflicts occurring due to the lack of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among these difficulties. This study has also considered that the textbook for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should be composed based on the cultural content of Korean value system and thus has tried analysis of the textbook. The analysis textbook was the language and culture chapter of 『Korean shared with marriage immigrant women 1-6』. The above textbook was considered to be most appropriate in analyzing the value system since it is composed of most representative and various contents among Korean textbook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The analysis method has classified the Korean value system into 5 categories which are the groupism, power difference, masculinity, high level of avoidance of uncertainty and Confucian dynamism based on the culture classification standard by Hofstede(1980) and detailed culture scopes were classified by referring to the studies by Choi Jun-Sik(1997) and Gang Hyun-Hwa(2007) etc. The textbook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has been analyzed based on the value system by taking the 9 detailed classification standard as the analysis frame which are the family culture, our culture, share culture, relation culture, culture of honor, sequence culture, masculine culture, destiny culture and long-term oriented culture. The 『Korean shared with marriage immigrant women 1-6』has been analyzed based on Hofstede(1980)'s culture classification standard, and the result showed the order of big difference of power> masculinity> high avoidance level of uncertainty> Confucian dynamism> etc. Also, the analysis result based on the detailed culture scope showed that there is value system ration in the order of sequence culture> masculine culture> culture of honor and destiny culture> relation culture> long-term oriented culture and family culture> our culture. And, there did not show the share culture value system culture scope. Thus, it was shown according to the textbook analysis result that the Confucian dynamism(long-term oriented) was less shown relatively compared to the value system like difference of power and groupism etc. In fact, the Korean textbook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should also reflect the modern culture element by considering the fluid value system which changes. There is inconveniences about this study since it has tendency of leaning too much toward the center of value system based on the traditional values not on the modern culture. However, the content of culture which is more various and of better completion which can embrace up to the modern culture scope will be able to be established from now on if the value system which can express well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culture is studied step by step. Also, this study has its limitation in that it has not been able to survey regarding the value system of the cultures of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for the enhancement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since it analyzes only the value system of Korean culture which appear in the textbook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Thus, a scheme needs to be established which lets Koreans learn amply the value systems of nation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from the cross-cultural point of view for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which can enable the tru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lthough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be supplemented, the analysis of the textbook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based on the value system is rarely found in studies so far. Thus, this paper has meaning in that it has analyzed the textbook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based on the value system. It is hoped that the education of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will be made systematically from now on also and the textbook which expresses the Korean culture system well like 『Korean shared with marriage immigrant women 1-6』 shall be published in much quantity. Furthermore, it would be much better if textbooks which can enhance the inter-cultural awareness of Korean people who live with marriage immigrant wome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shall be published. Also, the education of Korean culture for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can be of good help for the Korean language ability and is closed related to the lives of them and thus is very important. While this education is implemented mostly by the Korean language teacher, textbooks for self-study and multimedial textbooks will be needed for those marriage immigrant women who are not well educated due to their circumstances. Thus, the textbook is seen to have more important meaning to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Composition of systematic Korean culture textbooks and affluent content are required so that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can receive the Korean culture education easily anywhere and any time. To accomplish this, it is important to compose the textbook in a way which lets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understand step by step starting from the most characteristic element of Korean culture, not only enumerating all the cultures in a complicated way. Thus, the step-specific and scope-specific value system which suits the characteristic of marriage immigrant women shall have to be established as soon as possible and systematic and various textbook with the content which suits this system shall have to be arranged. For this, more studies on what culture education content is needed for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what the Korean culture's characteristics are etc shall have to be made and the content should be made in a way to suit the actual purpos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C. 논문의 구성 4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6 A. 이론적 배경 6 1. 간문화적 의사소통 능력 6 2. 한국문화의 가치체계 13 B. 선행연구 고찰 26 1.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문화 교재 연구 26 2.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문화 교육 연구 27 3. 한국문화의 가치체계 연구 29 Ⅲ. 교재 분석 32 A. 분석 대상 32 B. 분석 기준 및 방법 33 1. 분석의 틀 33 2. 분석 방법 34 Ⅳ. 분석 결과 37 A. 가치체계 범주 및 내용 구성 37 B. 단계별 가치체계 항목 및 교재 예시 40 C. 교재 분석 결과 및 교재 구성 제언 61 D. 시사점 64 Ⅴ. 결론 66 참고문헌 68 ABSTRACT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006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여성결혼이민자 대상의 한국문화 교재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간문화적 의사소통 능력을 위한 가치체계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the Korean culture textbook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 Based on the value system for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dc.creator.othernameLim, Seon Young-
dc.format.pageix, 7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