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3 Download: 0

웹 기반 협력적 쓰기를 통한 한국어 어휘력 향상 연구

Title
웹 기반 협력적 쓰기를 통한 한국어 어휘력 향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vocabulary improvement of Korean using collaborative writing of web-based
Authors
이희욱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협력적 쓰기를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력 향상을 알아보는 것에 있다. 이 연구는 ‘웹’이라는 온라인 게시판에서 같은 그룹 구성원들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협력적인 쓰기가 이루어지게 되며 쓰기 결과를 바탕으로 어휘 밀도와 같은 어휘의 양적인 측정을 통하여 그 향상도를 알아보게 된다. 또한 이러한 웹을 기반으로 하는 협력적 쓰기가 한국어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정의적인 측면을 알아보고자 사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을 택하게 된 것은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 문제 1. 웹 기반 협력적 쓰기가 한국어 어휘력(어휘 밀도)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문제 2. 한국어 학습자들은 웹 기반 협력적 쓰기의 어떠한 부분이 정의적인 측면에서 한국어 어휘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가? 본 연구를 위해 서울 및 경기에 소재한 두 곳의 대학 기관 부속 언어교육원의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과 경기 소재의 대학교 한 곳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대학생)들 총 20명을 대상으로 통제 집단과 처치 집단으로 각각 10명씩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1차시에서는 아무런 처치 없이 먼저 쓰기를, 2차시에서는 마인드맵과 초고 쓰기를 통한 나중 쓰기를 실시하였고 1, 2차시의 쓰기 주제는 같은 주제로 실시하였다. 2차시에서 통제 집단은 자신이 그린 마인드맵과 초고만을 바탕으로 다시 쓰기를 실시하였고 처치 집단에게만 웹 기반 협력적 쓰기가 처치되었다. 피험자들의 먼저 쓰기와 다시 쓰기는 말뭉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체 어휘량과 내용어 수 등을 추출하여 어휘 밀도를 구하였고 먼저 쓰기의 어휘 밀도로 동질성 검사를, 나중 쓰기의 어휘 밀도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동질성 검사는 SPSS 21을 사용하여 Mann-Whitney U 검정법으로 집단 간의 동질함을 확인하였고, 어휘 밀도를 통한 어휘력 향상을 알아보기 위한 집단 간의 어휘 밀도 비교 역시 SPSS 21을 사용하여 Mann-Whitney U 검정법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또한 실험 후, 처치 집단을 대상으로 피험자들이 느끼는 어휘력 향상에 관하여 수업 전 생각과 수업 후 생각을 묻는 대응되는 문항의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는 Wilcoxon 부호-순위 검정법을 통하여 그 향상도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 기반 협력적 쓰기는 양적인 측면에서의 어휘력 측정으로는 어휘력 향상과의 연관성을 볼 수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집단 간의 나중 쓰기 어휘 밀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비교해본 결과 유의미한 수치를 얻을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은 피험자들이 웹 기반 협력적 쓰기를 통해 새 어휘의 첨가보다는 수정과 생각의 정리가 더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웹 기반 협력적 쓰기를 통한 동료의 글 참고와 동료에게 받는 피드백의 효과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왔다. 동료의 글의 참고를 통하여 수업 전의 생각보다 수업 후의 생각이 더욱 긍정적으로 향상되었고 동료에게 받는 피드백의 효과를 통해서 수업 전의 생각보다 수업 후의 생각이 더욱 긍정적으로 향상되었다. 셋째, 피험자들은 웹 기반 협력적 쓰기의 장점으로는 동료의 생각을 알 수 있었다는 점을 들었고 단점으로는 컴퓨터 사용의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동료의 생각을 알게 된 것은 새로운 어휘의 습득뿐만이 아니라 동료와의 정서적 교감도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또한 본 실험에서 워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글을 써야만 했던 것이 피험자들에게 부담감을 주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 이는 피험자들의 평소 한국어 쓰기가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고 종이에 직접 글을 쓰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협력적 쓰기가 어휘의 습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한국어 말뭉치 연구 분야에서의 말뭉치 활용에 있어서도 말뭉치를 이용하여 단순히 어휘 밀도를 측정한 것을 넘어서 어휘력의 향상을 측정하려 하였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둘 수 있다.;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vocabulary of Korean learner through the collaborative writing. For this purpose, the collaborative writing is performed through the interaction of members on the online bulletin board called ‘web’, and on the basis of this writing, the degree of development is checked through the quantitative measure of vocabulary like lexical density. And in order to discover the defining aspect which the collaborative writing based on this web affects the development of Korean vocabulary, the post-survey was conducted. The reason that I chose this way of research is to find the answer of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Does the collaborative writing based on web have an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vocabulary (i.e. lexical density)? Research question 2. In case of th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which part of the collaborative writing based on web do they think as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vocabulary? For this research, I conducted the experiment targeting 20 persons among the foreig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t language institutes of th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or Gyeonggi-do and the foreign students attending Korean universities dividing into the control group and the treatment group of 10 persons respectively. And for the treatment group, the collaborative writing based on web was treated. In case of the writing in advance and the rewriting of all subjects, using a corpus program, total quantity of vocabulary and the number of content word were extracted in order to get the lexical density. And the equivalence check was conducted with the lexical density of writing in advance a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examined with the lexical density of writing afterward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rough this process is as follows. First, the collaborative writing based on web had no rel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vocabulary in terms of a quantitative measurement of a vocabulary.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lexical density of writing afterwards between groups, it couldn’t get the significant figures. It means that the subjects corrected and ordered their thinking instead of adding new vocabulary through the collaborative writing based on web. Second, the effect of the reference to their colleague’s writing and the feedback from their colleague through the collaborative writing based on web was quite positive. Through the reference of their colleague’s writing, the thinking after class was improved more than the thinking before class. And also through the effect of feedback, the thinking after class became more positive than the thinking before class. Third, the subjects said that the advantage of the collaborative writing based on web was to understand the thinking of their colleagues and the disadvantage was the difficulty of using computer. Knowing the thinking of their colleagues means the emotional communication with their colleagues as well as the acquirement of new vocabulary. And through this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 writing using computer program was difficult for them. It is because they usually write Korean on the paper instead of using computer.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collaborative writing could be a positive effect on the acquirement of vocabulary. And also in the use of corpus in the area of Korean learner’s corpus research, it has the significance that it tried to measure the development of vocabulary using corpus beyond the simple measurement of lexical dens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