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4 Download: 0

거주 기간과 한국어 사용량이 여성결혼이민자의 호칭어 사용에 미치는 영향

Title
거주 기간과 한국어 사용량이 여성결혼이민자의 호칭어 사용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MFI's Length of Residence and the Amount of Korean Usage in Daily Life upon the Acquisition of Terms of Address
Authors
노태희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논문은 사회문화적 요소가 풍부한 호칭어를 습득하는 것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가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호칭어 습득 양상을 살펴 그들에게 맞는 효과적인 호칭어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한국어 모어 화자 45명과 다양한 출신 국가와 연령의 여성결혼이민자 60명을 대상으로 사회 호칭어 사용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두 집단의 호칭어 사용에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 또한 여성결혼이민자의 거주 기간과 언어 사용 환경의 일환인 일상생활에서의 한국어 사용량이 호칭어 사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문헌을 통해 호칭어와 거주 기간, 제2언어 사용에 대한 이론과 선행 연구를 검토한 후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호칭어 사용은 한국인 기혼 여성과 차이가 있는가? 둘째, 거주 기간에 따라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호칭어 사용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일상생활에서의 한국어 사용량에 따라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호칭어 사용에 차이가 있는가?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모어 화자와 여성결혼이민자가 응답한 한국어 호칭어를 비교한 결과 두 집단의 평균이 차이가 있었고 호칭어 유형과 호칭어 사용 요인에 따라 두 집단 간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나눌 수 있었다. 비교적 쉽게 습득된 호칭어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거나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호칭어였다. 그러나 이러한 호칭어도 친밀도, 대화 상황 요인을 고려해야 하는 경우에는 오류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어 모어 화자와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것은 직위에 따라 다르게 사용해야 하는 호칭어, 실제 생활에서 자주 쓰이지만 한국어 교재에 많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호칭어는 쉽게 습득되어 있지 않았다. 둘째, 거주 기간이 길수록 호칭어의 사용 점수가 높아졌고 이는 대화 상황과 상대자에 맞는 적절한 호칭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원분산분석 결과 집단 간 평균의 차이는 유의수준 .05에서 유의미하게 설명되고 있다. 셋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일상생활에서의 한국어 사용량은 호칭어 사용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어 사용량이 많을수록 호칭어 사용 점수의 평균이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대화 사용량이 많아진다는 것은 단순히 가족 내에서의 의사소통뿐 아니라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사회적 관계가 넓어지고 생활의 활동 반경이 커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에 따라 한국어 호칭어를 접하고 사용하게 되는 기회도 늘어나기 때문에 적절한 호칭어를 습득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유사한 거주 기간으로 집단을 나누어 그 집단 내에서도 한국어 사용량에 따라 호칭어 사용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도 알아본 결과 거주 기간이 짧은 집단 내에서는 한국어 사용량에 따른 평균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왔고 거주 기간이 긴 집단 내에서는 그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전체적으로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호칭어의 유형과 거주 기간이 긴 대상자에게도 명시적인 호칭어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한 것 그리고 이에 맞는 적절한 교육 방안 마련을 위한 토대가 된 것에 의의가 있다.;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learning the terms of address which are highly sociocultural, and to suggest the teaching approach for married female immigrants who have lived as members of Korean society by studying their acquisition pattern. The survey on the use of terms of address has been conducted for 45 native Korean speakers living in Seoul and Kyungki Province and 60 married female immigrants from all around the world. This survey is designed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difference on the use of terms of address between two groups and to find out how much the duration of residence effects on the use of terms of address. Paper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terms of address and the duration of residence, an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n three research tasks are established. First, is the use of terms of address of married female immigrants different from that of married female Korean? Second, does the duration of residence make a difference on the use of terms of address? Third, does the amount of Korean usage in daily lives influence the use of terms of address? The summary of the analysis on the survey is as follows: First, distinctions on the use of terms of address between two groups have been found by t-test. However, not every difference has significant meaning. Commonly used terms can be comparatively easily acquired but errors can be found as well when familiarity or circumstances should be considered. Terms which contains social standing information or commonly used but not in text books cannot be easily acquired. Second, the duration of residence proportionate to the rate of correct usage of terms of address. Third, it is found that the amount of Korean usage correlate with the score of the use of terms of address. Increase of Korean usage means that conversation is not only limited among family members but broadens to bigger social circles and which results in richer chance of experiencing and learning appropriate terms of address. Meanwhile, scores for the use of terms of address categorized by the duration of residence have been examined as well. The amount of Korean usage has influenced on the accuracy of the use of terms of address to a group with shorter period of residence but not to a group with longer period of residence. Therefo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s on the fact that it identifies the types of terms of address which married female immigrants have difficulty in and brings awareness that education on terms of address is necessary even for married female immigrants with longer period of residence. Consequently, this study could be the basis to suggest developing the specified education model for terms of addr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