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숙-
dc.contributor.author정승희-
dc.creator정승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8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6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7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669-
dc.description.abstract초등학생 때부터 삶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학습활동에서 시험불안이나 학업스트레스와 같은 부정적 정서보다는 학업에 관련된 과제수행에서 흥미나 즐거움과 같은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할 수 있다면 학업성취도 뿐만 아니라 인지적, 정서적 측면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학습몰입은 교육적으로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개인적 변인으로는 기본심리욕구를, 사회 관계적 변인으로는 부모와의 안정적 애착 관계를 선정하여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내적․외적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부모와의 애착관계가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기본심리욕구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내적, 외적 요인들의 구조적 관련성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 지역에 소재한 4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32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변인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하여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본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와 변인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애착, 기본심리욕구, 학습몰입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항목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변인들의 하위요인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성별에 따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 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남, 여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 변인들이 성별에 따른 차이 없이 모두 정적 상관을 이루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학습몰입, 기본심리욕구 간의 구조적 관계에서 모형의 경로계수를 살펴보면 부모애착이 기본심리욕구로 가는 직접 경로와 기본심리욕구가 학습몰입으로 가는 직접경로가 모두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애착이 학습몰입으로 가는 직접경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순히 부모애착이 안정되게 형성되어 있더라도 기본심리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학습몰입을 이끌어 내는 것이 쉽지 않음을 시사하며, 매개변인의 필요성을 알 수 있다. 셋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가 유의한지를 검증한 결과,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애착이 높을수록 기본심리욕구가 충족되며 그 결과 학습에 몰입하는 정도가 높아진다는 인과관계가 확인되었다. 또한 모형의 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애착이 학습몰입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효과가 기본심리욕구를 매개로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보다 그 영향력이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부모애착이 다른 변인의 영향 없이 학습몰입을 직접 이끌어내는 것에 어려움이 있으며 기본심리욕구가 만족되지 않는다면 학습몰입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기본심리욕구의 하위항목인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의 매개효과 정도를 비교한 결과, 유능감의 매개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관계성의 매개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자율성의 매개효과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자녀의 자신감과 유능감을 지지하는 부모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학습관련 변인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부모애착, 기본심리욕구, 학습몰입의 각 변인간의 매개효과 및 모형의 경로계수를 통해 직․간접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부모애착, 기본심리욕구, 학습몰입의 구조적 관계에 대해 알 수 있었으며, 각 변인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 결과 부모 애착이 학습몰입에 이끌어내는 직접적인 효과는 없었으나 기본심리욕구를 통한 간접효과는 매우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아동의 초기 애착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그 사이를 매개하는 기본심리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다면 학습몰입으로 이끌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의 기본심리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학습몰입과 관련하여 비교적 연구가 미흡하였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학습몰입으로 아동들을 이끌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부모애착의 형성과 특히 부모와의 관계 속에서 아동에게 자신감을 심어주고 학업적인 유능감을 충족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If a elementary child can experience fun and entertainment across the process of assignments regarding learning which is directly linked to his or her daily life, rather than negative feelings like stress, it will provide positive impact on ones academic achievements as well as cognitive/sentimental aspects. Thus learning flow carries significant importance in education. This study selected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for self deterministic motivation as the personal variable, stable attachment to parents as socio-relational variable and elementary students as subjects. By doing so, this study will define the mutual relation between individual internal/external factors that impact learning flow, and study whether the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plays a intermediary role in the process where parent attachment affect learning flow. Also, by defining the difference in intermediary effect volume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sub factors(autonomy, competence, relationship), this study will look into systematic relation between the importance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of elementary students and personal internal/external factors that affect learning flow.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of 323 6th grade students in 4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To define the relation between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was made.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systematic relations between intermediary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variables in regard to parent attachment and learning flow.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s the result of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to define the relation of parent attachment,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learning flow, the sub-factors of variables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Also, the result of t-test to define whether the sex of child induces any meaningful difference on correlation of variables showed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this result, all sub-factors were found to showed positive relation, regardless of the sex of subjects Second, looking into the model path-coefficient in structural relation between parent attachment acknowledged by elementary students and learning flow &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both the direct path of parent attachment →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the direct path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 learning flow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positive. However the direct path of parent attachment → learning flow were found to be not significant. This result shows that even though the parent attachment is in a stable condition, once the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is not fulfilled, it is difficult to induce learning flow, thus proving the importance of the intermediary variable. Third, by testing the significance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s intermediary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 attachment acknowledged by elementary students and learning flow, it was found that the intermediary effect is significant and higher the parent attachment lead to better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 and finally more intensive learning flow. Model effectiv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direct effect of parent attachment to the learning flow was lower than that of indirect case with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s an intermediary factor. This shows that parent attachment has certain limitations in inducing learning flow without other variable’s effect, and that learning flow is difficult to achieve i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is not met. Fourth, comparing the intermediary effect of autonomy, competence, relationship(sub 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competence had the highest score, followed by relationship. Yet the intermediary effect of autonomy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low. This shows that parents’ positive interaction that supports competence and confidence can affect variables related to learning greatly. The following a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First,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it looked into direct/indirect effect of variables based on parent attachment,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learning flow’s intermediary effect and model path-coefficient to find structural relation between three variables. It also defin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Secon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although the parent attachment had little direct effect on learning flow it had a significant indirect impact when induced via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even if a child’s initial attachment is not stable, once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which intermediates other factors be fulfilled, the child can be induced to learning flow. Thus this study showed the need for detailed research on support system to fulfill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Third, this study has put its subject as elementary students which was a group that lacked research regarding learning flow. Also, it found that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stable parent attachment and to satisfy the academic competence and confidence of a child in relation with the parents in order to induce him/her to learning flow.-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학습몰입 6 B. 부모 애착 12 C. 기본심리욕구 18 D. 부모애착, 기본심리욕구, 학습몰입 간의 관계 23 Ⅲ. 연구방법 29 A. 연구대상 29 B. 연구도구 30 C. 연구 절차 32 D. 자료 분석 방법 33 Ⅳ. 연구 결과 34 A. 주요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 34 B. 확인적 요인 분석 37 C. 구조 모형의 분석 43 Ⅴ. 결론 및 논의 50 A. 요약 및 논의 50 B.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56 참고문헌 58 부록 69 ABSTRACT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193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부모애착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본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검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Verification of Mediator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from the Aspect of Relation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Learning Flow : regarding elementary senior years-
dc.creator.othernameCheong, Seung Hee-
dc.format.pageix, 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