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1 Download: 0

대인관계성향에 따른 현실공간과 SNS 공간에서의 자기노출 비교

Title
대인관계성향에 따른 현실공간과 SNS 공간에서의 자기노출 비교
Other Titles
The Differences of Self-Disclosure in Real Space and SNS Space Depending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spositions : Focused on the 6th year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Authors
신나경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숙
Abstract
SNS 공간은 청소년들에게 자기를 노출하고 표현함으로써 대인간 정보교류의 장이자 대인관계의 장이며 자기 개념과 정체성을 명확히 만들어가는 자기 성장의 공간이다. 이렇게 SNS 활동이 대인관계 및 자기정체성 확립의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매김한 현재, 본 연구는 자기노출이라는 행동이 현실공간과 SNS 공간이라는 맥락적 특성과 대인관계성향이라는 개인적 특성에 따라 어떻게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하지만 개인마다 자기노출정도는 SNS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청소년에게 가장 대중적이고 많이 이용되는 SNS인 카카오스토리를 대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인천 지역에 있는 초등학교 4곳의 6학년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독립표본 t-검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카카오스토리를 이용하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이용실태를 카카오스토리를 한 번 이용할 때의 시간, 등록된 친구 수, 친구의 형태, 하루 평균 업데이트 횟수, 이용 동기 등을 통해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은 카카오스토리를 활발하게 이용하면서 SNS 공간에서 적극적으로 관계를 맺고 자신을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의 스마트폰 휴대 비율이 높아지면서 언제 어디서나 카카오스토리에 쉽게 접속할 수 있게 되었으며 습관적이고 무의식적으로 카카오스토리에 접속한다. 자신의 일상을 SNS에 올리고 다른 이의 SNS에 들어가 댓글을 남기거나 느낌을 공유하면서 서로 소통한다. 즉, 초등학생은 커뮤니케이션 동기에 의해 카카오스토리를 이용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둘째, SNS에서 나타나는 자기노출의 모습을 살펴본 결과, 여자가 남자보다 더 많이 노출하며 부정적인 내용보다는 긍정적인 내용을, 노출 부담이 적은 여가취미문제를 다른 항목보다 더 많이 노출하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카카오스토리를 많이 이용할수록 SNS에서 자기노출 정도가 높았으며 카카오스토리를 이용하는 동기에 따라 SNS 자기노출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황적 맥락과 대인관계성향에 따른 자기노출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면대면의 현실공간과 다르고 기존의 사이버공간과도 다른 SNS 공간이 가지는 독특한 특징과 카카오스토리가 가지는 그만의 특징은 현실공간에서의 자기노출 정도가 SNS 공간에서보다 더 크다는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대인관계성향이라는 개인의 특성요인이 현실공간과 SNS 공간에서 자기노출의 차이를 가져왔다. SNS 자기노출에는 경쟁-공격적 성향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실공간 자기노출에서는 지배-우월적 성향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은 SNS 공간이 다른 사이버공간과는 다른 행동의 맥락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려줌과 동시에 대인관계성향과 자기노출욕구를 반영하고 충족시켜주는 공간임을 재확인시켜준다. 또한 SNS 공간에서의 청소년의 행동에 대해 이해하고 상담 및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도움을 준다. 특히, 상황적 맥락과 대인관계성향에 따라 자기노출 모습이 차이를 보인다는 결과는 청소년들이 SNS를 올바르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이나 상담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For adolescents, SNS is a ground of interpersonal information exchange to disclose and express themselves and a space of self-growth to form clear self-concept and identity. Now that this SNS activity is an important means to establish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identity, this study aims to see the different aspects of self-disclosure depending on contextual characteristics in real space and SNS space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spositions. However, self-disclosure might differ from individual to individual. Therefore, this study was focused on Kakao Story which is the most popular SNS among teenagers. For achieving this purpos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00 sixth-grade students in four elementary schools situated in Incheon area and data were analyzed. For processing the collected data,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use time of Kakao Story, the number of friends registered, the types of friends, the daily average update frequency and usage motivation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tively formed relationships and expressed themselves in SNS space by making active use of Kakao Story. Due to the increase in smart-phones that students possess, currently, they can easily connect to Kakao Story anytime and anywhere and are habitually and unconsciously using this in their killing or spare time. In other words, this means many students use Kakao Story with an communicative motivation. Second, female students disclosed themselves more than male students, positive contents were disclosed more than negative contents and issues about leisure and hobbies with less burden of disclosure were disclosed more than others. Students who used Kakao Story more, disclosed themselves more frequently, and the motivations of using Kakao Story influenced self-disclosure in SNS space. Third, when the differences in self-disclosure were analyzed depending on situational context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spositions, the degree of self-disclosure in real space was bigger than in SNS space, due to SNS space and Kakao Story's own unique properties which are different from face-to-face real space and existing cyber space. Moreover,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spositions caused differences in self-disclosure between real space and SNS space. Competitive-aggressive disposition significantly affected self-disclosure in SNS space and dominant-superior disposition significantly affected self-disclosure in real space.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SNS space displays behavioral contexts different from other cyber space and reflec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spositions and gratifies desires for self-disclosure. Also, this helps in establishing basic data to be used for understanding of behaviors of adolescents in SNS space, counseling and education. In particular, the result showing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self-disclosure depending on situational context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spositions implies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education or a counseling program to help adolescents use SNS in a proper wa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