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7 Download: 0

초등학교 무용수업이 학생들의 창의적 인성과 정서 안정에 미치는 영향

Title
초등학교 무용수업이 학생들의 창의적 인성과 정서 안정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dance classes on creative personality and emotional stability of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Authors
임혜지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경숙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무용수업이 학생들의 창의적 인성과 정서 안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무용수업과 학생들의 창의적 인성, 정서 안정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무용 교육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강조함으로써 향후 초등학교 무용수업 활성화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599개 초등학교 중 무용 전문 예술강사가 파견되어 무용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4개교의 4~6학년 초등학생 325명과 무용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4개교의 4~6학년 초등학생 325명, 총 650명의 4~6학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609부를 최종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무용수업 참여에 따른 창의적 인성과 정서 안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고, 무용수업에 참여한 학생의 배경 변인에 따른 창의적 인성과 정서 안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One-way ANOVA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 방법으로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무용수업에 참여한 학생과 참여하지 않은 학생의 창의적 인성과 정서 안정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방법과 자료 분석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수업의 참여 유·무에 따라 창의적 인성과 정서 안정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창의적 인성의 하위영역(유머, 호기심, 자기확신, 인내/집착, 상상력)과 정서 안정의 하위영역(긴장 수준, 공격성, 열등감)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수업에 참여한 학생의 배경변인(성별, 학년, 참여기간)에 따른 창의적 인성과 정서 안정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성별에 따른 창의적 인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정서 안정은 긴장 수준과 열등감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격성의 경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공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창의적 인성은 유머, 호기심, 상상력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확신은 Duncan 사후검증 실시 결과 4학년이 6학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인내/집착은 Duncan 사후검증 실시 결과 4학년과 5학년이 6학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 안정은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긴장 수준과 공격성의 경우 Duncan 사후검증 실시 결과 6학년이 4학년과 5학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열등감의 경우 Duncan 사후검증 실시 결과 5학년과 6학년이 4학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수업 참여기간에 따른 창의적 인성은 유머, 호기심, 인내/집착, 상상력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확신의 경우 무용수업 참여기간이 3년 이상인 학생들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Duncan 사후검증 실시 결과 무용수업 참여기간이 3년 이상인 학생들이 참여기간이 1-2년인 학생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 안정은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긴장 수준, 공격성, 열등감 모두 Duncan 사후검증 실시 결과 무용수업 참여기간이 1-2년인 학생들이 참여기간이 3년 이상인 학생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수업에 참여한 학생의 창의적 인성과 정서 안정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창의적 인성의 유머는 정서 안정의 긴장수준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열등감과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호기심, 자기확신, 인내/집착, 상상력은 정서 안정의 긴장수준, 공격성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무용수업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의 창의적 인성과 정서 안정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창의적 인성의 유머는 정서 안정의 긴장수준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호기심, 자기확신, 인내/집착, 상상력은 정서 안정의 긴장수준, 공격성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초등학교 무용수업이 학생들의 창의적 인성과 정서 안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생들의 창의적 인성을 함양하고 안정적인 정서를 길러주기 위해서 무용수업은 성장기에 있는 학생들에게 필요한 교육이며, 무용수업을 통해 학생들에게 창의성과 안정적인 정서를 길러주어 개인의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전인적인 인간육성의 목적을 학교에서 실현시켜야할 것이다.;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dance classes on creative personality and emotional stability of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and als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classes and creative personality and emotional stability of the children to provide necessary base line data for revitalization of danc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by stressing necessity and need for dance education.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we ran a survey for a total of 650 people who are 4~6 grade students out of 586 elementary schools. The number comprise a total of 325 people who are 4~6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without dance classes and a total of 325 people who are 4~6 graders in schools where art teachers specialized in dances were dispatched to run dance classes. We analyzed a total of 609 cases finally. With the collected data, we ran T-test to assess differences in creative personality and emotional stability due to the participation in dance classes by using SPSS WIN 18.0 program. We conducted One-way ANOVA analysis and T-test for independent samples to assess differences in creative personality and emotion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for students participating in dance classes. For the measure of posteriori tests, we ran Duncan test. To assess the correlation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personality and emotional stability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and nonparticipants in dance classes, we conducte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based on the material analysis and study method such as those mentioned above are as follows. Firstly, meaningful differences occurred in the creative personality and the emotional stability in relation with the participation status of the dance classes. The subordinate scope of the creative personality (humor, curiosity, self conviction, endurance/obsession, imagination) and the subordinate scope of the emotional stability (tension level, aggression, sense of inferiority) all exhibited meaningful differences. Secondly, differences between the creative personality and the emotion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gender, grade, participation duration) for the participants of the dance classes occurred. Firstly, no meaningful differences occurred in terms of the creative personality according to gender. In terms of tension level and sense of inferiority, the emotional stability level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erms of aggression, male student showed higher level of aggression compared to female students. The creative personality according to grade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s when humor, curiosity and imagination was concerned. Following the Duncan posteriori tests results, self conviction for 4th graders were higher than 6th graders. For endurance/obsession, 4th graders and 5th graders showed higher level than 6th graders. In terms of the emotional stability, all exhibited meaningful differences and following the results of Duncan posteriori tests, 6th graders showed higher level of tension level and aggression. For sense of inferiority, 5th and 6th graders showed higher levels than 4th grad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Duncan posteriori tests. The creative personality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duration of the dance classes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terms of humor, curiosity, endurance/obsession, imagination. In terms of self conviction,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dance class for more than 3 years showed the highest level. According to the Duncan posteriori test results, the students with more than 3 years experience showed higher level than the students with 1-2 year experience. In terms of the emotional stability, all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uncan posteriori test results, tension level, aggression and sense of inferiority of the students with 1-2 experience were higher than the students with 3 years of experiences. Thirdly, as we conducted analysis on correl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ve personality and the emotional stability of the dance class participants, humor from the creative personality exhibit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ension from the emotional stability and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sense of inferiority. Curiosity, self conviction, endurance/obsession, imaginat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ension level and aggression from the emotional stability. Fourth, as we conducted analysis on correl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ve personality and the emotional stability of the dance class nonparticipants, humor from the creative personality exhibit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ension from the emotional stability. Curiosity, self conviction, endurance/obsession, imaginat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ension level and aggression from the emotion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we came to know that danc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affects the creative personality and the emotional stability in a meaningful way. So dance classes are necessary education for students in growth period to cultivate creative personalities and foster stable emotions. Also by taking dance classes, we should nurture creativity and stable emotions for students to improve quality of the cultural lives of each individuals and realize the goal of nurturing well rounded people in schoo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