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5 Download: 0

탄성 소도구를 이용한 교정발레프로그램이 자세교정에 미치는 영향

Title
탄성 소도구를 이용한 교정발레프로그램이 자세교정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 Corrective Ballet Program with Individual Elastic Exercise Equipment on Postur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hors
이경미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경옥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탄성 소도구를 이용한 교정발레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세교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는 성장기에 있는 아동들이 사회적,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실내 활동이 늘어나고 바르지 못한 자세의 반복으로 인하여 근·골격계 질병의 진단을 사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바르지 못한 자세를 교정하여 올바른 성장에 필요한 효과적인 교정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주)MZEN의 Body style을 사용하여 추선검사를 통해 자세의 정상 각도와 기울기에서 벗어나고 잘못된 자세를 보이는 8-9세 여아 20명을 선정하여, 탄성 소도구를 이용한 교정발레프로그램을 처치한 실험집단 10명과 일반발레프로그램을 처치한 비교집단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탄성 소도구를 이용한 교정발레프로그램은 8주 동안 주 2회, 60분으로 진행하였으며, 처치기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강도와 빈도를 조절하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은 탄성 소도구를 이용한 교정발레프로그램이다. 탄성 소도구를 이용한 교정발레프로그램은 발레의 기본자세를 토대로 교정운동과 교정발레를 병행함과 동시에 소도구를 이용하여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탄성 소도구를 이용한 교정발레프로그램은 준비단계(Warm-up)와 탄성 소도구를 이용한 교정발레프로그램Ⅰ(Floor barre+교정운동), 탄성 소도구를 이용한 교정발레프로그램Ⅱ(Barre work), 탄성 소도구를 이용한 교정발레 프로그램Ⅲ(Center work), 정리단계(Cool- down)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일반발레프로그램은 발레의 기본자세를 토대로 한 일반적인 발레수업으로 준비단계(Warm-up), 일반발레프로그램Ⅰ(Floor barre), 일반발레프로그램Ⅱ(Barre work), 정리단계(Cool down)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종속변인은 자세를 진단하는 경추기울기 각도, 어깨기울기 각도, 견갑골기울기 각도, 상체기울기 각도, 척추 휨 각도, 골반기울기 각도, 골반전후기울기 각도, 다리굴곡 각도, 다리길이차이, 종골각 기울기 각도이다. 자세를 진단하는 각도 및 기울기는 (주)MZEN의 Body style을 사용하여 앞면, 옆면, 뒷면을 측정하였고, 앞면에서는 어깨 기울기 각도, 골반 좌우 기울기 각도, 다리굴곡 각도, 다리 길이 차이를 측정하였다. 옆면에서는 경추 기울기 각도, 골반 전후 기울기 각도를 측정하였으며, 뒷면에서는 척추 휨 각도, 견갑골 기울기 각도, 종골각 기울기 각도를 측정하였다. 앞면에서의 어깨 기울기 측정은 좌우측 견봉돌기에 대한 높이차 및 경사도를 비교하였고 골반 좌우 기울기는 좌우측 장골능에 대한 높이차 및 경사도를 비교하였다. 다리굴곡 측정은 각 슬개골이 수선 내측에 위치할 경우 회내전(X자형 다리), 수선 외측에 위치할 경우 회외전(O자형 다리)라 하였다. 다리길이 차이는 좌우측 장골능-슬개골-거골 간 거리를 합산하여 좌우측 합산된 길이의 차이 값으로 긴 쪽 값을 표시하였다. 옆면에서의 경추 기울기 각도는 견봉돌기를 통과하는 시상면상의 가상선과 귓바퀴 사이각 및 편차를 측정하였고, 골반전후 기울기 측정은 후상장골극의 평행선과 전상장골극과의 연장선 사이각을 측정하였다. 뒷면에서의 척추 휨 정도는 좌우 장골능 중점과 요추 교점에 마커를 표시하여 C형과 S형 만곡 두 가지 패턴으로 구분하였다. 견갑골 기울기 측정은 좌우측 견갑골에 대한 높이차 및 경사도를 비교하였으며, 종골각 기울기 각도는 좌우측 종골을 기준으로 수선과 과골 중점의 연장선 사이 내각을 측정하여 회내전과 회외전을 구분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집단 간 동질성 검사를 위한 사전검사에서는 독립표본 t-test(Inde pendent sample t-test)를, 탄성 소도구를 이용한 교정발레프로그램이 자세 각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검증은 대응표본 t-test(Paired samples t-test)를,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차이검증인 독립표본 t-tes t(Independent sample t-test)를 실시하였다. 유의 수준은 P<.05로 하였다.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탄성 소도구를 이용한 교정발레프로그램 처치 후 자세의 각도 및 기울기에서 상체기울기 각도를 제외한 어깨기울기 각도, 견갑골 기울기 각도, 척추 휨 각도, 골반 좌우 기울기 각도, 다리길이 차이, 종골각 기울기 각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바른 자세로 교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경추 기울기 각도, 골반 전후 기울기 각도, 다리굴곡(왼쪽/오른쪽) 각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각도가 감소하여 실험 기간을 조금 더 연장한다면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반면 비교집단에서는 훈련 후 상체 기울기 각도에서만 감소가 나타나 일반 발레 프로그램이 상체 기울기 교정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8주간의 탄성 소도구를 이용한 교정발레프로그램이 일반발레프로그램 보다 성장기에 있는 아동의 바른 자세 교정과 올바른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동안 아동들은 발레수업시간에 활용한 도구에 흥미를 가졌으며 음악과 함께 진행되는 탄성 소도구를 이용한 교정발레프로그램은 자연스럽게 바른 자세의 신체변화를 가져 올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탄성 소도구를 이용한 교정발레프로그램은 음악과 함께 신체적 표현을 함으로써 치료에서 오는 힘듦보다는 즐거움을 더 많이 느꼈으며, 자세의 문제점이 개선된 후에는 바른 자세에서 오는 자신감의 변화로 생활의 활력과 신체에 대한 긍정적인 마인드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잘못된 자세로 인한 척추의 변형, 일자목, 거북목, 휜 다리 등의 진단으로 가기전의 아동을 조기에 발견하여 본 프로그램을 적용·실시함으로 인해 전반적인 교정과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그 의의와 효과가 있음을 강조하는 바이다. 그러므로 탄성 소도구를 이용한 교정발레프로그램이 아동의 바르지 못한 자세의 사전예방과 함께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생활 속의 운동 및 일반발레수업시간에도 활용 될 수 있기를 바라며, 자세교정 운동과 발레동작 수행을 함께 시행함으로써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는 탄성 소도구를 이용한 교정발레프로그램의 자세 교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탄성 소도구만을 활용하였다. 그러므로 전문적이고 다양한 도구의 활용 및 남녀 성별차이에서 오는 효과에 대한 연구는 추후 과제로 한다. 또한 남녀 성별차이에 대한 효과에 대한 연구도 추후과제로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a corrective ballet program with personal exercise equipment on postur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0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0 students who performed corrective ballet with personal exercise equipment twice a week for 60 minutes per session.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a normal ballet program twice a week for 60 minutes per session. Personal exercise equipment consisted of an small inflatable exercise ball and an elastic band. Postural variables for this study included thoracic, shoulder, scapular, pelvic, and calcaneal slope angle, knee flexion angle, leg length difference. MZEN Body Style was used to measure posture. SPPSS Win 18.0 was used to perform the independent t-test and the paired t-test. For the experimental group, shoulder, scapular, spinal, pelvic, and calcaneal slope angle, along with leg length difference decreased significantly. In contrast, the control group decreased its upper body slope significantly. After 8 weeks the corrective ballet program with personal exercise equipment had significantly more improvement than the normal ballet progra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