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2 Download: 0

한국무용 굴신동작 시 호흡의 종류에 따른 족저압력중심 변인의 차이

Title
한국무용 굴신동작 시 호흡의 종류에 따른 족저압력중심 변인의 차이
Other Titles
Differences in Foot Pressure Variables According to Breathing Technique for the Gulshin Step in Korean Traditional Dance
Authors
박유나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경옥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differences in foot pressure variables for the gulshin step in traditional Korean danc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 women in their 20's with over 10 years of experience as traditional Korean dancers. The independent variables for this study were the the gulshin step and inhalation or exhalation. The term gulshin literally means flexion (gul) and extension (shin), and these two movements constitute the gulshin step. This step is typically begins with either an inhalation or an exhalation. Foot pressure variables were the dependent variables in this study. Foot pressure variables consisted of X,Y path length, area, velocity, right / left and fore / rear foot pressure distribution. All these variables were measured by the Zebris foot pressure measurement system (Germany). Questionnaire was used to annalize comfort and discomfort during breathing. The SPSS 10.0 was used to calculate Pearson's correlation and perform the paired t-test. Results: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x direction variables, right and left foot pressure distribution. 2. The Y path length, area, absolute length, velocity, left/fore foot, right/fore foot pressure distribution were higher during flexion / exhalation meanwhile the load % in the left-rear, right-rear was lower during flexion / exhalation 3. There was significantly higher discomfort during flexion / inhalation. These results show a relationship between breathing / movement and center of pressure. During flexion / exhalation, COP moved forward, conversely during flexion / inhalation COP moved backward. These results can be incorporated into choreography based on whether performers are moving forward or backward with the gulshin step.;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무용 굴신동작 시 호흡에 따른 족저압력중심 변인의 운동역학적 차이를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한국무용을 10년 이상 전공한 20대 여성 10명으로 선정하였다. 이들은 현재 공연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현역 무용수들로, 호흡에 따른 굴신동작의 수행에 전혀 무리가 없는 숙련자들이다. 피험자들은 실험에 앞서 호흡 별 동작수행이 익숙해질 때까지 굴신을 연습하였으며, 호흡 별 총 10회씩의 동작을 시행하였다. 종속변인은 족저압력중심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호흡 별 굴신 수행 중에 느끼는 안정감과 부담감에 관해 질문하였다. 실험장비는 압력분포측정기(Zebris, 독일)를 사용하였다. 두 가지 호흡방법에 따른 굴신동작의 족저압력중심 변인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선별된 총 100개의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분석, t-검정을 활용하였다.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여 검정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양발 제자리 굴신에서 무게중심 이동곡선은 호흡의 종류에 따라 좌우이동은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며 앞뒤로의 이동은 날숨으로 굽히고 들숨으로 펴는 굴신이 들숨으로 굽히고 날숨으로 펴는 굴신을 하는 경우 보다 크게 나타났다. 2. 날숨으로 굽히고 들숨으로 펴는 굴신을 하는 경우 들숨으로 굽히고 날숨으로 펴는 굴신을 하는 경우 보다 무게중심 이동곡선의 Y 방향의 이동곡선, 이동면적, 이동 곡선의 길이, 평균이동속도, 양발 앞부분의 부하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3. 들숨으로 굽히고 날숨으로 펴는 굴신을 하는 경우 날숨으로 굽히고 들숨으로 펴는 굴신을 하는 경우 보다 양발 뒷부분의 부하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4. 호흡 별 굴신 동작 시 피험자들이 느끼는 안정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부담감은 들숨으로 굽히고 날숨으로 펴는 굴신을 하는 경우가 날숨으로 굽히고 들숨으로 펴는 굴신을 하는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양발 제자리 굴신에서 무게중심 이동곡선은 호흡의 종류에 따라 좌우이동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앞뒤로의 이동은 날숨으로 굽히고 들숨으로 펴는 경우가 들숨으로 굽히고 날숨으로 펴는 경우보다 크게 움직였다. 날숨으로 굽히고 들숨으로 펴는 굴신을 할 때에는 무게중심이 앞으로 이동하고, 들숨으로 굽히고 날숨으로 펴는 굴신을 할 때에는 무게중심이 뒤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걷기와 같은 무게중심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날숨호흡을 먼저 사용하는 굴신을 하는 것이 무게중심을 이동시켜 신체의 위치이동(공간 내 장소이동)을 시켜주는 것에 효과적이며, 다리 들기와 돌기 등과 같은 제자리동작은 들숨호흡을 먼저 사용하는 굴신을 함으로써 몸의 무게중심이 흔들리지 않고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무용 동작의 기초 동작인 굴신 동작에서 한국무용 경력자들에게 있어서도 정확한 호흡 선택에 대한 어려움이 있을 만큼 호흡방법에 대한 정의가 존재하지 않았다. 그래서 본 연구가 호흡에 따른 굴신동작에서의 무게중심 이동곡선을 분석·파악함으로써 굴신동작 움직임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꼭 필요한 객관적·과학적 자료라 할 수 있다. 이로써 안무 및 교육 시 올바른 굴신과 굴신으로 파생되는 여러 동작들의 수행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가능해질 것이며, 표현 및 안무의도에 따라서 호흡의 선택적 사용이 유용해질 것이다. 더불어 전문무용교육 현장뿐만 아니라 사회무용교육 현장에서도 부담을 덜 하며 무게중심을 이동시키는 훈련 및 안전한 동작수행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날숨과 들숨의 호흡 훈련 방법과 프로그램 개발은 본 연구를 기초자료로 한 추후 연구과제로 한다. 또한 날숨으로 굽히고 들숨으로 펴는 굴신과 들숨으로 굽히고 날숨으로 펴는 굴신 시 실제 호흡 근육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한 근전도 검사(EMG)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