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2 Download: 0

진성리더십이 학습조직 구축수준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진성리더십이 학습조직 구축수준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Learning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uthors
남미리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재삼
Abstract
최근 전 세계적으로 거대 기업의 최고경영자 혹은 리더들의 비리와 비도덕적인 행태로 인해 탄탄했던 조직이 위기상황에 부딪히게 되면서 최고경영자의 도덕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한 회사를 책임지고 문제 상황을 주도적으로 헤쳐 나가야하는 최고 리더들이 오히려 위기를 초래하는 원인이 되고 있는 사태에 대해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현재와 같은 사회적 상황에서 경영자들의 진정성 있고 도덕적인 성품에 기초한 진성리더십(authentic leadership)이 학계 및 현장에서 점차 주목을 받고 있다. 조직에서 구성원들이 자신의 리더를 진성 리더로 인식하게 되면 그들 자신의 일과 관련된 태도뿐만 아니라 조직유효성에 더욱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진성 리더들은 지속적인 학습과 성장의 욕구를 지니고 있으며, 그 욕구는 행동으로 나타나 구성원들에게 귀감이 되어 구성원들의 학습활동을 촉진하고 조직유효성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이라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진성리더십의 중요성은 점점 확대되고 있고, 이에 따라 그 효과성을 입증하는 연구들도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진성리더십의 개념이 도입된 지 불과 몇 년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론적 연구 및 실제적 연구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직유효성에 대한 진성리더십의 예측력과 학습조직 구축수준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진성리더십과 조직유효성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따라서 한국의 기업 환경에서 진성리더십의 효과성을 입증하여, 진성리더십의 이론적 확장과 리더십 개발 및 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진성리더십은 조직유효성(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하는가? 연구문제 2. 학습조직 구축수준은 진성리더십과 조직유효성(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본 연구를 위해 국내 L기업의 제조업 분야에 종사하는 대상자 200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최종 188명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통계적 자료분석을 위해 상관분석, 회귀분석,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진성리더십은 조직유효성(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성리더십이 직․간접적으로 구성원들의 태도나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어 결국 조직유효성을 향상시키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진성 리더의 일관되고 지속적인 진실한 행동이 구성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그리고 조직시민행동을 높은 수준으로 이끌어 내는 데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2. 학습조직 구축수준은 진성리더십과 조직유효성(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부분매개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진성 리더가 본인의 진정성 함양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의 강점을 개발하고 성장을 위한 학습활동을 촉진하여 구성원들로 하여금 직무에 더 만족하고, 조직에 몰입하며, 적극적인 조직시민행동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입증한 것이다. 따라서 진성 리더가 학습조직 구축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리더 자신을 포함하여 구성원들에게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성장할 수 있는 분위기와 환경을 조성해주고, 구성원들에게 내적 동기를 함양시켜 자발적인 학습활동을 유지해나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이 요구된다. 그럼으로써 학습조직의 수준이 향상되면 구성원들이 축적된 지식과 경험을 토대로 직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향상되고, 자율적인 학습조직이 활성화되면서 자발적인 조직시민행동을 유인하는 분위기가 형성될 것이다. 결국 학습조직 구축을 위해서는 리더의 진정성 함양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의 지속적이고 자발적인 참여와 조직차원의 지원을 통한 확대 및 발전이 필요하다. 한편, 본 연구가 갖는 제한점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선정에 있어 국내 L기업의 제조업 분야 종사자 20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이므로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 대한 한계점을 가진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 기업규모와 다양한 산업분야를 고려한 연구를 진행하여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고려된 변수들을 측정하기 위해 자기보고식(self-report) 설문지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변수들 간의 관계가 동일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로 인해 과대평가가 되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심리학적으로 자기보고는 주관적 판단이 개입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심층면접, 인터뷰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보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진성리더십과 조직유효성과의 관계에서 학습조직 구축수준을 매개변인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지만, 학습조직 구축수준 외에도 다른 매개변수들이나 조절변수로 작용하는 변인들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진성리더십과 조직유효성 사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진성리더십의 이론적 모형을 보다 확장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조직유효성의 지표는 주관적 지표를 활용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 활용된 세 가지 측정지표 외에 다른 지표들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해 볼 필요가 있다.;Recently with a crisis of solid organizations by corruptive and immoral behaviors of CEOs or leaders at the global huge enterprises, social requirements for morality of CEOs are on the rise. It is urgent to seek out a basic solution for the situation that top leaders who have to deal with a problem initiatively in charge of a company come to be a cause of a crisis. In the social situation like now, authentic leadership based on the authentic and moral characteristics of managers is attracting public attention. If organizational members come to recognize their leader as an authentic leader, it has a more significant effect not only on their job attitude but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esides, there is an assertion that authentic leaders have needs for continual learning and growth, with behaviors caused by such needs, set an example for members, effective for promoting members' learning activities and increasing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n a global basis, importance of the authentic leadership is being expanded, so it is a trend that there are increased number of studies attempting to prove its effectiveness. However, a concept of the authentic leadership was introduced to the country only a few years ago so there are lack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give a detailed description about the effect of the authentic leadership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verifying the mediated effect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hentic leadership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ccordingly, through demonstr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authentic leadership in the Korean business environmen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give a suggestion for the theoretical expansion of the authentic leadership, leadership development and education.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Question 1. Does the authentic leadership significantly predict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Question 2. Does the learning organiza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hentic leadership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these research aims,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200 workers who are engaged in the manufacturing at a domestic large enterprise and findings were derived from the 188 final data from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A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the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Baron & Kenny's(1986) mediated effect verificatio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1. It showed that authentic leadership significantly predict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uch a result means that authentic leadership has a direct/indirect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or behavior of members so improves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at is, it means that consistently and continual authentic behaviors of the authentic leader contributed to inducing members' high level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2. It showed that learning organization has a partial medi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hentic leadership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finding shows that authentic leader's developing members' strong points and promoting their learning activity for growth beyond his authenticity cultivation is effective for increasing member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n activ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onsequently, it is a role of the authentic leader to create an atmosphere and an environment for members' constant learning and growth and help them maintain spontaneous learning activities through cultivating their internal motive in order to raise the learning organization development levels. So, with the elevated level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it will create an atmosphere to induce a voluntary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increase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long with the activated autonomous learning organization as members perform their job based on their accumulated knowledge and experiences. In the end, in order to construct a learning organization, it is required to expand and develop through members' continual and voluntary participation and organizational support in addition to authenticity of a leader. On the other hand,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selection of the research object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200 employees of the manufacturing field at the L domestic large enterprise so research findings have a limitation to the generalization. Accordingly, follow-up studies need to increase a possibility of the generalization considering various enterprise scales and industrial fields. Second, this study us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to measure variables so there is a chance relations among variables may be overestimated by the common method bias. Psychologically, self-report has a high possibility in which subjective judgment may be intervened so it is required to be complemented using a variety of methods including in-depth interview. Third, this study was done selecting the learning organization as a mediation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hentic leadership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owever, there is a great possibility that other mediation or moderator variables in addition to the learning organization. Therefore, it is required to expand a theoretical model of the authentic leadership considering various variables that may influence on the authentic leadership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urth, this study used subjective indexes for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owever, there is a need to conduct research using other indexes in addition to three measurement indexes used for this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