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7 Download: 0

도시 기표의 회화적 알레고리

Title
도시 기표의 회화적 알레고리
Other Titles
An Artistic Allegory of the Urban Signifier - Focused on the My Artworks -
Authors
김라연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우순옥
Abstract
The age of formalist modernism, which had been detached from society, ended and that of post-modernism which incorporates life and art dawned, expanding the scope of artwork interpretation. Art today deals with the everyday lives of people, and is no longer restricted as a medium within the scope of formality. Based on the curiosity about the reality of life, I plan to raise questions about the conditions of urban life by observing cities.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sociocultural study of cities as well as the trajectory of my own contemplations which are represented in my own artworks. The vast majorities of people today begin and end their lives in cities, which is at the same time a cradle and a grave. Cities are at once familiar spaces like one's hometown and yet unfamiliar, full of strange experiences. City dwellers sometimes find themselves turned into complete strangers. Modern people who are living in cities that are changing all the time continuously live in fleeting moments. This paper presents artistic representation of contrasting concepts of the development vs. devastation of cities, overpopulation vs. under-population, the accumulation vs. dissipation of memories, and splendor vs. desolation of neon-signs, and the allegory of the urban signifier full of fluctuating signs. Cities were originally created for people's convenience, and have been evolving into ever safer models, but the quality of urban life has been deteriorating as cities have become standardized. In this context, the first chapter of the main discourse, "The Irony of Cities," deals with the irony of modern citizens who are impoverished emotionally despite their material affluence. Next, I will take a look into the theory of Walter Benjamin who observed the duplicity of the megacity and the perspective of Roland Barthes who regarded a city as a language, and then I will discuss the irony that has attracted my attention. In addition, I will explore the point where artificial and ecological environments coexist by investigating the artworks of Agnes Denes, Alan Sonfist, and Robert Smithson who intervened in city affairs, inspired by an ecological world view that emerged as an ironic attitude towards the imprudent development of cities. In the second chapter, Allegory of City, I will attempt to explain the concept of allegory and examine how the different ideas of language and painting, and city and nature, have made appearances throughout art history. I will look at the works of René Magritte and Ed Ruscha before finding a common denominator with my own works. Then I will compare and analyze my method of work that takes nature as its subject matter within the context of works by Caspar David Friedrich and George Shaw. In the last chapter, Aphorism of City (analysis of the works), I will attempt to examine and specifically categorize how the aforementioned ideas represented in my work into following three sections. First, Urban Symbol describes the irony, which I have found among urban signs and their significance, and present the relevant works manifested in the form of painting and archive. Second, Urban Island reflects my experience with ecological landscapes that have appeared before unwittingly disappearing, and attempt to depict the urban landscape that shows seasonal changes. Third, Urban Displacement turns the city into a temporary exhibition space the work of displacement and attempts to show the whole process of transforming ordinary urban space through an experiment, an act of intervention in the city as if to deliver an art performance. Postmodern art is bound to be interpreted in a myriad of sociocultural contexts. As a result, new light has been shed on its allegorical nature, which has been excluded by modernism, and a variety of meanings hidden in the work have been revealed. While studying the city, I have hoped that people will be allowed to reconsider the dominance of reason that has been assumed to be correct up until the present, and provide a space to think through the works. Such a process will also serve as an opportunity to cast questions on what merits a decent life as well as to embark on a journey toward such a life.;사회로부터 분리된 형식주의 모더니즘 미술의 막이 내리고, 삶과 예술이 결합된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의 장이 열리면서 작품에 대한 해석의 지평이 확대되었다. 미술작품은 더 이상 순수한 형식과 매체 안에 고립되어 있지 않고, 일상과 삶을 마주하며 현실과 조우하게 되었다. 현실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본인은 도시를 관찰하고 인간적인 삶의 조건에 대해 질문하려고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도시의 사회문화적 연구와 더불어 본인의 사유 과정이 작품으로 전개되는 흐름을 살펴보고자 한다. 대다수의 현대인은 요람이자 무덤인 도시에서 생의 시작과 끝을 맞이한다. 도시는 고향처럼 친근한 공간이면서 동시에 객지(客地)의 이방인이 된 것처럼 낯선 경험을 주는 곳이기도 하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도시에 몸을 담고 살아가는 현대인은 순간을 지속한다. 본 논문은 도시의 개발과 폐허, 인구의 과밀(過密)·과소(過所), 기억의 축적과 소거(消去), 네온사인의 찬란함과 적막함 등의 이중적 의미, 요동하는 기호로 충만한 도시 기표의 알레고리(allegory)를 회화적으로 연구한 과정을 담고 있다. 도시는 인간의 편의를 위해 만들어졌고 안전을 위해 진화해 왔지만 비슷한 삶의 모습으로 획일화되면서 삶의 경험은 점점 축소되었다. 이에 본론의 첫 번째 장 ‘도시의 아이러니’에서는 물질적으로는 풍요함을 누리면서도 정서적으로는 빈곤한 현대인의 삶의 아이러니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중적인 대도시의 의미를 읽어낸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의 이론과 도시를 하나의 언어로 본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의 관점을 살펴보고, 본인이 주목한 도시 기표의 아이러니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시개발에 대한 반어적 태도로서 등장한 ‘생태학적 세계관’(ecological worldview)과 이러한 가치관으로 도시에 개입한 아그네스 딘(Agnes Denes), 알랜 손피스트(Alan Sonfist), 로버트 스미드슨(Robert Smithson)의 작업을 보며 인공 환경과 더불어 생태 환경이 공존할 수 있는 지점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본론의 두 번째 장 ‘도시의 알레고리’에서는 알레고리 개념을 설명하고, 언어와 그림, 도시와 자연 사이의 서로 다른 개념이 미술사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등장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첫 번째로 르네 마그리트(René Magritte)와 에드 루샤(Ed Rucha) 등의 회화를 살펴보고, 본인의 작품과 공통분모를 찾아본다. 두 번째로 카스파 다비드 프리드리히(Caspar David Friedrich)와 조지 쇼(George Shaw)의 회화 작품을 통해 자연을 소재로 한 본인의 작업 방식을 비교, 분석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론의 세 번째 장 ‘도시의 아포리즘(작품분석)’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개념이 본인의 작품에서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세 가지로 살펴보고자 한다. 첫 번째로 ‘도시 기표’에서는 본인이 발견한 도시 간판(sign)과 의미의 아이러니한 지점에 대해 서술하고, 페인팅(painting) 또는 아카이브(archive) 형식으로 구현된 작품을 보여줄 것이다. 두 번째로 ‘도시의 섬’에서는 소리 없이 나타났다 사라진 생태 풍경에 관한 본인의 경험이 수반되며,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도시 풍경을 그리고자 한다. 세 번째로 ‘도시 전치’에서는 도시를 임시적인 전시공간으로 ‘전치(轉置, displacement)’ 하고, 퍼포먼스처럼 도시에 개입한 행위, 프로젝트의 실험을 통해 일상적인 도시 공간을 다른 공간으로 변화시킨 과정을 보여주고자 한다. 삶과 예술이 결부된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의 해석은 그것을 둘러싼 수많은 사회문화적 맥락으로 중첩되어 있다. 이로 인해 모더니즘이 배척한 알레고리적 속성이 재조명되며, 작품에 잠재된 다양한 의미가 드러나게 되었다. 본인은 도시를 연구하면서 우리가 옳다고 여겨왔던 이성의 달음질을 재고하고, 작품을 통해 사유의 공간을 제공하길 소망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은 인간적인 삶이 무엇인지를 질문하고, 이를 향하여 나아가는 여정이기도 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