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연순-
dc.contributor.author이지영-
dc.creator이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4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903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7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90301-
dc.description.abstract자연의 모든 것은 어떤 심오한 질서에 의해 조화를 이루면서도 그 질서 속에서 스스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모습을 지닌다. 현대 사회는 문명의 발달로 많은 부분이 기계화되고, 물질적 풍요와 더불어 인간소외 및 인간성 상실이라는 부작용을 초래하였다. 이 때문에 현대인들은 삭막한 현실로부터 자연으로의 회귀를 꿈꾼다. 독일 표현주의 화가인 프란츠 마르크(Mark Franz, 1880-1916)는 ‘자연을 바라봄’에 대하여 “내가 꽃과 나뭇잎을 바라볼 때는 일종의 공감이 항상 이루어지며, 우리는 아무 말도 하지 않은 채 다만 하나의 몸짓으로 서로를 바라본다, 우리는 서로를 이해한다.”라고 말한다. 이것은 본 연구자가 생각하는 자연이 살아 있는 생명체임을 말함과 동시에 현대 사회에서 함께 살아가고 있는 공동체의 일원임을 뒷받침해준다. 자연에 관심을 두게 된 것은 어린 시절 환경의 영향이 크다고 생각한다. 자연을 가까이에서 접할 수 있는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에 자연은 항상 나의 가슴속에 있어왔다. 인간과 자연은 오랜 세월 함께 공존해왔다. 자연과 인간의 관계는 마치 둘이 아닌 하나라는 생각에 이르면서 자연스럽게 인간과 함께 살아가고 있는 자연에 대한 생각이 깊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생성, 성장, 변화, 소멸하는 순환을 자연에서 보면서 인간의 삶과 같은 동질성을 읽을 수 있었다. 오래전부터 지금까지 자연은 많은 예술가에게 창작 활동의 소재가 되어왔듯이 본 연구자 역시 조형작업의 영감을 자연에서 받고 있다. 자연과 인간은 서로 소통하면서 깊은 생명성을 교류하는데, 그 가운데 특히 나뭇잎 이미지를 모티브로 하여 자연과 인간이 함께 나누는 생명성을 표현해보고자 한다. 나뭇잎은 자연을 이루는 생명의 원천이면서 풀과 나무를 살아갈 수 있게 만드는 원동력이 된다. 또한 나뭇잎의 모양새를 갖추게 하고 물과 양분을 이동시키는 잎맥은 생명을 유지하는데 없어서는 안 되는 특성을 가진다. 이것은 사람이 사회를 이루며 살아가는 모습과 인간이 가지는 생명성과 같은 구조임을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의 생명성 표현을 위한 조형 작업의 개념과 표현 형식을 연구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본 연구에 도움이 되는 작가들의 작품들을 조사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주제에 관한 연구로 자연의 생명성을 내포한 나뭇잎과 잎맥의 특성을 살펴본다. 그리고 드로잉의 개념과 자연을 소재로 한 드로잉 사례들을 분석해봄으로써 본 연구의 주제가 가지는 예술표현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해본다. 둘째, 작품의 표현 방법과 기법에 관한 연구에서는 식물 이미지를 조형 작품으로 시각화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나뭇잎과 잎맥의 조형적 특성이 가진 생명성을 효과적으로 시각화하기 위하여 잎의 면을 생략, 잎의 형태를 확대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또한 섬유 조형기법으로써 실을 이용한 머신스티치를 통한 행위의 반복과 이미지의 반복의 조형 효과를 다른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연구, 분석한다. 셋째, 주제에 관한 이론적 연구와 표현기법의 사례연구를 토대로 실제 작품을 제작하고 분석한다. 나뭇잎 모티브의 반복을 통한 작품 1, 2, 3을 통하여 부분이 모여 전체를 이루고, 이러한 전체가 부분으로 모여 전체로서의 자연을 이룸을 표현한다. 잎을 확대하고 잎맥의 선을 표현하여 자연의 생명성을 작품 4, 5에서 극대화한다. 그리고 작품 6, 7, 8, 9는 선들의 반복과 응집, 분산을 보이면서 생명감을 표현한다. ‘식물 이미지의 생명성 표현’을 위한 본 연구는 독자적인 조형언어를 가지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나뭇잎으로 표현된 조형 작업은 현대 사회 속에서 함께 살아가고 있는 자연의 생명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번 연구를 계기로 본 연구자의 주변에 있는 자연의 모습을 다양한 시각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었고 동시에 연구자의 삶을 다시 한 번 되돌아볼 수 있었다. 향후 조형작업에 있어, 본 연구 작품이 섬유예술의 표현영역 확대로 이어지기를 기대해본다.;All aspects of nature harmonizes following a profound order, while it manages to exist in dynamic forms through constant self-evolution. The development and mechanization of today’s society due to materialistic affluence and convenience, as well as negligence and deprivation of humanity puts our species in a seemingly desolate world. Conversely, we begin to desire to return to nature and escape from the gray society we have created. A famously known German artist Franz Marc [1880-1916]said about ‘Looking at Nature,’ “When I look at flowers and leaves, a sympathy consisting of the empathetic understanding is formed. We see each other with one single gesture with no words. We understand each other.” This statement supports the writer’s view on nature as a living being and a member of the modern community. A keen interest in nature came from the childhood influence. Since nature always existed at a reachable distance, its’ existence still takes a large part in my heart. Nature and Humans coexisted since the time of their presence. Thoughts about inseparable connection between nature and humans naturally developed further into the realization of their unison. Furthermore, observing the endless cycle of creation, growth, evolution, and death in nature, the homogeneity with human life could be found. Just like many artists have found inspirations of their creation from nature, it once again inspired the sculpting works for me. Nature and hum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share life and vitality. Among many mechanisms, communication through the image of leaves of the plants is the central motif of this study. Leaves are the origin and the driving force of life for plants and trees, especially the veins of the leaves, where its sole purpose is to transfer water and nutrients that are essential to a plant’s survival. In comparison, the specific parts of nature such as the one described above can be seen in human life as well. The study covers the followings. Frist, in order to study the concepts and forms of expression of formative arts to present the life characteristics of nature, I examine the reference documents and the works of the associated artists. For gain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main subject of the study, I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leaves and vein. In addition, an analysis of basic drawing methods and examples of drawings of nature, I examine the potential subject and its artistic presentation. Second, study the methods of visualizing the images of nature into sculpting pieces to find the presentational skills and methods of the research. Take a closer look at the methods of omission and magnification of the details to effectively visualize the vitality of the leaf’s formative characteristics. Also analyze the works using the machine stitches and thread to observe the formative effects through repetition of action and images. Third, create and analyze the art pieces based on the theoretical research and the case studies of the presentational skills. In pieces 1, 2 and 3, small parts form the whole and the whole comes together as parts to present nature through repetition. In pieces 4 and 5, magnification of leaves and the lines of veins maximize the life of nature. Lastly, pieces 6, 7, 8, and 9 represent the vitality of nature through repetition, condensation, and dispersion of lines while signifying the amplification techniques. The study of ‘Presentation of the Life Characteristics of Plants’ became an opportunity of forming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writer’s independent formative language. Also observation of the nature within the modern society could be done more carefully through the formative art work of leaves. This research provided time for discovering multi-sides of nature dissolved around us as well as recalling the past and planning the future for me. It is a personal desire as an artist to have an influence in the expansion of domain of expression of fiber art through this researc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연구 목적 1 1.2 연구 방법 및 내용 2 2. 표현 주제에 관한 이론적 배경 3 2.1 식물 이미지의 생명성 3 2.2 식물 이미지의 드로잉 8 3. 표현 방법과 기법 14 3.1 이미지 확대와 반복을 통한 확장 14 3.2 머신스티치의 조형성 26 4. 작품 제작 및 분석 31 4.1 제작의도 31 4.2 제작과정 32 4.3 작품분석 35 5. 결론 65 참고문헌 67 ABSTRACT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5911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식물 이미지의 생명성을 표현한 섬유조형-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Life Characteristics of Plants Through Fiber Art-
dc.creator.othernameLee, Ji Young-
dc.format.pageviii, 7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