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1 Download: 0

아동용 디지털 서사창작도구의 스토리-리텔링 연구

Title
아동용 디지털 서사창작도구의 스토리-리텔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tory Retelling of Digital Storytelling Tool for Children
Authors
류민수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혜원
Abstract
The popularization and easy usability of digital devices have been transforming children, who merely used to be consumers of content, into content producers. The consumer-turned-producers are now exerting their own creativity in reconstructing stories they have heard. As participants in such process, children enjoy the stories, independently from the original producers, and acquire meaningful experience by expanding the horizon of meaning of the original text. Story retelling is a proper methodology for stimulating and nurturing creativity and expression of the young consumer-turned-producers. Story retelling is a terminology referring to the way for communicating stories and information and has continuously been on the agenda of pedagogy in North America. Due to its procedural reasoning, story retelling has extensively been used in digital storytelling. In the era of print culture, user analyzed and evaluated narratives when reading them. This is where the realms of narrative reading and criticism come into place. On the other hand, in the era of digital culture, user can reinterpret the content, reconstruct them in a tangible form, and distribute them. This story cycle structure in digital landscape can be called ‘Story retelling’. This study focuses on the idea that story retelling is a meaningful methodology of creative writing based on creative reconstruction, rather than on simple repetition or retrospection of the texts. By analyzing the process and structure of story retelling presented in a variety of narrative story creation programs for children,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meaning and values of story retelling as creative writing methodology.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how users develop and recode the narratives through story retelling mechanism. The second section defines story retelling as creative writing methodology and classifies the types of retelling. This section distinguishes between basic retelling as repetition and flashback and extended retelling as reconstruction. In particular, Yuri Lotman’s concept of translation is applied to proving that ‘extended retelling’, which puts an emphasis on the expression and creation, functions as ‘artistic translation’ in the era of digital culture. Within the framework of translation, creative writing lies in the form of ‘translation of the untranslatable’ based on the reinterpretation of content through ‘autocommunication.’ The third section analyzes the components and format of digital narrative creation programs, thereby suggesting a retelling cycle structure of three axes: consumption, production, and criticism. Children using digital narrative creation programs reconstruct mental models on the basis of the narratives they have consumed and generate idea creation. Then, with an animation function in story creation programs, they can specify the motif and produce creative work. Through the sharing system, the work is to be evaluated and reproduced, criticized, and enjoyed. The fourth section discusses how the cycle structure of digital creation programs actually expands narratives and induces the idea creation, from three perspectives of extension, expansion, and generation. This section examines the three methods of representation by analyzing specific texts: extended representation to maintain and strengthen the original narratives; and transformed representation by utilizing the quest structure, which is the minimal form and content of stories; and generated representation by imitating and transforming parody narratives. Needless to say, children should read well-written and high quality texts. However, it is worthwhile reading texts to stimulate imagination and creativity. Digital narrative creation programs offer children a creative gap. As users, children can fill the creative gap with their own imagination by proactively reinterpreting the texts and, at the same time, can realize the generalities of the universal components and formats of stories.;디지털 기기의 대중화와 조작의 용이성으로 인해, 단순히 콘텐츠의 소비자로 존재하던 아동은 점차 콘텐츠를 창조적인 방법으로 재구성하는 생산자로 변화해가고 있다. 이러한 참여적 수행과정을 통해서 아동은 이야기를 주체적으로 즐기며 텍스트 의미 지평을 확장하는 유의미한 경험을 하게 된다. 이처럼 콘텐츠의 소비를 넘어 향유하는 주체로서의 아동에게, 스토리-리텔링(story retelling)은 아동의 창의성과 표현력을 배양하는 측면에서 적합한 방법론이다. 스토리-리텔링이란 이야기 및 정보 전달 방식을 지칭하는 용어로, 북미의 교육학 분야에서 꾸준히 논의되어 왔으나 리텔링의 과정 추론적인 성격으로 인해 디지털 스토리텔링 영역 내에서 보다 확장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인쇄문화에서 향유자는 독서행위를 통해서 내러티브를 분석, 평가하는 단계를 거쳤다. 이 과정에서 서사 텍스트를 중심으로 독서와 평론의 영역이 나타났다. 반면 디지털 문화에서 사용자는 콘텐츠에 대한 재해석의 결과물을 가시적으로 재구성해 이를 유통할 수 있다. 디지털 환경에서 발생하는 이와 같은 스토리의 순환구조를 스토리-리텔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토리-리텔링이 단순한 반복이나 회상이 아닌, 창조적 재구성을 통한 창작방법론으로 의미가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다양한 아동용 서사창작도구에서 이뤄지는 스토리-리텔링의 과정 및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창작방법론으로서 리텔링의 의미와 가치를 밝혔다. 나아가 이러한 스토리-리텔링의 메커니즘을 통해 사용자들이 서사를 어떻게 확장하며 텍스트를 재코드화하는지 분석했다. 2장에서는 창작방법론으로서 리텔링의 개념을 정의하고, 리텔링의 유형을 분류했다. 반복과 회상으로서의 기본적 리텔링의 유형과 재구성으로서의 확장적 리텔링 유형을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표현과 창작에 방점을 둔 ‘확장적 리텔링’ 유형을 로트만의 번역 개념을 적용해 리텔링이 디지털 시대의 ‘예술적 번역’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증명했다. 번역의 프레임 안에서, ‘자기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자기화된 해석을 바탕으로 ‘번역 불가능한 것의 번역’으로서의 창작이 이루어짐을 밝혔다. 3장에서는 디지털 서사 창작 도구의 구성 요소 및 구성 방식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소비-생산-비평의 3가지 축을 아우르는 리텔링 순환 구조를 제시했다. 디지털 서사창작도구를 사용하는 아동은 소비했던 서사 텍스트를 바탕으로 마음 속 이야기 모델을 재구성하여 창작 발상을 도출한다. 이를 바탕으로 서사창작도구가 제공하는 애니메이션 기능을 활용하여 모티브를 구체화하며 창조적인 생산에 이를 수 있다. 나아가 공유 시스템을 통해 생산물을 평가받고 재생산하며 창작물에 대한 비평과 향유가 나타난다. 4장에서는 디지털 서사창작도구의 순환 구조가 실제로 어떤 방식으로 스토리-리텔링을 이끌어 창작을 유도하는지를 코드의 연장, 변형, 생성의 세 가지 관점에서 조망했다. 기존의 서사를 유지하고 강화하는 더 읽기로서의 연장적 재현, 이야기의 최소 형식이자 내용인 퀘스트 구조를 활용한 서사의 변형, 모방과 패러디적 변용을 통해 서사를 재창조하는 방식을 구체적 텍스트 분석을 통해 제시했다. 아동은 완성도 높은 텍스트를 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내재적 상상력과 창조성을 발휘하도록 이끌어주는 텍스트를 접하는 것도 유의미하다. 디지털 서사창작도구는 아동에게 ‘창조적인 틈’을 제공한다. 사용자인 아동들은 그 빈틈을 스스로의 참여를 통한 상상력으로 채우며 이야기의 보편적인 구성 요소와 구성 방식에 대한 법칙성을 습득하게 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