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류한영-
dc.contributor.author민경란-
dc.creator민경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2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900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6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90003-
dc.description.abstractNowadays, product and service are provided in forms that can be reconstituted by user in accordance with the science and technology progress. Thus necessity and practice of personalization is accelerating further. With regard to these trend of personalization, interface provision methods has been altered from interface designed by designer to configurable designs that can be modified by user. In other words, supply of personalized interface enabled users to construct their own usage environment. Users can arrange their contents intensively on positions they wants and also they can disperse the contents to other pages through personalized interface. However this can be inconvenient for some users since it requires user to constitute numerous contents one by one. This study objects to comprehend constitution of personalized interface on smart phones the device which is most extensively personalized. For this research, personalized interfaces with less than 3 pages were collecte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ges. Also grid utilization pattern of 8 types applications was derived as well as usage patterns in terms of grid utilization.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In one page of personalized interface, generally lower field was used since thumb can be more easily reach. This suggests that most of applications are usually positioned at convenient domain. And in two page of personalized interface, generally uses fourth rows. This can be construed for more stable layout arrangements with regard to increased applications according to increased number of pages. Three paged personalized interface focused on four rows in only first page while overall grid was utilized in second, third page. This suggests in second, third page, other user interface components such as widget, background can be arranged at major field in accordance with increased pages, so most of applications were sporadically dispersed. This study demonstrated general use of personalized interface through identifying patterns of arrangements. Although personalization gets more important and smart phone has been progressed continuously, related studies were insufficient meanwhile. This study is significant with respect to comprehending practical use of general user's personalized interface and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as preliminary data for specific personalized interface template designs in future.;과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자이너들이 주체가 되어 사용자들에게 일방적으로 제공되었다. 그리고 사용자들은 이렇게 획일적이고 단일화된 인터페이스에 맞추어 사용하는 매우 수동적인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오늘 날의 사용자들은 자신의 주체성을 강조하고 개성을 중요시하게 되면서 인터페이스 사용에 있어서도 능동적인 주체로서 직접 재구성하여 보다 개인화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를 원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사용자들을 위해 오늘 날의 디자이너도 사용자가 직접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그들의 성향이나 사용패턴에 맞도록 재구성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 주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개인화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플랫폼 중에서도 특히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 이유로는 스마트폰은 기기의 특성상 터치가 가능하여 조작이 쉽고, 또한 현대인들 대부분이 소지하고 있는 가장 대표적인 개인 기기여서 사용자가 보다 쉽게 자신만의 환경을 구축하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현재 사용자들은 스마트폰 개인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자신이 사용하는 콘텐츠를 원하는 위치에 집중적으로 배치를 하기도 하고, 페이지 수를 늘림으로써 분산시켜서 배치하기도 한다. 하지만 본질적으로 이 과정까지 시간과 노력이 많이 요구되고 있어서 사용자들은 이에 번거로움을 느끼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주목해서 개인화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스마트폰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개인화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 패턴을 도출하여 어떠한 모습으로 사용되고 있는지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세 개 이하의 화면으로 구성된 개인화 인터페이스를 그리드 활용 측면에서의 전반적인 사용 패턴을 살펴보았고, 이를 8가지 유형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패턴을 통해 세부적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한 화면으로 구성된 개인화 인터페이스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을 한 손 조작시에 엄지손가락이 잘 닿는 영역에 배치를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고려한 배치가 위주였다. 두 화면으로 구성된 개인화 인터페이스에서는 첫 번째와 두 번째 화면 모두가 4행을 집중적으로 사용하였으며 이는 더불어서 두 화면 간의 비슷한 레이아웃 형태로 안정된 느낌을 주었다. 세 화면으로 구성된 개인화 인터페이스에서는 첫 번째 화면에서는 4행이 집중적으로 사용되었고 두 번째와 세 번째 화면에서는 특정 영역이라기 보다 전반적인 영역이 사용되어 산발적인 배치모습을 보였다. 첫 번째 화면에서는 주로 어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배치를 하였다면, 두 번째와 세 번째 화면에서는 위젯, 배경화면 등과 같은 다른 구성 요소가 중요시됨으로써 이들과 함께 조화로운 배치를 위해 산발적으로 분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처럼 개인화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 패턴을 도출하여 일반적인 사용 모습을 확인하였다. 개인화가 중요시되고 스마트폰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스마트폰에서의 개인화는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연구가 미흡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사용자들의 개인화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 모습을 이해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디자이너가 개인화 인터페이스의 구체적인 템플릿을 디자인 하는 데에 있어서 기반 연구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배경 및 목적 1 B. 논문의 구성 체계 3 Ⅱ.개인화와 스마트폰 개인화의 이해 4 A. 개인화의 이해 4 1. 개인화의 개념 4 2. 개인화의 방식 7 3. 개인화의 효과 9 B. 스마트폰 개인화의 이해 11 Ⅲ. 스마트폰 개인화 인터페이스 13 A. 스마트폰 개인화 인터페이스의 특성 13 B. 스마트폰 개인화 인터페이스의 구성요소 17 1. 정보 구조 18 2. 정보 표현 20 가. 레이아웃 20 나. 아이콘 20 다. 텍스트 21 라. 색상 22 Ⅳ. 스마트폰 인터페이스의 개인화 화면 사용 패턴 조사 23 A. 조사 대상 선정 23 B. 조사 결과 24 1. 한 화면으로 구성된 개인화 인터페이스 25 가. 그리드 활용 측면에서의 사용 패턴 25 나. 어플리케이션 활용 측면에서의 사용 패턴 27 2. 두 화면으로 구성된 개인화 인터페이스 31 가. 그리드 활용 측면에서의 사용 패턴 31 나. 어플리케이션 활용 측면에서의 사용 패턴 38 3. 세 화면으로 구성된 개인화 인터페이스 36 가. 그리드 활용 측면에서의 사용 패턴 36 나. 어플리케이션 활용 측면에서의 사용 패턴 38 Ⅴ. 결론 및 함의 42 참고문헌 44 Abstract 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216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스마트폰 인터페이스의 개인화 화면 사용 패턴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4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