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2 Download: 0

미술치료 관점에서 본 아동화적 표현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Title
미술치료 관점에서 본 아동화적 표현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Fashion Illustration applying children picture’s in terms of Art therapy
Authors
신영선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패션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혜연
Abstract
In modern world, the advanced science standardized the thoughts and lifestyle of human so that the problem of lost personality and individuality occurred, and human beings feel emptiness and bored. Especially, adolescents lost the inner humanities because of excessive competition in the community ‘School’. And the following depression and anxiety make the students escape from the reality and bear the problems of maladjustment in school. The art therapy is a field composed of ‘Art’ and ‘Therapy’, helping anindividual to ease the psychological conflicts through the creation of art contents so that he/she to live a creative life, and it diagnoses and cures the patients through the art activities. Therefore, with the trend of healing and communication, this study will research the influence and effect of art therapy accepting ‘The Fashion Illustration of Children pictures’ as a therapeutic tool in suggesting new paradigm of art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apacity of fashion illustration of children pictures as an art therapeutic function through the experiments on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ings. As a conclusion in the function and significance of art therapy, it is defined as a field of psychological therapy seeking mental, psychological stability through visual arts so it is ultimately defined as a trial of right self-development, and it is known that the art therapy is widening its territory gradually since the 20th psychiatrist to receive attentions from contemporary men in accordance with recently increasing social value of healing and therapy. And it is known that art therapy enables objectification of individual and recognition of own problem with experiencing catharsis, stress reduction and mental stability. And this study analyzed the various types and examples of art therapy specifically. As a conclusion of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pictures, children’s pictures are defined to be freely drawn pictures by plentiful imagination and emotion of children without any limitation, and recognized its artistic value in 20thcentury. At this time, some modern painters started to use the expression of children’s pictures, and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pictures and children’s pictures.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pictures had a therapeutic function through letting contemporary people return to the innocence of childhood to feel happiness. And, multiple preceding studies and literatures are in accordance with the art therapeutic purpose to console. The conclusion of experiments and producing works are as followings. First, in the comparison result of experiment and test sheet of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aptability conducted after the experiment, overall scores of students increased. It can be said that the art therapy experiment with the tool of fashion illustration of children’s pictures led the growth of school life adaptability with the increased self-esteem. Second, there are experimental results with the tool of fashion illustration of children’s pictures for each technique used. The techniques are divided into appreciation technique and participating technique. There was an outcome of story-telling technique in the appreciation technique. First, the story telling technique made the participants to engage in so that the members can communicate each other and the participation increases. Second, the pure image of human appeared in fashion illustration was interesting for the participants, and there was a tendency of equating themselves with the main character in the picture. Third, the interest of fashion is extracted by story-telling. Fourth, the hopeful subject can effect positively to the participants. Next, the participating technique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n educational achievement in using artistic contents stimulating curiosity with Gesso and acrylic panel. Second, the participants were very interested when working with objet to realize the fashion image in fashion illustration. Third, in the experiment of participating technique,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various techniques of children’s picture such as paints scattering, spreading, sweating, and frottage technique. Fourth, in some experiments the collaboration is applied, resulting intimacy among the members to increase the sociality. Collaboration by participating technique showed the possibility of healing as a form of ‘Playing’. Fifth, when the outcome is exhibited or used, the therapeutic effect was maintained. Likewise, the fashion illustration of children’s picture was convinced to have capability of art therapy, and to contain new value unseen in traditional fashion illustration. Based on the previous experimental results and discussion, following statements are proposed for following studies. If art therapy program combined with the fashion illustration of children’s pictures is included in regular curriculum, not only the self-esteem of adolescent increases, but also they find the hidden talents, increase the sociability through the smooth human relationship. And ultimately, there is a hope that this study influences establishing the sound humanity consistently. In addition, further studies should assist psychological stabilization with psychological treatment and counseling treatment with involved teacher and art therapist focused on the student. Besides, the biggest worry of adolescents is about entering school. During the experiment of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interested in fashion designer or fashion illustrator. So, the fashion illustration could be expected to influence the future course of student, and further detailed following studies are anticipated to affect adolescents materially;오늘날 청소년들은 과도한 경쟁에 따른 스트레스로 인하여 생기는 우울과 불안감으로 현실을 도피하려 하고, 이로 인해 자신감의 상실 및 학교 부적응의 문제를 낳고 있다. 학교, 사회, 가정에서 소외 시 된 청소년들은 부모와의 유대감 형성이 부족하고, 컴퓨터 중독의 사례는 늘어나 결과적으로 대인관계의 기피 및 사회성 결여 등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화적 표현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통하여 청소년들이 긍정적 사고와 희망을 가짐으로써,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교미술치교육의 대안을 찾고자 한다. 우선 아동화적 특징을 가진 현대회화가 치료의 효과를 갖고 있음을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아동화적 표현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도 치유적 기능을 갖고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하게 되었으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실증적인 미술치료의 과정을 통해 미술치료의 영향과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아동화적 표현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이 지니는 미술치료적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구체적인 실험을 통해 검증, 제시함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미술치료에 대한 개념을 비롯한 이론적 고찰을 한 후, 아동화적 표현의 특징과 치료적 가치에 대한 분석을 한 후, 아동화적 표현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특성, 효과 및 사례를 살펴본다. 다음은 미술치료적 가치를 검증하는데 있어서 아동화적 표현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도구로 사용하여 미술치료 방법을 적용한 실험을 하여 본다. 사전, 사후검사 및 실험을 통한 참가대상자들의 구체적 인터뷰를 바탕으로 결과를 분석하여 아동화적 표현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치료적 기능에 대한 연구를 하여 본다. 마지막으로 이론적 배경과 실증적 실험, 자아존중감 검사지과 학교생활 적응도 검사지를 실험의 전후로 실행하여 결과 분석을 한 바탕으로 치료의 역할도 가능한 아동화적 표현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의 요약으로 미술치료는 감정 해소에 효과적이고.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감정을 표현해야할 때 도움이 되며 미술작품을 감상하는 것만으로도 치유의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아동화에서 나타나는 독창적인 표현특성은 현대인에게 순수함과 어린 시절로 돌아가는 심리적 행복감을 주어 미술치료의 효과와 일맥상통함이 보였다. 그리고 아동화적 표현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이 본래의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기능인 시각적인 효과에서 좀 더 확장된 의미로 감상자에게 감동과 더불어 인간의 순수함과 솔직함을 인지하여 준다는 것을 알았다. 실험 및 작품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으로는 검사지의 결과와 아동화적 표현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도구로 하여 실험한 결과가 있다. 검사지의 결과로는 자아존중감 검사지와 학교생활 적응력 검사지의 실험 전 사전검사와 실험 후의 사후 검사를 비교 분석한 결과, 개인별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의 학생이 점수의 증가세를 나타냈다. 이는 아동화적 표현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도구로 사용한 미술치료 실험이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력의 향상에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아동화적 표현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도구로 한 실험은 감상기법과 참여기법으로 나누어서 구성하였다. 감상기법의 결과로는 참가자들이 패션과 패션 아이템에 흥미를 보였고, 긍정적인 스토리텔링을 통해 마음의 변화를 일으키며 감정이입이 수월하여졌다. 또 부드러운 색채는 참가자들의 기분을 밝게 해주어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며, 원색의 강한 색의 대비는 경쾌한 기분인 든다는 소감을 피력하였다. 그리고 아동화적 표현특성은 감상자의 마음을 따뜻하게 하여 주었으며 어린 시절을 추억하게 만들었다. 또한 참가자들은 우연적인 효과에 기반 한 아동화적 표현기법과 미술매체에 호기심을 보였다. 참여기법의 결과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아동화의 특성은 참가자들로 하여금 정신적 피로감을 회복시켜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가자들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쓰인 동일한 매체와 표현기법으로 그림 그렸는데, 마치‘놀이’와 같은 유희의 감정을 느껴하였고,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패션 이미지를 실재 오브제로 작업함으로써 참가자들의 큰 호응을 일으켰다. 또한 집단미술치료를 참여형태로 실험했을 때, 참가자들은 집단원간의 친밀감이 형성되어 발전적 대인관계를 형성하였고, 결과물을 사용하거나 전시하였을 때 미술치료의 효과가 지속 되었다. 결론적으로 아동화적 표현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도구로 사용한 미술치료 실험이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력의 향상을 가져왔으며, 더 나아가 지속적인 미술치료 교육이 진행된다면 학생들에게 더 큰 영향력을 끼칠 가능성이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향후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아동화적 표현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도구로 사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접목한 미술 교육을 학교 정규 교과 과정에 편성하여 실시한다면, 이를 통해 청소년들은 긍정적 자아존중감을 이룰 수 있다. 나아가 대상자들 내면의 창조적 재능을 발견하고, 원만한 인간관계를 통한 사회성 향상과 올바른 인간상을 확립하는데 있어서 본 연구가 밑거름이 되기를 바란다. 또한 대상 학생을 중심으로 교사와 미술치료사가 지속적인 관심을 갖도록 하여 미술치료의 연속성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일반 대중들에게도 치료의 기능을 가진 아동화적 표현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작품 전시 기회를 많이 가진다면 현대인들이 작품 감상을 통하여 순수한 동심의 세계로 돌아가 정서적 안정감을 얻고 마음의 순화가 될 수 있으리라 여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