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5 Download: 0

유동적 요인에 따른 색채선호 속성 연구

Title
유동적 요인에 따른 색채선호 속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roperties of color preference according to variable factors
Authors
제나나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최경실
Abstract
감성 사회라 불리는 현대사회는 소비자 중심의 시대이며 생산 행위의 초점이 소비자에게 맞추어져 있다. 이에 기업들은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감성을 차별화의 요소로 인식하고 아날로그적 감성을 과학화하고 수량화하는 데 관심을 두기 시작하였다. 색채는 형태에 비해 반응 속도가 빠르고 강력하며 사고 판단과 감성, 심리상의 반응을 유발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로 인해 색채는 소비자의 심리, 태도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감성 표준화의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특정 색채에 대한 감성 표출 현상인 색채선호는 인지적 통합 반응으로 인간의 심리 상태를 대변해 주는 지표 기능을 하며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현상학적 속성을 지니고 있다. 선행 연구는 국가, 지역, 성별, 연령 등의 일부 요인에 따른 단편적 접근 방법에 머물러 있으며 결과 값의 활용 방안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러한 연구 방법은 조사 도구로 사용되는 색표계의 다양성으로 결과의 활용도가 낮고 견본 선정의 기준이 모호하여 신뢰성 확보에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동일한 목적의 연구에서도 연구자마다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는 현상을 보면, 색채선호 연구의 새로운 관점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 연구의 단편적이고 정량적인 접근 방식에서 벗어나 색채선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인지적 관점에서 접근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색채선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정립한 후 색채선호 특성을 분석하여 색채선호의 본질적 속성을 규명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선행 연구의 고찰을 통해 색채선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한 후 요인의 속성에 따라 고정적 요인과 유동적 요인으로 분류하였으며, 유동적 요인이 색채선호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조사 도구와 측정 방식, 회상, 정보 제공을 요인으로 설정하고 조사 도구는 견본의 종류와 견본의 제시 유무로 세분화시켰다. 견본 종류-색명과 색견본-, 견본 제시 유무-개방형 평가와 선택형 평가-, 측정 방식-견본 선택과 척도 표기-, 회상-선호색 회상과 혐오색 회상-, 정보 제공-텍스트와 이미지-에 따른 유동적 요인의 조사와 실험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자에 의해 선택되는 견본의 종류, 견본 제시 유무, 측정 방식은 선호를 변화시키는 유동적 요인으로 검증되었다. 조사자는 색채선호 조사 과정에서 견본의 종류, 견본의 제시 유무, 방식에 따른 세부 유형을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선택되는 세부 유형에 따라 선호 특성이 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견본의 종류에 따라 66.7%, 견본의 제시 유무에 따라 62.5%, 측정 방식에 따라 79.2%의 피험자에서 선호가 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특정 색채의 회상, 특정 색채에 대한 정보 제공은 선호를 변화시키는 유동적 요인으로 검증되었다. 조사 시점에서 피험자는 특정 색채에 대한 회상을 경험하고 특정 색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는 피험자의 선호 특성을 변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선호색 회상 과정은 선호색에 대한 선호를, 혐오색 회상 과정은 혐오색에 대한 혐오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정 색채에 대한 정보 제공은 해당 색채의 선호 향상에 긍정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특정 색채의 회상과 특정 색채에 대한 정보 제공은 선호 특성을 변화시키는 유동적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회상, 정보 제공과 같은 유동적 요인은 세부 유형에 따라 선호를 변화시키는 강도가 다르다. 회상은 선호색 회상과 혐오색 회상으로, 정보 제공은 텍스트와 이미지로 유형화하였는데 이 같은 세부 유형에 따라 선호 변화의 강도가 달라졌다. 특정 색채의 회상은 혐오색 회상에서 변화 강도가 가장 강했다. 또한 선호색 회상과 혐오색 회상을 동시에 수행한 집단의 선호 변화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정보 제공은 텍스트에 비해 이미지로 제공될 때 선호의 변화 강도가 강하게 변했다. 이를 통해, 유동적 요인의 세부 유형에 따라 선호 특성을 변화시키는 강도가 다르며 이는 조사 시점에서 발생되는 유동적 요인의 유형에 따라 조사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넷째, 피험자의 색채 관련 인지 수준 및 색채 사용 특성은 선호 속성을 변화시키는 유동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색채선호 조사 시 피험자의 톤에 대한 인지 수준은 견본의 유무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견본이 없을 경우 대체로 수식 형용사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견본이 제시될 때는 기본색에 비해 톤의 개념이 포함된 색채를 3배 가량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색채의 정보 제공에 따른 선호 특성 실험에서 나타난 관용 색명과 계통 색명의 색 범주 차이, 색견본에 대응하는 색명 혼동의 발생은 선호 결과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정보 제공으로 사용된 자극물 중 초록 색상에서 이 같은 현상이 두드러졌는데 이는 한국인에게 연두에서 파랑에 이르는 색 영역에 대한 범주화가 명확하게 확립되지 않은 특성 때문으로 추정된다. 다섯째, 피험자의 선호 및 혐오에 대한 심리 반응이 선호 속성을 변화시키는 유동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특정 색채의 회상에 따른 선호 특성 분석에서 혐오색 회상이 선호색 회상에 비해 선호 변화의 강도가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심리학의 이론인 부정성 효과(negative effect)가 반영된 결과로 피험자의 심리 반응은 선호 속성에 영향을 준다. 정보 제공에 따른 색채선호 속성 실험에서는 기존의 혐오색이었던 주황 색상의 선호 상승이 정보의 유형에 관계없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인지 부조화(cognitive dissonance)의 현상이 반영된 결과로 피험자의 선호에 대한 심리 반응은 선호 특성을 변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색채선호는 인간이 특정 대상에 대해 반응하는 인지적 통합 반응으로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화하는 속성을 지닌다. 이로 인해 피험자의 색채 지각 체계와 사용 특성, 선호에 대한 심리 반응, 회상 유무 등과 같은 연구자가 통제할 수 없는 유동적 요인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유동적 요인의 세부 유형이 다양하여 이에 대한 객관적 기준을 수립할 수 없는 한계도 있다. 따라서 색채선호는 절대적, 고정된 개념이 아니며, 선호 반응이 나타나는 시점의 특성에 따라 변화되는 유동적 관점의 대상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피험자의 특성을 파악한 후 효과적인 제시 방법을 통해 선호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방법적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를 통해 색채선호 연구 방법에 대한 인식의 전환점이 되길 바라며, 다양한 관점의 연구 방법이 개발되어 색채선호의 본질을 규명하고 색채선호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시초가 되길 바란다.;Modern society called as emotional society is a consumer-centered era and production act is focused on consumers. Accordingly, organizations began to be interested in materializing and quantifying analog sensitivity recognizing emotions as elements of differentiation in order to meet their needs. Colors have faster reaction speed than shapes being strong and are characteristic of provoking reactions in terms of thoughts, judgment, emotions and psychology. As a result, they play a key role in changing customers' psychology and attitudes and are used as a tool of sensitivity standardization in a variety of areas. Color preference that is a phenomenon of expressing one's emotions of specific colors is cognitive integrated reaction, performs a function of representing the person's mental state, has phenomenological properties of being affected by various factors. Previous studies are limited to a fragmentary approach according to some factors such as nations, regions, gender, age etc. and focus on the methods of use of result value. For such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are not often used for a variety of color systems employed for investigative tools, standards for selecting samples are vague, which leads to a difficulty of ensuring reliability. In addition, if we see phenomena that different results are concluded by researchers in studies of the same purpose, a need for a new perspective of color preference research is raised.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approach factors which may affect color preference from a cognitive perspective by getting out of fragmentary and quantitative approaches of previous studies. Through this, we will elucidate intrinsic attributes of color preference by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color preferences after setting up factors which may affect color preference, which is the purpose of the study. After identifying factors which affect color preference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we classified them into stable factors and variable factors depending on their properties, and understood that the variable factors may affect color preference. To verify this, we set up investigative tools, measuring methods, recall, information offering as factors and investigative tools were subdivided into types of samples and status of provision of samples. The followings are results of our investigation and experiment of variable factors depending on sample types-color blindness and color samples-, status of provision of samples-open evaluation and selective evaluation-, measuring methods-sample choice and scale marking-, recall-recall of preferred color and of disliked color-, and information offering-text and image-. First, types of samples selected by a researcher, the status of sample proposal, and measuring methods are proved to be variable factors which change preference. The researcher come to randomly choose and use detailed types according to types of samples, the status of sample proposal, and measuring methods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color preference. It was analyzed that preference characteristics change depending on detailed types selected at this time. It was analyzed that preference in subjects changes 66.7% depending on types of samples, 62.5% depending on the status of sample proposal, and 79.2% depending on measuring methods. Second, it was proved that recall of specific colors, and information offering of specific colors are variable factors which change preference. It is possible that the subject experience recall of specific colors and is provided information on specific colors at the time of investigation, which worked as a factor to change her preference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 process of recalling preferred colors increases preference for the preferred colors, and the process of recalling disliked colors increases preference for the disliked colors. In addition, it was analyzed information provision on specific color plays a positive role in increasing preference for the given color. It indicates that recall of specific color and information provision on specific color are variable factors to change preference characteristics. Third, variable factors such as recall, and information provision have different intensity to change preference depending on detailed types. Recall was categorized into recall of preferred color and of disliked color, and information provision was categorized into texts and images and levels of preference change varied depending on these detailed types. For recall of specific color, change levels were highest in recall of disliked color. Also, it was found that preference change was highest in a group in which recall of preferred color and of disliked color was done at the same time. For information provision, levels of preference change were higher when images were provided compared to texts. The results suggest that intensity varies to change preferenc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detailed types of variable factors, which indicates that investigation results may vary depending on types of variable factors which take place at the time of investigation. Fourth, a subject's color-related perception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color use can serve as variable factors to change preference properties. It was analyzed that when color preference was investigated the subject's perception level of tone varies depending on the status of samples. When there was no sample, modifying adjectives were not usually used as the study found. On the contrary, it was found when samples were provided, colors which included a concept of tone were preferred three times than basic colors. As found in an experiment of preferen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information provision of specific colors, it was analyzed differences in color categories between usual color names and systematic color names, and occurrence of confusion with color names responding to color samples change preference results. In particular, this phenomenon was apparent in blue color out of stimuli used for information provision. And it is considered that it's because Koreans have no clear categorization in relation to the color spectrum from yellow-green to blue. Fifth, the subject's psychological response to preference and disliking can serve as a variable factor to change preference properties. It was analyzed that in an analysis of preferen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recall of specific colors, recall of disliked colors has higher levels of preference change than that of preferred colors. It is a result that a negative effect, a theory of psychology is reflected and the subject's psychological response affects preference properties. It was found that in an experiment of color preference properties according to information provision, an increase in preference for orange color which was a disliked color before was apparent regardless of types of information. This phenomenon is a result that cognitive dissonance is reflected and the subject's psychological response to preference may serve as a factor to change preference characteristics. Color preference is cognitive integrated reaction human beings react to specific objects and has properties of being changed by a variety of factors. For this reason, variable factors such as the subject's color perception systems, characteristics of use, psychological reaction to preference, and the status of recall may take place which the researchers can't control. In addition, as detailed types of the variable factors are various, it's impossible to establish objective standards, which is a limitation. Thus, color preference is not an absolute and stable concept, and it should be recognized as an object of a variable perspective which change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a viewpoint by which preference reaction appears. A methodical study is required to maximize preference effects through an effective method of providing after understanding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make a turning point of recognition of color preference research methods, and that research methods of various perspectives will be developed to make basics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color preference, understand and use it right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