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혜연-
dc.contributor.author허진영-
dc.creator허진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8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904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6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90456-
dc.description.abstract현대 사회는 심각한 자연 훼손과 자원의 낭비로 인한 지구 생태계의 위험수준이 커지고 있으며 산업화에 의한 무분별한 대량 생산과 무책임한 소비로 인해 환경 파괴를 초래하게 되었다. 그로 인해 사회 전반적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었고 생산 및 소비 윤리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이와 함께 인간과 환경을 고려한 디자인은 현대사회 디자인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하여 중요한 이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이를 배경으로 한 윤리의 개념은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디자인과 관련하여 강조되고 있으며, 브랜드 철학에서 더 이상 윤리의 개념을 간과 할 수 없게 되었다. 이는 윤리란 더 이상 도덕적 철학의 개념이 아닌 사회적 이슈의 새로운 문화적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디자인 분야에서도 중요한 이슈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이윤추구를 최우선으로 여기며 발전한 패션디자인 분야에서도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친환경적인 디자인에서 진화하여 상품의 이면의 가치까지 고려하는 윤리적 패션으로 발전하여 친환경적이고 도덕적인 패션디자인으로 요구되고 있다. 그 결과 디자이너와 패션기업에서 최근 윤리적 패션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윤리적 패션의 실천방안 중 하나로서 소비자 사용 후의 중고의상을 활용한 재활용 패션디자인은 환경적으로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단순히 재활용적인 측면만 강조한 윤리적 패션디자인은 소비자들에게 제한적인 가치만을 전달해주므로 심미적 가치의 여부는 윤리적 패션 디자인의 수용과 확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윤리적 패션디자인의 연구가 다각적으로 요구된다. 기존의 윤리적 패션디자인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윤리적 패션디자인의 유형을 고찰하거나, 특성을 이론화하여 서술하는데 그치는 이론적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버려지는 방대한 양의 패션 폐기물들의 재활용 필요성을 인식하고 현재 패션산업의 전문적인 윤리적 패션디자이너나 관련 제품의 실용화가 미흡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윤리적 패션 디자인에 해체주의적 방법을 접목해 윤리적 해체의 디자인 방법을 구축하고자 한다. 또한 사회 전반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윤리적 패션디자인의 중요성과 가치에 주목하여 윤리적 해체의 디자인 방법을 구축함으로써 인간과 환경 중심의 윤리적 디자인 실천의 가능성을 제안함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과 방법은 먼저 문헌연구를 통하여 윤리와 해체의 개념을 정의하고, 윤리적 패션디자인 및 패션에 적용된 해체주의에 관한 고찰과 사례 조사를 바탕으로 그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연구와 실증연구에 의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윤리적 패션디자인을 전개하기 위한 윤리적 패션 디자인 해체 원리와 방법을 구축하였다. 현대사회의 친환경 패러다임에서‘윤리성’은 인간과 자연 모두를 지속적으로 살리고자 하는 생명존중의 가치기준이다. 본 연구에서는 윤리성을 디자인의 실천적 가치로 여기고 해체주의의 철학적 개념을 도입하여 미적 가치를 구현하고자 한다. 이렇게 볼 때 윤리성과 해체의 개념은 본 연구에서 창의적 디자인의 방법을 모색하는 사유의 근거가 된다. 본 연구의 윤리성의 기준과 범위는 ‘폐기물 최소화(Zero Waste)’로 정하며 이러한 윤리성과 해체 개념의 결합을 ‘윤리적 해체’라 명명한다. 본 연구에서는 윤리적 해체 패션디자인의 새로운 원리와 방법을 구축하고 이를 적용한 디자인 실천의 방법적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종합적인 요약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윤리적 패션디자인이란 환경과 인간을 위한 의식 있는 디자인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그 유형은 친환경 디자인, 친환경 소재사용디자인, 친환경적 지역생산 디자인으로 분류 할 수 있다. 이는 인간 중심과 환경중심의 구현가치를 모두 지향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윤리적 패션디자인의 사례들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그 중 친환경 디자인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디자인 영역과 소재사용의 탈 경계성, 유일무이한 디자인인 희소성, 재활용 폐기물을 사용하여 자원을 환원시키는 자원의 순환성으로 나타났다. 셋째, 데리다의 해체주의 개념을 기반으로 패션디자인에 적용된 해체의 개념을 차연, 상호 텍스트성, 의미의 불확정성, 탈 현상으로 분류하여 사례와 함께 살펴본 결과, 그 특징은 시간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함께 공존함을 의미하는 시간의 초월성, 기존의 모든 사고방식을 거부하는 고정관념의 파괴로 도출되었다. 넷째, 윤리적 해체의 패션디자인 개념을 분석한 결과와 해체주의 패션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시각적 외적 형식을 치환, 이접, 전환, 미완성, 비대칭, 불균형, 중첩, 모호성, 재사용의 9가지로 도출 하였다. 다섯째, 외적 형식 원리에서 윤리적 해체 패션디자인의 원리를 도출하였다. 윤리적 해체 패션디자인의 원리는 이동, 위치의 변경을 의미하는 디자인 원리인 이접, 기존의 관념적 구성 방식 및 소재사용 탈피를 의미하는 고정관념의 탈피, 소재의 조형적 특성을 응용한 디자인 원리인 자원의 재사용으로 분류하였다. 여섯째, 윤리적 해체 패션디자인의 원리를 기반으로 윤리적 해체 패션 디자인 방법을 구축하였다. 그것은 즉, 믹스 앤 매치, 전위, 레이어링, 제로 웨이스트, 기능의 전환이다. 이와 같이 구축한 윤리적 해체의 패션디자인 방법을 적용한 작품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믹스 앤 매치 방법은 중고 의상에서 분리된 조각들의 이질적인 소재 및 아이템의 해체된 조각들을 조합하는 과정에서 분리되고 해체된 조각들의 대조적 이미지들을 조화롭게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고정관념을 탈피한 의외의 디자인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전위는 분리된 의상의 조각들과 각각의 아이템의 위치를 이동시켜 기능전환과 형태의 변화를 기하는 디자인 방법으로서 기존 디자인 방법과는 차별화된 전환적 발상법이며 이를 통해 독창적 디자인을 창출할 수 있었다. 셋째, 레이어링은 다양한 아이템들이 층을 이루어 겹쳐 입는 것을 의미하며 분리된 조각들의 재구성, 재조합에 의해 중첩시키는 디자인 방법이다. 이는 다양하고 이질적인 요소들을 기존 구성방식에서 탈피하여 겹겹이 구성, 봉제함으로써 하나의 통일된 새로운 착장 결과물로 나타날 수 있었다. 넷째, 제로 웨이스트는 윤리성 구현을 위해 해체 및 재구성에 있어서 폐기물을 최소화하는 디자인 방법이다. 해체를 통해 분리된 조각들을 제로 웨이스트 원칙에 따라 창의적 구성방식을 모색하게 되고 그 결과 예기치 못한 독특한 디자인 아이디어가 창출 될 수 있었다. 다섯째, 기능의 전환은 분리된 조각들의 다각적 사용과 재구성 과정에서 다른 상태로의 기능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디자인 방법으로서 아이템과 디테일의 구조적 변화에 의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윤리적 해체 디자인 방법은 해체 과정에서 디자인 아이디어와 구성방식이 도출 되므로 해체과정이 즉, 디자인 과정이다. 중고의상을 해체하고 재구성하는 과정 속에서 기존의 구성 방식에서 벗어나 윤리적 해체의 새로운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다각적 실험적 시도가 이루어져 다양한 디자인 아이디어가 창출되어 윤리적 해체 방법의 디자인은 과정 중심의 디자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일곱째, 본 연구의 윤리적 해체 디자인 방법은 한정된 재활용 자원에서 출발하고 창의적 구성방식이 디자인 하나하나에 개별적으로 적용됨으로써 디자인에 희소성을 부여한다. 이는 더 이상 생산이 불가능한 기존의상을 사용한다는 디자인 방식의 특성상 의상의 해체와 재구성 과정 후 유일무이한 단 한 벌의 디자인 결과물로 완성되기 때문이다. 여덟째, 본 작품에서는 해체를 통해 분리된 조각들의 재구성 과정을 거치면서 수많은 아이디어가 생성되고 동시에 기존 구성법이 아닌 자율적인 독특한 구성법을 구사할 수 있었다. 아홉째, 윤리적 해체 디자인 방법은 다양한 실험적 과정 속에서 디자인이 비계획적으로 도출되기도 하여 디자인창출에 우연성과 의외성을 지니고, 따라서 독창적인 방법이다. 이는 계획된 디자인이 아닌 다각적인 시뮬레이션 디자인의 실험을 통해 우연하게 도출되는 디자인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윤리적 패션디자인의 유형을 고찰하거나 특성을 이론화하여 서술하는데 그치지 않고, ‘윤리성’과 ‘해체’ 개념을 기반으로 하여 구축한 윤리적 해체 패션디자인의 원리와 방법을 작품에 실질적으로 적용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진부하다고 평가되는 재활용디자인에 대한 고정관념을 개선하고, 독창성과 실용성을 동시에 갖춘 제품으로서의 실현 가능성을 제시하는 실증적 연구를 했다는 점에서 기존 선행연구들과 차별성이 있다.;The risk level of global ecosystems has risen due to serious natural damage and a waste of resources in the modern world. And thoughtless mass production by industrialization and irresponsible consumption caused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Due to these,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he environment in society at large and the importance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ethics was magnified. In addition, design which considers men and the environment appeared as a new paradigm of modern society design and has been the important issue. And the concept of ethics based on this has recently been emphasized in reference to design in the various fields. And the concept of ethics cannot be ignored any more in brand philosophy. It’s because ethics has been a new cultural paradigm of social issues, not the concept of a moral philosophy anymore and has shown as an important issue in the design field. This phenomenon has been shown even in the fashion design field which puts pursuit of profits before everything else. it requires environmental and moral fashion design by evolving from environmental design and progressing to ethical fashion which considers value of the hidden side of products. As a result, designers and fashion companies’ interest in ethical fashion design has recently tended to increase. Recycling fashion design which utilized used clothes used by consumers has environmentally achieved recognition of the high value as one of the action plans of ethical fashion. Because ethical fashion design which simply emphasizes the recycling aspects just delivers the restricted value only to consumers, the aesthetic value can have an effect on acceptance and spread of ethical fashion design. Therefore, studies on ethical fashion design are multi-laterally required. The precedent studies about the existing ethical fashion design were mostly the theoretical studies which just studied ethical fashion design types or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by theorizing them.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build a design method of ethical deconstruction by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recycling about a vast store of waste which are abandoned and integrating ethical fashion design with the deconstruction method based on the point that professional ethical fashion designers and commercialization of the relevant products are currently insufficient in the fashion industry.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a practical possibility of men and environment-centered ethical design by taking not of the importance and value of ethical fashion design which has been emphasized in society at large and building a design method of ethical deconstruction. The main contents and methods of the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s of ethics and deconstruction through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first and drew th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studies and case research on deconstruction applied to ethical fashion design and fashion. It built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ethical fashion design deconstruction to develop ethical fashion design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by the theoretical studies and empirical studies. ‘Ethicality’ is a standard of value to respect life which tries to continue to preserve men and nature in environment-friendly paradigms of modern society. This study tries to realize aesthetic value by considering ethicality as design’s practical value and introducing the philosophic concept of de-constructivism. In this sense, the concept of ethicality and deconstruction becomes grounds of the reasons that this study seeks creative design methods. The criteria and scope of ethicality in this study are decided as ‘zero waste’ and combination of this concept of ethicality and deconstruction shall be called ‘ethical deconstruction.’ This study tries to build a new principle and method of design by applying the method of ‘ethical deconstruction’ to it and suggest a methodical model of design practice. The study is overally summari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ethical fashion design can be defined as conscious design for environment and men and the types can be classified into environment-friendly design, design which uses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environment-friendly design produced by regions. All of these things aim at realization of men and environment-centered value. Second, the result which classified cases of ethical fashion design by type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friendly design has found to be transboundary trends of design areas and use of materials, scarcity of unique design, circulation of resources which revivify them by using recycling waste. Third, the result which classified the concept of deconstruction applied to fashion design based on Derrida’s concept of deconstruction into examine into differences, mutual textuality, uncertainty of meanings, and deviation and examined them with cases h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were drawn as transcendence of time which means dissolving the boundary and coexistence and destruction of stereotypes which reject all the existing ways of thinking. Fourth, 9 visual external forms of substitution, logical sum, transfer, incompleteness, asymmetry, imbalance, overlay, and ambiguity, and reuse were drawn based on the result which analyzed the fashion design concept of ethical deconstruction and the precedent studies of de-constructivism. Fifth, the principle of ethical deconstruction fashion design was drawn from the principle of external forms. The principle of ethical deconstruction fashion design was classified into logic sum, the design principle which means movement and changes of position, breakaways from stereotypes which means breakaways from use of the existing ideal formats and materials, reuse of resources, the design principle which applie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Sixth, a ethical deconstruction fashion design method was built based on the principle of ethical deconstruction fashion design. In other words, it’s mix and match, the avant-garde, layering, zero waste, and transfer of function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of the works which applied the fashion design method of ethical deconstruction built like this are as follow: First, the mix and match method harmoniously reconstructed contrasting images of pieces separated and broken up from the process to combine different materials and items of broken pieces separated from used clothes and at the same time, showed the unexpected design which does away with stereotypes. Second, the avant-garde is the design method which changes functions and forms by moving pieces of separated clothes and position of each item and transformative idea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design methods and can create original design. Third, layering means that people dress in a layers with various items and is the design method which overlaps separated pieces by recomposition and recombination. It can be shown as a new creative unified result by escaping from the existing formats and composing and sewing various and different elements in layers. Fourth, zero waste is the design method which minimizes waste in deconstruction and recomposition to realize ethicality. It seeks creative formats of separated pieces through de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zero waste. And as a result, unexpected unique design ideas could be created. Fifth, transfer of functions is the design method that transfer of functions is done as separated pieces are changed to the different state in the process of multilateral use and recomposition. It could be found that it is done by the structural change of items and details. Sixth, the ethical deconstruction design method draws design ideas and formats in the deconstruction process. That is, it’s the design process. it applied a new method of ethical deconstruction by escaping from the existing formats in the process which separates and recomposes used clothes. As a result, it could be found that design of the ethical deconstruction method is process-centered design as various design ideas were created through multilateral experimental attempts. Seventh, the ethical deconstruction design method of the study grants scarcity to design as it starts from limited recycling resources and creative formats are individually applied to each design. It’s because an unique suit is completed as the design result after the process of deconstruction and recomposition of clothes according to design methods which use the existing clothes that cannot be produced any more. Eighth, a lot of ideas could be cre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autonomous and unique method of sewing, not the existing ones, could be shown in this work through the recomposition process of separated pieces by deconstruction. Ninth, the ethical deconstruction design method has contingency and unexpectedness as design is unexpectedly drawn in the various experimental process. Therefore, it’s the creative method. This means design which is by chance drawn through multilateral simulation design experiments, not planned desig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oes not stay at studying ethical fashion design types or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by theorizing them, but applied the principle and method of ethical deconstruction fashion design built based on the concepts of ‘ethicality’ and ‘deconstruction’ to works substantially.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precedent studies in that it improved the stereotypes about recycling design which is evaluated as being generally derivative and suggested a realistic possibility as the product which simultaneously has originality and practica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 B. 연구의 방법 및 범위 3 Ⅱ. 윤리와 패션디자인 8 A. 현대사회와 윤리 8 B. 윤리적 디자인 11 1. 디자인에 있어서의 윤리의 개념 11 2. 윤리적 디자인의 가치 12 C. 윤리적 패션 디자인 24 1. 윤리적 패션디자인의 개념과 형성배경 24 2. 윤리적 패션디자인의 유형 28 3. 윤리적 패션디자인 특성 40 Ⅲ. 해체주의 패션 45 A. 해체주의 개념과 해체주의 45 1. 해체주의 개념과 형성배경 45 2. 데리다의 해체주의 50 B. 해체주의 디자인 57 1. 건축디자인 58 2. 산업디자인 67 3. 시각디자인 68 C. 해체주의 패션의 발생과 특성 71 1. 해체주의 패션의 개념과 형성배경 71 2. 패션에 적용된 해체주의 73 3. 해체주의 패션디자인의 특성 86 Ⅳ. 윤리적 해체 패션디자인 방법 구축 88 A. 윤리적 해체 패션디자인 개념 설정 88 B. 윤리적 해체 패션디자인 방법 구축 91 1. 윤리적 해체 패션디자인의 원리 92 2. 윤리적 해체 패션디자인의 방법 94 Ⅴ. 윤리적 해체의 방법을 적용한 패션디자인 제안 96 A. 디자인 계획 96 1. 디자인 제안의 배경 96 2. 디자인 개념 및 의도 97 3. 디자인 전개 및 과정 99 B. 제작 결과 및 해설 111 Ⅵ. 결론 및 제언 179 A. 연구 결과 요약 및 결론 179 B. 연구 결과 검토 및 제언 183 참고문헌 185 Abstract 1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9903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윤리성을 기반으로 해체의 방법을 적용한 패션디자인-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Fashion Design which Applies a Deconstruction Method Based on Ethicality-
dc.creator.othernameHeo, Jin Young-
dc.format.pagexv, 19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패션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