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혜-
dc.contributor.author홍성지-
dc.creator홍성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7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0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6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05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홍성지의 관현악곡인 <천년(千年)의 춤 for Orchestra>에 대한 작품 분석이다. 천년이 넘는 유구한 세월동안 이어져 내려오는 한국무용의 이미지를 악곡에 표현한 곡으로, 춤사위의 선(線)의 형태, 전통무용에 나타난 리듬적 특징, 맺고 푸는 한국무용의 역동적인 이미지를 오케스트라 곡으로 표현한 곡이다. 3관 편성의 오케스트라를 위한 <천년(千年)의 춤>은 2010년에 완성되어 초연되었으며, 제 1곡은 3부분 형식과 연장 개념의 짧은 삽입구로 구성되어 있고, 제 2곡은 아치형식으로 구성된 부분과 제 1곡과 제 2곡의 요소들을 합성하여 재구성하는 꼴라쥬 기법을 통한 ‘코다(Coda)’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변형 네트워크와 집합이론을 토대로 작곡된 이 곡은 음조직의 수직, 수평적 대칭구조와 중심음에 의한 연장(prolongation), 음렬의 순환적 사용과 강력·양성 동형그라피의 K-net 구조, 강력동형그라피 순환모형(Strong Isography Cycle)을 통해 곡 전체를 아우르는 거시적인 구조를 확립하고, 제 1곡과 제 2곡의 상호 연관성을 도출하여 연곡의 결속력(unity)을 부여한다. 총체적인 표현수단으로서 사용된 ‘음조직’에 의해 다른 음악요소, 즉, 악기의 주법과 오케스트레이션, 대칭적 리듬의 사용과 성부진행, 극단적인 다이내믹의 사용, 꼴라쥬 기법을 통한 조합, 춤사위의 선(線)을 묘사하는 주제의 도입과 투티(Tutti)의 확장, 리드믹오스티나토 진행에 이르기까지 밀접한 관계를 갖으며 통제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전통무용의 이미지를 다양한 음향적 효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제 1곡은 ‘검무’ 춤사위의 ‘선(線)의 형태’를 선율윤곽에 도입하여 구분A와 A′의 주제를 구성하였으며 두 주제선율은 강력동형그라피 관계를 갖으며 팽팽히 대치되어 있는 두 무용수 간의 대립관계를 상징한다. 이러한 대립구도는 곡 전체를 통하여 크고 작은 대칭구조와 여러 연장(Prolongation)의 방법, 그리고 투티(Tutti)를 통한 확장구조로 발전된다. 제 2곡은 한국 전통무용 ‘북춤’1)의 춤사위와 ‘정중동(靜中動)’의 내재적 요소를 악곡 발전 방법으로 도입하였다. 북춤의 대표적인 춤사위로는 북을 치면서 뛰어올라 원을 그리며 회전하는 춤사위와 무용수 각자가 제자리에서 원을 그리거나 무용수들이 함께 큰 원을 그리며 큰 대형을 구성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회전하는 춤의 특징은 제 2곡을 구성하는 대표적 기저로서 사용되었으며, 순환의 요소는 크고 작은 K-net 순환구조와 리듬의 대칭구조, 캐논의 도입과 제 2곡 전체 형식의 대칭구조로 도입되어 다각적인 측면에서 재현된다. 또한 ‘북춤’에 내재된 ‘정중동’(靜中動)의 요소를 악곡에 적용하여, 선율윤곽에는 나타나지 않는 내재된 강력동형그라피 연속체와 양성동형그라피, 강력동형그라피의 순환구조의 음악 요소들이 결집되어 작품을 구성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 네 가지 사항에 역점을 두고 있다. 첫째는 한국전통무용이 관현악곡으로 상징되어 도출된 오케스트라의 심화된 음향효과를 고찰하는 것이며, 둘째는 K-net 구조와 음렬기법을 통하여 구축된 음조직의 응집성을 밝히는 것이다. 셋째는 유기적으로 조직화된 음조직이 나머지 음악요소를 어떻게 통제하고 있는지에 관한 고찰이며, 넷째는 음조직과 음악요소로 결집된 두 연곡의 거시적 응집성과 결속력을 부여하기 위한 작곡가의 장치들을 논한다. 이 곡의 분석을 통하여 <천년(千年)의 춤>에 나타난 총체적 표현수단으로서의 음조직과 변형네크워크를 통한 악곡구성을 통하여 보다 응집성 있는 악곡을 구성할 수 있었으며, 전통무용의 이미지 상징을 통한 작곡가의 음악어법을 통해 오케스트라의 다양한 음향효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처음으로 시도되는 변형네트워크(K-net)를 통한 악곡 구성의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This dissertation describes the techniques used for a composition called Millennium Dance for Orchestra, which describes the motions and spirit of Korean traditional dance that traces back over a thousand years, in a form of an orchestral music piece. In order for a more cohesively method to musically describe the flowing dance motions, the rhythmic features, and the dynamic sequences and images of traditional Korean dance musically, a custom composition technique was incorporated to David Lewin’s Klumpenhouwer Networks and Isographies theory Lewin, “Klumpenhouwer Networks and Some Isographies that Involve Them,”Music Theory Spectrum 12/1, 1990, pp.83-120. (herein referred to as K-net). This custom composition technique utilizes mathematical set theory to extract a new set the results from the networks and isographies suggested in K-net, and incorporates the author’s interpretation of prime set types and pitch progression. As a result, this technique provides the composer with a structure to describe motions and ideologies that result in a more coherent and cohesive musical composition, as well as creating a wider variety of orchestral and acoustic effects. Millennium Dance for Orchestra was composed incorporating two techniques to Lewin’s K-net theory to create a more relational result set to the existing pitch class sets of K-net. To establish a stronger correlation within the composition, a specific set of results were extracted from the K-net correlations using the following techniques: (1) Extraction of prime sets using set theory : Taking the results of K-net, which categorizes all the networked possibilities into 3 isographies (strong isography, positive isography, negative isography), a separate algorithm was used to extract the prime or original set, and compare the relationships with other prime sets, where a specific list of isographic results were calculated and extracted. This was done using a custom program that was developed specifically for this purpose. (2) Categorization of Pitch Progression: Based on each isography result from the comparison of the prime sets using the above set theory technique, a rule of transformational possibilities can be derived from the transferred arrangements of the prime sets, which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pitch progression methods : 1. Positive to Positive (PTP): The method of transferred arrangement where the comparison of two prime sets from the Positive Isography results in another Positive Isography set. 2. Positive to Strong (PTS): The method of transferred arrangement where the comparison of two prime sets from the Positive Isography results in a Strong Isography set. 3. Stong to Positive (STP): The method of transferred arrangement where the comparison of two prime sets from the Strong Isography results in a Positive Isography set. 4. Strong to Strong (STS): The method of transferred arrangement where the comparison of two prime sets from the Strong Isography results in Strong Isography set. Incorporating the two techniques above (set theory and correlational categorization) to K-net, a composer is able to apply the K-net theory in a more structured and easier way to the total composition, and is also given a macroscopic structure for pitch progression and musical expression. For example, this structure for pitch progression can be used for all musical elements such as instrumentation and orchestration, symmetrical rhythm, and voice leading using the pitch progression’s vertical and horizontal symmetry structure. Also, motions, spirit or artistic ideals can be articulated musically using this structure. For example, the use of sharply contrasting dynamics or combination by collage technique can be used to represent contour of dancing steps, or incorporating prolongation through center tone, or by creating circulative use of the series using the structure can be used as a way to describe circular motions of traditional Korean dance. In conclusion, this dissertation describes how a composer can apply mathematical set theory to Klumpenhouwer Networks and Isographies theory and use a correlation theme to create a foundational structure that can be used for composition. Applying this structure to compose a musical score called Millennium Dance for Orchestra, a piece that describes Korean traditional dance, showed to have several advantages. First, such a structure allowed a holistic foundation for pitch progression for a more cohesive composition with the composer’s intentions, provided better control of musical elements, and also allowed a way to better describe motions and ideals through music using various yet controlled acoustic effec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선행연구 및 연구방법 2 II. 본론 6 A. 선행이론 6 1. 원형집합 변형네트워크 6 2. K-net 변형 네트워크 목록 6 3. 변형네트워크 목록 변환 9 4. 강력동형그라피 연속체와 강력동형그라피 순환모형 19 B. 제1곡 22 1. Section I 22 가. 도입부 (mm.1-11) 22 나. 구분 A (mm.12-32) 28 다. 구분 B (mm.33-46) 40 라. 구분 A' (mm.47-75) 52 2. Section II 68 가. 구분 A (mm.76-108) 68 3. 제1곡의 구조 76 가. 음조직의 연장을 통한 거시적 구조 76 나. 대칭구조 82 다. 다이내믹 84 라. 타악기의 사용 86 마. 오케스트레이션 89 C. 제2곡 91 1. Section I 92 가. 구분 A (mm.1-8) 92 나. 구분 B (mm.9-20) 98 다. 구분 C (mm.21-30) 109 라. 구분 D (mm.31-43) 114 마. 구분 C' (mm.44-47) 120 바. 구분 B' (mm.48-51) 121 사. 구분 A' (mm.52-56) 125 2. 코다(Coda) 128 가. 구분 A (mm.57-82) 128 나. 구분 B (mm.83-93) 135 다. 구분 A' (mm.94-100) 139 3. 제2곡의 구조 140 가. 순환적 의미의 다양한 대칭구조 140 나. 투티를 통한 확장 143 다. 구분에 제시된 주제 간의 K-net관계 144 라. 구분에 따른 연결의 K-net 구조 145 마. 코다의 꼴라쥬 합성 146 D. 연곡의 응집성 148 1. 총체적 표현수단으로서의 음조직 148 2. 연곡의 거시적 응집성 149 가. 주제 간의 거시적 응집성 149 나. 대칭구조를 통한 응집성 150 다. 연장을 통한 거시적 응집성 150 III. 결론 152 참고문헌 153 부록 155 (붙임 1) 원형집합간의 강력동형그라피 목록 156 (붙임 2) 원형집합간의 양성동형그라피 목록 157 (붙임 3) 악보 160 Abstract 1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92875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홍성지의 『관현악을 위한 천년의 춤 (Millenium Dance for Orchestra)』 (2010)에 대한 분석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변형네트워크를 통한 악곡구성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Sungji Hong’s Millenium Dance for Orchestra: Applying a Composition Technique to David Lewin’s Klumpenhouwer Network and Isography Theory for a more Cohesive and Holistic Composition Structure-
dc.creator.othernameHong, Sung Ji-
dc.format.pagexiii. 201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