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명선-
dc.contributor.author이미진-
dc.creator이미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5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8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6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892-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lderly driver’s perceived driving ability and driving behavior associated with traffic accident risk.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elderly drivers in driver’s license examination offices and senior welfare center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20, 2014 to Jun 7. Totally, the questionnaires of 220 Elderly drivers were fully filled out. The data was executed statistically through SPSS 20.0 and analyzed by means of frequency, percentage, t-test, One 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n driver, longer the year of driver’s license issued, driving commercial vehicles, occupational driving, longer daytime driving hours, higher frequency of exposed violations were related with perceived driving ability(p<0.01). Having experience of active traffic accident were related with abnormal driving behavior(p<0.05). Accident risk is dependent on 65-74 ages, lower level of education, occupational driving, more frequency of exposed violations, more having experience of active and passive traffic accident(p<0.01). At the last, the factors that affected to the accident risk is situational adaptability(β=-.261, p<0.01), age(β=-.128, p<0.05), frequency of exposed violations(β=.237, p<0.01), having experience of passive traffic accident(β=.175, p<0.05). Based on the results in this paper, it can be concluded that, in order to prevent traffic accident by elderly drivers, there is a need to educate early elderly drivers and occupational drivers. It is also required to make elderly-friendly traffic environment for elderly drivers to drive easily.;최근 우리나라는 고령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65세 이상 고령자의 운전면허소지자 수 및 고령운전자 사고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 사회의 고령화에 따라 고령운전자 교통사고가 증가하면서 고령운전자에 대한 체계적인 교통안전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그러나 선진국에 비해 고령운전자의 운전능력과 교통사고와 관련된 운전행동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령운전자의 인지된 운전능력과 운전행동 및 사고위험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고령운전자의 운전특성에 따른 교통안전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예방에 기여하고자 한다. 설문조사는 서울·경기지역의 운전면허시험장, 노인종합복지관 및 노인복지회관을 방문하여 2014년 5월 20일부터 2014년 6월 7일까지 실시하였으며, 65세 이상 고령운전자 220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운전 특성, 인지된 운전능력과, 운전행동, 사고위험은 기술통계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일반적 특성에서 현재 안과질환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는 이후의 분석에서 제외하였으며, 제외 후 분석대상자는 총 197명이었다. 일반적 특성과 운전 특성에 따른 인지된 운전능력과, 운전행동, 사고위험은 t-test와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인지된 운전능력 및 운전행동과 사고위험과의 상관관계를 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사고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운전능력 점수는 남성인 대상자가(p<0.001), 운전면허 발급연도가 오래될수록(p<0.01), 업무용 자동차를 운전하는 대상자가(p<0.001), 직업운전자가(p<0.01), 하루 운전시간이 길수록(p<0.001), 위반행위 적발횟수가 많을수록(p<0.01) 높았으며, 이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운전행동 점수는 사고 가해경험이 있는 대상자가(p<0.05) 높았으며, 이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사고위험 점수는 65세-74세인 연령대에서(p<0.001), 학력이 낮을수록(p<0.01), 직업운전자가(p<0.01), 위반행위 적발횟수가 많을수록(p<0.001) 사고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이 있는 대상자가(p<0.01) 높았으며, 이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인지된 운전능력과 운전행동, 사고위험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p<0.01). 운전행동과 사고위험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특히 상황적응력의 경우 위반, 착오, 오류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01, p<0.001). 아차사고를 제외한 주위불안, 자기불안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001). 또한 아차사고는 위반과, 주위불안 및 자기불안은 위반, 착오, 오류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001). 사고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상황적응력(β=-.261, p<0.01), 연령(β=-.128, p<0.05), 위반행위적발 횟수(β=.237, p<0.01), 사고피해경험(β=.175, p<0.05)이 사고위험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령운전자의 인지된 운전능력 및 운전행동과 사고위험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한 횡단적 연구이다. 연구 결과로는 75세 미만의 연령대와 업무/직업상으로 운전하는 경우, 위반행위 적발행위와 사고 피해경험이 많을수록 사고위험이 높았으며 이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3 C. 연구문제 4 D. 용어의 정의 5 E. 연구의 제한점 7 Ⅱ. 이론적 배경 8 A. 고령운전자의 운전특성 8 B. 인지된 운전능력 및 운전행동 관련 선행연구 11 C. 사고위험 관련 선행연구 15 Ⅲ. 연구내용 및 방법 18 A. 연구설계 18 B.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19 C. 연구도구 및 내용 20 D. 자료분석 방법 25 Ⅳ. 연구결과 및 고찰 26 A. 연구대상자의 특성 26 B.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인지된 운전능력 41 C.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운전행동 45 D.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사고위험 48 E. 연구대상자의 인지된 운전능력과 운전행동 및 사고위험의 관련성 51 F. 연구대상자의 사고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3 Ⅴ. 논의 55 Ⅵ. 결론 및 제언 58 참고문헌 61 <부록 - 1> 설명문 및 동의서 67 <부록 - 2> 설문지 70 ABSTRACT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200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고령운전자의 인지된 운전능력과 운전행동 및 사고위험의 관련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lderly driver's perceived driving ability and driving behavior associated with traffic accident risk-
dc.creator.othernameLee, Mi Jin-
dc.format.pagex,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보건관리학과-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