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0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명-
dc.contributor.author강예원-
dc.creator강예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5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0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6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052-
dc.description.abstract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possibility of the mean difference and association between MSNS addiction and mental health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and MSNS use-related characteristics by collecting the research data obtained from the subjects of a survey designed among the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in Korea. To achieve this objective, two hypotheses were determined through a review of a variety of literature and research reports. The first hypothesis was the difference between MSNS addiction and mental health depending on demographic and MSNS use-related characteristics in the subjects. The second one was the association between MSNS addiction and mental health in the subjects. After setting these hypothesis, a measurement tool was manufactured, based on a variety of literature and research reports on MSNS addiction and mental health. In this study, a face-to-face survey using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rom April 28th to May 10th, 2014. A number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orea. Of the total of the distributed questionnaires, 200 were returned in a statistical analysis as the response data for hypothesis testing. Results demonstrat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SNS addiction and mental health, the analysis showed that overall reliability was obtained to the extend that the statistical adequacy was secured. Second, for the possibility of the difference between MSNS addiction and mental health depending on the subjec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hypothesis,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 way ANOVA reveal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age, grade, and major.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partially confirmed in their gender, economic status, and grades. Third, for the possibility of the difference between MSNS addiction and mental health depending on the subjects' MSNS use-related characteristics as an another specific hypothesis of the first hypothesis in this study, results of the one way ANOVA fou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ypes of SNS. Howeve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partially confirmed in the motivation, period, and hours per day, and main place in terms of SNS use. Fourth, for the possibility of the association between MSNS addiction and mental health depending on the subjec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hypothesis, results of the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showed a high correlation at .05 significance level. In addition, a high correlation was found in the association between MSNS addiction and the two sub-factors of mental health and another association between mental health and the two sub-factors of MSNS addic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bove, of the two hypothese, the first was partially adopted and the second was completely adopted, Results of the discuss are suggestive as follows: First, with respect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subjects, male students was found to have a higher risk of being addicted to MSNS by their smartphone than female students. Second, students with high levels of scholastic achievement showed a higher risk of being addicted to MSNS by their smartphone than those who were not. Given that students with good academic performance are more likely to lead a positive life, more precise studies on the reason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Second, with respect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subjects, relatively high economic levels and performance levels of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have poor mental health, compared to those who were not. Considering that the home economic level may have a positive impact on people's lives, rather than a negative impact. also, more precise studies on the reason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Third, with respect to MSNS use characteristics in the subjects, habitual users, more than 5 years of long-term users, users for more than two hours per day, and users in space outside of school and home appear to have a risk of being addicted to MSNS. Therefore, precautions should be provided by deriving common elements among them Additionally, the provision of a mechanism to adequately control MSNS use should be needed in order to prevent the transition to MSNS addiction. Fourth, with regard to MSNS use characteristics in the subjects, the MSNS use may lead to the deterioration of their mental health in habitual users, so students like more than 5 years of long-term users who are likely to lose control. In that sense, a measure to restore their mental health will be needed in terms of MSNS use characteristics. Fifth, MSNS addiction and mental health were observed to have a high correlation. From the view of the previous researchers that disconnection by SNS may lead to anxiety, frustration, and isolation and that students addicted to internet, mobile phones, etc. may have a less ability to their school life, it is necessary to note a high correlation between MSNS addiction and mental health.;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에 따라 연구 자료를 수집한 뒤 이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MSNS 이용 특성에 따라 MSNS 중독과 정신건강의 평균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하고, 아울러 MSNS 중독과 정신건강 간의 관련성을 실증하는 데 있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다양한 관련 문헌 및 연구 자료를 고찰 및 검토를 통해 2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그것은 첫째,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MSNS의 이용 특성에 따라 MSNS 중독, 정신건강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점이었다. 둘째, 대상자의 MSNS 중독과 정신건강 간에는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점이었다. 이와 같이 가설을 설정한 뒤 MSNS 중독과 정신건강에 관한 여러 문헌 및 연구 자료를 토대로 측정도구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지는 2014년 4월 28일부터 5월 10일까지 대면설문조사를 통해 서울지역 소재 대학교의 재학생들에게 배포한 설문지를 회수해 가설 검증을 위한 응답 자료로 200부를 통계 분석에 최종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실증 분석한 결과를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MSNS 중독과 정신건강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결과 신뢰도는 전반적으로 통계적 적정성이 담보될 수준까지 확보되었다. 둘째, 본 연구의 첫 번째 가설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MSNS 중독과 정신건강의 평균 차이가 있는지를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ANOVA)을 통해 검증한 결과 연령, 학년, 전공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성별, 경제 수준, 성적 수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본 연구의 첫 번째 가설의 또 다른 세부 가설인 연구대상자의 MSNS 이용 특성에 따라 MSNS 중독과 정신건강의 평균 차이가 있는지를 일원변량분석(ANOVA)을 통해 검증한 결과 주되게 이용하는 SNS의 종류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이용 동기, SNS의 이용기간, 1일 평균 SNS 이용시간, SNS를 주로 이용하는 장소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본 연구의 두 번째 가설인 MSNS 중독과 정신건강 간의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편상관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유의수준 .05에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아울러 MSNS 중독과 정신건강의 2가지 하위요인 간 상관관계, 그리고 정신건강과 MSNS 중독의 2가지 하위요인 간 상관관계 모두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 따라 본 연구의 2가지 가설 중 첫 번째 가설은 부분 채택되었고, 두 번째 가설은 채택되었는데, 이에 대한 논의 결과를 밝히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관련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스마트폰 기기를 이용한 MSNS에 중독될 위험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성적 수준이 비교적 높은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스마트폰 기기를 이용한 MSNS에 중독될 위험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학업성적이 우수한 경우 긍정적 생활을 영위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을 감안할 때 추후 그 이유에 대한 보다 정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관련해 경제 수준과 성적 수준이 비교적 높은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정신건강이 안 좋을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의 경제적 수준 또한 인간의 삶에 부정적 영향보다는 긍정적 영향을 더 많이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추후 그 이유에 대한 보다 정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MSNS 이용 특성과 관련해 습관성 이용자, 5년 이상의 장기 이용자, 1일 평균 2시간 이상 이용자, 학교 및 집 이외의 공간에서의 이용자가 MSNS에 중독될 위험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이 갖는 공통요소를 도출해 예방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MSNS 이용에 의한 MSNS 중독으로의 이행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MSNS 이용을 적정히 통제할 수 있는 기제의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연구대상자의 MSNS 이용 특성과 관련해 습관성 이용자, 5년 이상의 장기 이용자와 같이 통제력 상실의 가능성이 있는 대학생들이 정신건강의 악화로도 이어질 수 있어 MSNS 이용 특성의 문제에서 정신건강을 회복시킬 방안의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다섯째, MSNS 중독과 정신건강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의 단절이 불안, 좌절, 고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과 인터넷이나 휴대전화기 등에 의한 중독 대학생의 경우 대학생활 능력이 떨어진다는 점 등의 선행연구자들의 견해에 비춰볼 때 MSNS 중독과 정신건강 간의 높은 상관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연구문제 및 가설 7 C. 용어의 정의 8 D. 연구의 제한점 9 Ⅱ. 이론적 배경 10 A. 대학생의 MSNS 중독 10 1. MSNS 중독의 개념 10 2. SNS 이용 증가와 MSNS 중독의 관계 16 3. MSNS 중독의 관련 변수 23 B. 정신건강 27 1. 정신건강의 개념 27 2. 정신건강과 MSNS 중독의 관계 30 Ⅲ. 연구내용 및 방법 35 A. 연구설계 35 B.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37 C. 연구도구 및 내용 38 D. 자료분석 방법 50 Ⅳ. 연구 결과 51 A.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51 B. 연구대상자의 MSNS 이용 특성 53 C. MSNS 중독과 정신건강의 차이 55 D. MSNS 중독과 정신건강 간 관련성 65 Ⅴ. 논의 67 Ⅵ. 결론 및 제언 70 A. 연구 결과의 요약 70 B. 제언 71 참고문헌 73 부록 - 1. 설문지 85 ABSTRACT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989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대학생의 MSNS(Mobile Social Network Service) 중독과 정신건강과의 관련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ssociation between MSNS(Mobile 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and Mental Health in University Students-
dc.creator.othernameKang, Ye Won-
dc.format.pagexi, 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보건관리학과-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