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4 Download: 0

노인에서 체질량지수와 MMSE-K 점수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Title
노인에서 체질량지수와 MMSE-K 점수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ssociation between Body Mass Index and MMSE-K in Elderly
Authors
이현주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수인
Abstract
목 적 비만은 치매 특히 알쯔하이머병의 위험성 증가와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고 높은 체질량지수가 치매 진단의 위험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비만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학습, 기억, 실행기능이 더 나쁘다는 연구들이 있으나 국내에서 비만도를 노인의 체질량지수로 측정하여 인지기능과의 연관성을 평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65세이상 노인에서 체질량지수로 측정한 비만도와 인지기능저하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자발적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 151명에 대하여 사회인구학적 변수 및 임상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이하BMI)는 신체계측 후 계산하였고, 인지기능의 평가는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이하 MMSE-K)를 사용하였다. BMI에 따라 저체중(BMI<18.5), 정상(18.5≤BMI<23.0), 과체중(23.0≤BMI<25.0), 비만(BMI≥25.0)의 4개의 군으로 나누어 인지기능을 비교하였고, 또한 각 군간 인지기능 저하의 위험요인의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고 이러한 요인들을 배제하였을 때에도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했다. 통계분석은 SPSS version 18을 이용하였고, P값이 0.05미만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보았다. 결 과 연구대상자 151명에서 고령일수록, 흡연할수록 인지기능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BMI는 MMSE-K로 평가한 인지기능과 높은 연관성을 보였는데 특히 과체중(23.0≤BMI<25.0)인 노인은 비만이나 정상체중인 노인에 비해MMSE-K 총점(25.88±2.88, p=0.010), 시간 및 공간 지남력(4.48±0.77, p=0.018; 4.80±0.50, p=0.039), 주의집중 및 계산(4.00±1.26, p=0.021) 항목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과체중 자체는 인지기능저하(MMSE<24)에 대해 낮은 위험도를 나타냈다(ORadjusted =0.098, 95% CI=0.017-0.577, p=0.010). 결 론 65세 이상 노인인구를 대상으로 BMI와 MMSE-K 점수 간의 연관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 과체중(23.0≤BMI<25.0)인 노인에서 가장 양호한 인지기능을 보였다. 따라서 노인에서 BMI를 측정하고 적절한 체중의 범위를 정하는 것은 현재의 인지기능을 유지하고 인지기능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ssociations between obesity indices, measuring body mass index(BMI) and waist-hip ratio(WHR), and cognitive functions using data from individuals older than 65 years in South Korea. 151 Koreans older than 65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voluntarily. Cognitive functions were assess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BMI: underweight(BMI<18.5), normal(18.5≤BMI<23.0), overweight(23.0≤BMI<25.0) and obesity(BMI≥25.0), and 2 groups according to WHR: normal(WHR<18.5) and abdominal obesity(WHR≥0.8). Baseline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among different BMI or WHR subgroups. Older age and smoking habits were associated with poor cognitive functions significantly. Overweight group had the highest scores of MMSE-K among 4 different BMI groups; the item scores of time and place orientation (4.48±0.77 and 4.80±0.50) and attention/calculation (4.00±1.26) as well as total score (25.88±2.88). Overweight in BMI was associated with better cognitive function (ORadjusted =0.098, 95% CI=0.017-0.577). Overweight group measured by BMI showed significantly better cognitive function than another groups in this study. Overweight in elderly might be permissible in order to maintain the cognitive performance. Further investigation regarding the underlying mechanism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body weight will be nee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