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민주-
dc.contributor.author조일선-
dc.creator조일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2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2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6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260-
dc.description.abstractComme toute autre science disciplinaire, l’apprentissage du FLE en Corée du Sud évolue au fil du temps. Divers éléments constituants de cet apprentissage tels le motif, le genre, le contenu, ou le type, sont également influencés par l’environnement diplomatique, commercial, social et économique de la Corée du Sud contemporaine. L’apprentissage de l’écrit dans les établissements scolaires sud-coréens est aussi affecté par ces évolutions. Ce constat nous a conduits au questionnement suivant : comment améliorer la compétence communicative à l’écrit ? Afin de répondre à cette question nous avons organisé un atelier d’écriture pour un groupe d’étudiants en spécialisation de littérature et langue française à l’Université ‘E’. Cet atelier s’est étalé sur sept séances et nous y avons présenté au groupe des sujets d’écriture de divers genres accompagnés d’exercices à réaliser dans un temps imparti. Nous avons également organisé quatre séances de traduction de coréen vers français dans le but d’analyser les erreurs des étudiants sous différentes perspectives. Avant chaque séance d’écriture et de traduction se tenait un brainstorming de 10 minutes permettant de vérifier les difficultés lexicales et de passer en revue les erreurs commises lors des précédentes séances. L’objectif était d’examiner les liens possibles entre le brainstorming et l’amélioration de la compétence à l’écrit. L’analyse des écrits de cet atelier nous a permis de dégager six facteurs d’amélioration de la compétence à l’écrit : 1. Le traitement de divers types d’écrits discursifs a une influence hautement positive, et ce même sur une période courte. Cette méthode d’apprentissage serait très probablement d’une grande efficacité sur le long terme. 2. Le brainstorming permet l’acquisition au préalable du vocabulaire manquant et la vérification des erreurs commises lors des séances précédentes. 3. L’apprentissage de la distribution du temps pour un écrit à réaliser dans un temps imparti est essentiel. Ceci est lié à l’amélioration de la compétence stratégique de l’écrit, qui a elle seule demanderait un autre travail d’apprentissage par les exercices. 4. La compétence socioculturelle aide à l’acquisition des bonnes références culturelles et ainsi aide à l’écriture d’une manière adéquate. Un apprenant ayant la compétence linguistique mais dépourvu de cette compétence rencontre des difficultés à écrire efficacement. 5. La compétence socioprofessionnelle est primordiale pour des apprenants visant une carrière professionnelle intégrant le français. Le développement de cette compétence aide les apprenants dans leur recherche ou à définir leur orientation scolaire. 6. Le respect des indications constitue un des points clés dans l’écriture en FLE. Une bonne compréhension des indications permet un apprentissage plus efficace. On peut tirer comme premier constat des points évoqués ci-avant que l’amélioration de la compétence communicative à l’écrit passe par la réalisation d’exercices d’écrits discursifs, et que le brainstorming permet de réaliser ce type d’exercice. Il est par ailleurs pertinent que les apprenants se dotent de connaissances référentielles sur la culture française, cette compétence pouvant compenser une insuffisance de la compétence linguistique. Enfin, si les apprenants en FLE sont amenés à pratiquer via des outils d’apprentissage créés sur les bases de l’analyse de notre étude, on peut raisonnablement envisager une amélioration nette de l’écrit tant sur la forme que sur le fond.;오늘날 한국에서 제2외국어로서의 프랑스어 (FLE: Français langue étrangère) 학습은 다른 여러 학문과 마찬가지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한국의 FLE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 학습 형태, 학습자의 수, 학습 활동 내용 등과 같은 다양한 학습 요소들은 한국이 처한 외교적, 상업적, 사회적, 경제적 변화와 맞물려 과거와는 다른 형태로 바뀌어 가고 있다. 의사소통능력을 강조하는 오늘날의 한국 FLE 교육현장에서 글쓰기 학습도 예외는 아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의사소통적 글쓰기 능력의 향상이라는 주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표는 실험연구를 통하여 한국의 프랑스어 학습자의 의사소통적 글쓰기 능력을 향상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 E 대학교 불어불문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7차시에 걸쳐 프랑스어 작문 아뜰리에를 실시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작문주제를 매 차시 제시하고 제한된 시간 내에 작문연습을 실시하였다. 작문과 동시에 한국어→프랑스어 번역 연습도 4 차 시에 걸쳐 함께 실시하여 학습자들의 오류를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매 차시마다 작문 및 번역연습 전 10여 분간 Brain Storming (브레인스토밍)을 실시하여 작문에 앞서 필요한 언어적 능력을 보완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이 전(前) 차시 작문 및 번역에서 나타난 오류를 확인하게 함으로서 브레인스토밍이 작문능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관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작문연습 실험분석을 통해 글쓰기 능력의 향상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내용들을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다양한 담화유형을 작문 연습의 주제로 삼는 것은 글쓰기에서의 담화적 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7차시에 걸친 단기간에 이루어진 실험의 결과이나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이와 같은 방법을 적용한다면 더 효과적인 학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실험결과를 통해 학습자들은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작문에 필요한 표현이나 어휘 등을 사전에 학습하고 전(前) 차시 오류를 수정함을 확인하였다. 작문 및 번역을 하기 전에 실시하는 브레인스토밍은 이런 점에서 학습자들의 문법ㆍ언어적 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일반적으로 글쓰기란 제한된 시간 내에 실시해야 함을 고려할 때 시간분배의 훈련은 글쓰기의 전략적 능력의 계발 차원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이에 대한 연습과 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프랑스어권 문화에 대한 배경지식을 갖추고 있는 학습자는 글의 목적과 의도를 파악하여 맥락에 맞는 글쓰기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즉 글쓰기에 있어 학습자의 사회ㆍ문화적 능력은 언어적 능력에 버금가는 중요한 요소로 사회ㆍ문화적 능력이 부족한 경우 효과적인 글쓰기 학습이 어렵다는 점이다. 다섯째, 한국 FLE 교육현장에서 프랑스어를 사용하여 향후 직업활동을 하고자 희망하는 한국 FLE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유형의 글쓰기 활동을 계발하여 학습에 적용한다면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구직 활동뿐 아니라 향후 진로설정에서도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지시사항 준수는 FLE 글쓰기 학습의 중심 사항 중 하나로 정확한 지시사항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학습자는 작문에 접근할 때 효과적인 글쓰기 학습이 가능하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FLE 학습자들의 의사소통적 글쓰기 능력이 향상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담화유형의 글쓰기 연습이 필요하며 브레인스토밍은 이를 위한 효과적인 학습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자들이 프랑스어에 대한 언어적인 능력뿐 아니라 프랑스어권 문화에 대한 배경지식도 충분히 갖춘다면 작문에서 주어지는 지시사항에 대해 명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글쓰기가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의 내용 4 C. 연구의 제한점 4 D. 선행연구 5 II. 이론적 배경 8 A. 글쓰기에 관한 이론적 접근 8 1. 글쓰기의 정의 8 2. 의사소통 활동으로서의 글쓰기 12 a. 중요성 및 특성 14 b. 타 기능과의 관계 16 3. 외국어/모국어 글쓰기 20 a. 외국어/모국어 글쓰기의 차이점 21 4. 글쓰기 모형 25 B. 글쓰기 지도법 28 C. 글쓰기 연습의 종류 32 1. 통제작문(Controlled composition) 33 2. 중간 통제작문/부분 통제작문(Semicontrolled composition) 34 3. 자유작문(Free composition) 35 III. 연구 설계 및 방법 37 A. 아뜰리에 조건 38 1. 아뜰리에 기간 및 학습자 구성 38 B. 아뜰리에 진행 방법 39 C. 아뜰리에 차시 별 진행 내용 40 D. 아뜰리에 전 설문 47 IV. 아뜰리에 결과 분석 및 해석 53 A. 1 차시 작문 54 1. 평가기준 54 2. 지시사항 57 3. 프랑스어 어휘 및 숙어 능력 57 4. 프랑스어 문법능력 57 5. 프랑스어 표현의 자연스러움 58 6. 유형에 따른 글의 형식에 관한 지식 58 B. 2 차시 작문 59 C. 3 차시 작문 65 D. 4 차시 작문 69 E. 5 차시 작문 73 F. 6 차시 작문 78 G. 7 차시 작문 84 H. 번역 활동이 참석자의 작문능력에 미친 영향 88 V. 결론 및 제언 97 참고문헌 107 Rsum en franais 11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071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한국 프랑스어 학습자의 의사소통적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담화유형학습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Etude sur la compétence discursive en écrit pour les étudiants coréens en FLE-
dc.creator.othernameCho, Il Sun-
dc.format.pageviii, 11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불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불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