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자형-
dc.contributor.author채명옥-
dc.creator채명옥-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1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8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6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83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Pender (1996)의 건강증진 모형을 토대로 안전생활 실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이러한 요인들로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고 이 모형이 학령기 아동의 안전생활 실천행동을 설명하고 예측하는데 타당한지 모형의 적합도와 가설을 검증하는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서울특별시, 경기도, 충청북도, 경상남도, 전라남도에 소재한 5개 초등학교 5, 6학년 48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2년 5월 1일부터 2012년 7월 31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18.0과 AMO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문헌고찰을 통해 도출된 요인은 안전사고 경험, 안전교육 경험, 불안, 충동성, 안전생활 실천지식, 안전생활 실천태도, 대인관계 지지, 자기 효능감, 안전생활 실천행동으로 총 9개였다. 2.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χ²= 282.80, df= 116, GFI= .94, NFI= .90, CFI= .93, TLI= .91, RMR= .02, RMSEA= .05로 좋은 적합도를 보였고 모형 내 예측 변수들에 의한 안전생활 실천행동에 대한 설명력은 50%였다. 그러나, 가설 검증에서 총 18개의 가설 중 5개의 가설이 지지되어 수정 모형을 도출하였다. 3. 수정모형의 적합도 검증 결과 χ² = 333.12, df= 125, GFI= .93, NFI= .90, CFI= .91, TLI= .90, RMR= .03, RMSEA= .05로 가설적 모형에 비해 큰 변화는 없었고 간명적합지수인 PGFI, PNFI, AIC, BIC, CAIC는 수정모형에서 더 향상되었으며 총 12개의 경로 중 7개의 가설이 통계적으로 지지되었다. 모형 내 예측 변수들에 의한 안전생활 실천행동에 대한 설명력은 52%였다. 4. 안전생활 실천태도가 긍정적일수록(B=.186, p= .015), 자기 효능감 정도가 높을수록(B=.103, p= .015) 안전생활 실천행동을 더 잘 이행하였고, 대인관계 지지 정도가 낮을수록(B=-.100, p= .042), 충동성 정도가 낮을수록(B=-.364, p< .001) 안전생활 실천행동을 더 잘 이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전교육 경험이 있을 경우(B=.056, p= .042) 안전생활 실천지식 정도가 높았으며, 충동성 정도가 낮을수록(B=-.257, p< .001) 대인관계 지지 정도가 높았고, 불안 정도가 낮을수록(B=-.280, p= .001) 자기 효능감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볼 때, 학령기 아동의 안전생활 실천행동을 고취시키기 위해서는 가정과 학교의 지속적인 교육 강화를 통해 직접적인 영향 요인인 안전생활 실천태도와 자기 효능감 향상을 도모하고, 아동의 충동적 성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불안은 자기 효능감을 매개요인으로 안전생활 실천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므로 불안 감소를 위한 효과적인 중재방안도 고려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로 나타난 영향요인에 의해 구성된 안전생활 실천행동 예측 모형이 학령기 아동의 안전생활 실천행동을 예측하는데 유용하다고 판단되며, 안전생활 실천행동 증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ve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 primary factors in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influence the practice of life safety behaviors in school-age childre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y 1, 2012 to July 21, 2012. The sample consisted of 489 5th and 6th grade students from fiv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Gyeonggi-do, Chungcheongbuk-do, Gyeongsangnam-do, and Jeollanam-do Provinc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8.0 and AMOS 18.0. The significance level was .05.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Nine primary factors affecting the practice of life safety behaviors were identified, which include accident experience, life safety education experience, anxiety, impulsiveness, life safety knowledge, attitude towards life safety,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the practice of life safety behaviors. 2. The fit indices for the hypothetical model were as follows: χ² = 282.80, df = 116, GFI = .94, NFI = .90, CFI = .93, TLI = .91, RMR = .02, RMSEA = .05, indicating that the hypothetical model fit the data well. The practice of life safety behaviors was explained 50% by the primary factors. Out of the 18 hypotheses that were tested, only five hypotheses were supported by the data which led to a new modified structural model. 3. The fit indices for the modified model were as follows: χ² = 333.12, df = 125, GFI = .93, NFI = .90, CFI = .91, TLI = .90, RMR = .03, RMSEA = .05. Compared to the hypothetical model,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on the fit indices. Also, PGFI, PNFI, AIC, BIC, CAIC in the the modified model showed improvement. Out of 12 paths, seven hypotheses were supported by the data. In this modified model, the practice of life safety behaviors was explained 52% by the primary factors. 4. When the attitude towards life safety (B=.186, p=.015) and self-efficacy (B=.103, p=.015) increased, a greater degree life safety behaviors was practiced. Less social support (B=-.100, p=.042) and lower impulsiveness (B=-.364, p<.001) also predicted more life safety behaviors. In addition, children with more life safety education (B=.056, p=.042) showed greater levels of knowledge of life safety. Children with lower impulsiveness (B=-.257, p<.001)had more social support and those with lower anxiety levels (B=-.280, p=.001) exhibited higher self-efficacy. Findings suggest that to facilitate the practice life safety behaviors in late childhood, a positive attitude towards life safety needs to developed and along with low impulsiveness and enhanced self-efficacy. The structural model predicted the practice of life safety behaviors well in school age children and thus can help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diverse programs in order to increase their knowledge on life safety and effectively utilize life safety skills and habits in daily liv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정의 5 II. 문헌고찰 8 A. Pender의 건강증진모형 8 B. 학령기 아동의 안전생활 실천 관련요인 15 III. 연구모형 31 A. 개념적 기틀 31 B. 가설적 모형 33 C. 연구문제 및 가설 34 Ⅳ. 연구방법 37 A. 연구설계 37 B. 연구대상 37 C. 연구도구 38 D. 자료수집 42 E. 윤리적 고려 42 F. 자료분석 43 Ⅴ. 연구 결과 44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안전관련 특성 44 B. 연구변수에 대한 요인분석 45 C. 가설모형의 검증 53 D. 모형의 수정 및 검증 63 Ⅵ. 논의 74 A. 모형의 검증과정 74 B. 학령기 아동의 안전생활 실천 관련 요인 76 C. 간호학적 의의 82 Ⅶ. 결론 및 제언 85 A. 결론 85 B. 제언 87 참고문헌 88 부록 100 Abstract 1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036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학령기 아동의 안전생활 실천행동에 관한 구조모형-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ructural model for practice of life safety behaviors in school-age children-
dc.creator.othernameChae, Myung Ock-
dc.format.pageix, 117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