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유경-
dc.contributor.author이난숙-
dc.creator이난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0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1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5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11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력과 학교조직 효과성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교사의 개인배경에 따라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력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교사의 개인배경에 따라 학교조직 효과성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력과 학교 조직 효과성의 관계는 어떠한지, 변혁적 지도력이 높은 학교장과 변혁적 지도력이 낮은 학교장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11개교의 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06부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력과 학교조직 효과 성을 측정하기 위해 안 우환(2006)이 개발한 질문지와 신 재 흡(2000)이 제작한 질문지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 처리는 SPSS win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 one-way ANOVA, 단순적률 상관계수, 중 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미한 차이에 대해 사후검증인 Scheffe‘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력은 4점 척도에서 전체 평균은 3.18로 교사들은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력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부장교사일수록, 교직경력이 오래된 교사일수록, 학급수가 적은 학교의 교사일수록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력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성별, 학력, 담임학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력에 대한 하위변인을 살펴보면 변화촉진 및 비전제시와 지적 자극, 조직목표 및 권한의 위임에서는 부장교사일수록, 교직경력이 오래될수록, 학급수가 중간이거나 적을수록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력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인간적 배려 및 지원에서는 교직경력이 오래될수록, 학급수가 적을수록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력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지각한 학교조직 효과성의 전반적인 경향은 4점 척도에서 전체 평균은 3.16으로 교사들은 학교조직 효과성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부장교사일수록, 중 학년을 담당하는 교사일수록, 교직경력이 오래된 교사일수록, 학급수가 적은 학교의 교사일수록 학교조직 효과 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성별, 학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교조직 효과성의 하위변인에 대하여 살펴보면 직무만족과 조직적응성에서는 부장교사일수록, 교직경력이 오래될수록, 학급수가 적을수록 학교조직의 만족도가 높고 학교조직의 적응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조직생산성에서는 부장교사일수록, 중 학년을 담당하는 교사일수록, 교직경력이 오래될수록, 학급수가 적을수록 학교조직의 생산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력과 학교조직 효과성의 하위변인에 대한 11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전체적인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 r=.840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났으며, 변혁적 지도력과 학교조직 효과성의 상당한 관련성을 보여주고 있다.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력과 학교조직 효과성의 하위변인에 대한 11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학교별로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 r=.497~.892로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변혁적 지도력이 학교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력은 학교조직 효과성에 대한 결정계수에서 70%(R2=.705)로 나타났으며, F=727.524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력의 하위변인인 변화촉진 및 비전제시와 조직목표 및 권한의 위임이 교사의 직무만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변화촉진 및 비전제시와 인간적 배려 및 지원, 조직목표 및 권한의 위임이 교사의 조직적응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화촉진 및 비전제시와 지적 자극, 인간적 배려 및 지원, 조직목표 및 권한의 위임이 교사의 조직생산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변혁적 지도력이 높은 교사와 변혁적 지도력이 낮은 교사를 비교하기 위하여 11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상 하위 25%에 해당하는 학교장을 추출하여 학교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도력이 높은 학교장이 지도력이 낮은 학교장에 비하여 변혁적 지도력과 학교조직 효과 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유의미한 평균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력과 학교조직의 효과성의 상관관계에서 지도력이 높은 집단에서는 r=.768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지도력이 낮은 집단에서는 r=.834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력이 학교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도력이 높은 학교장은 조직목표 및 권한의 위임이 학교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요인으로 제시되었으며, 지도력이 낮은 학교장은 지적 자극, 조직목표 및 권한의 위임, 인간적 배려 및 지원, 변화촉진 및 비전제시의 순으로 학교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변혁적 지도력이 높고 낮은 차이를 나타나는 요인은 조직목표 및 권한의 위임에 대한 지도력이라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력이 학교조직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학교장은 변화를 촉진하고 다각적인 교육현실에 적합한 변혁적 지도력을 발휘하여 학교조직의 효과 성이 증진될 수 있도록 바람직한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study investigated what difference there is in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teachers, what difference there is i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teachers, what relationship there is between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addition what difference there is in principals with hig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rincipals with low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o find answers to the above questions, the researcher sampled 350 teachers working for 11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 total of 306 responses excluding those unreturned or improper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study finally investigated 306 copies. SPSS win 18.0 program was used. In order to measur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questionnaires developed by Ahn Woo-Hwan (2006) and the questionnaires prepared by Shin Jae-Heup (2000) were used. The study used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t-test, One-way ANOVA, simple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for post-hoc on the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 of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the teachers was 3.18 on the 4 point scale, so the teachers were found to positively perceive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the teachers’ demographic variables, chief teachers, teachers with long teaching careers, and teachers of schools with fewer classes were found to highly perceive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grade teache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demographic variables. Charge promotion and vision setting, intellectual stimulation, goal support and share of authority of the sub-factors with regard to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hief teachers, teachers with long teaching careers, teachers of schools with middle classes or fewer classes were found to perceive higher degree of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dividual consideration and support of the sub-factors with regard to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chers with long teaching careers, and teachers of schools with fewer classes were found to highly perceive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the average score of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erceived by the teachers was 3.16 on a 4 point scale, so the teachers were found to positively perceiv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erms of the teachers’ demographic variables, chief teachers, grade teachers of middle classes, teachers with long teaching careers, and teachers of schools with fewer classes were found to highly perceiv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reb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gend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demographic variabl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adaptability of the sub-factors with regard to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hief teachers, teachers with long teaching careers, teachers of schools with fewer classes were found to highly perceive a school organizational satisfaction and school organizational adaptability,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lso, organizational productivity of the sub-factors with regard to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eachers with long teaching careers, and teachers of a school with fewer classes were found to highly perceive school organizational productivity,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the results of an analysis conducted on 11 elementary schools with regard to correlations of the sub-factors of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r=.840, also represent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results of an analysis conducted according to each school on 11 elementary schools with regard to correlations of the sub-factors of the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r=.497~.892, and then represented significant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owed that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found to be 70% (R2=.705), and with F=727.524,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harge promotion and vision setting, as well as goal support and share of authority in the sub-factors variable of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Charge promotion and vision setting, as well as individual consideration and support, goal support and share of authorit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adaptability of teachers. Charge promotion and vision setting, as well as intellectual stimulation, individual consideration and support, goal support and share of authority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productivity of teachers. Fourth, to compare teachers with hig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with low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rincipals ranked in the lower 25% and upper 25% in 11 elementary school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ir impac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sults showed that principals with high leadership, compared with principals with low leadership, highly perceiv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n the averag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Regarding the correlations of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group with high leadership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r=.768, while the group with low leadership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r=.834. Regarding the impact of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goal support and share of authority influence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e case of principals with high leadership. In the case of principals with low leadership, their intellectual stimulus, goal support and share of authority, individual consideration and support, and change promotion and vision setting influenced the school organization effectiveness in this order based on impact size. Thus,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determined by leadership associated with goal support and share of authority. These results show that the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ffects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o principals should promote change and explore desirable ways to enhanc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exercisi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uitable to diverse educational realit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및 문제 5 C. 용어의 정의 7 1. 변혁적 지도력 7 2. 학교조직 효과성 7 D. 연구의 제한점 8 Ⅱ. 선행 연구 고찰 9 A.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력 9 1. 변혁적 지도력의 개념 10 2. 변혁적 지도력의 측정 준거 18 B. 학교조직의 효과성 26 1. 학교조직 효과성의 개념 26 2. 학교조직 효과성의 접근 방법 28 3. 학교조직 효과성의 측정 준거 33 C.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력과 학교조직 효과성의 관계 40 Ⅲ. 연구 방법 43 A. 연구의 관계 구조 43 B. 연구의 대상 및 표집 44 C. 측정도구 45 1.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력 측정 도구 45 2. 학교조직의 효과성 측정도구 46 D. 자료 분석 방법 47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49 A.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력에 대한 교사의 지각 49 1.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력에 대한 교사의 지각 수준 49 2.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력에 대한 교사의 배경변인별지각 수준 50 3.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력 하위변인에 대한 교사의 배경변인별 지각 수준 51 B. 학교조직 효과성에 대한 교사의 지각 58 1. 학교조직 효과성에 대한 교사의 지각 수준 58 2. 학교조직 효과성에 대한 교사의 배경변인별 지각 수준 58 3. 학교조직 효과성 하위변인에 대한 교사의 배경변인별 지각 수준 60 C.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력과 학교조직 효과성의 관계 66 1.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력과 학교조직 효과성의 관계 66 2. 학교별에 따른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력과 학교조직 효과성의 관계 67 3. 변혁적 지도력이 학교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81 D. 변혁적 지도력이 높은 학교장과 낮은 학교장의 비교 분석 86 1. 변혁적 지도력의 차이 비교 86 2. 학교조직 효과성의 차이 비교 88 3. 변혁적 지도력과 학교조직 효과성의 상관관계 비교 89 4. 학교조직 효과성에 영향을 주는 변혁적 지도력의 비교 90 Ⅴ. 요약 및 결론 92 A. 요약 및 논의 92 B. 결론 및 제언 99 참고문헌 101 부록 105 ABSTRACT 10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836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력과 학교조직 효과성의 관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Teachers' Perceived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c.creator.othernameLee, Nan-Suk-
dc.format.pageviii, 11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