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7 Download: 0

백화점 VMD 디자인 구성 요소의 색채 특징에 관한 연구

Title
백화점 VMD 디자인 구성 요소의 색채 특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color features of department store VMD design components : based on Korean 3 major department store women's clothing VMD
Authors
유수연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경실
Abstract
급변하는 유통환경의 변화와 경쟁의 구조에서 넘쳐나는 광고는 소비자들로 하여금 많은 여운을 남기지 못한다. 차별화된 마케팅으로 인한 소비자의 심리적 소구를 잘 파악한다면 수많은 유통환경에서 차별화가 될 것이다. 유통환경에서 백화점은 시대가 변화하면서 현대의 상업건출물 중 도시의 환경과 그 역할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써 자리 잡게 되었다. VMD는 그 속에서 시각, 청각, 촉각의 조형요소를 결합하여 고객에게 상점의 이미지를 표현해 주고 상품의 정보를 주어 매장의 안쪽까지 소비자를 들어오게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VMD에서의 색채의 중요성을 기초적인 이론과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재인식하고자 한다. 현재 우리나라 3대 대형 백화점의 VMD을 바탕으로 사용된 단색과 배색의 색채 현황을 백화점별로 상품, 오브제, 배경으로 분류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4계절별 VMD에서 사용된 상품, 오브제, 배경의 배색, 단색의 색채 현황을 정리하고, 각 백화점의 VMD 디자인 요소의 색채 특성 및 VMD 전략적 차이점을 분석하여 정리 하였다. 백화점 VMD의 디자인 요소의 계절별 색채연구에 대한 참고 자료가 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1단계, 백화점별 수집한 사진이미지를 4개의 시즌별로 분류 하였다. 백화점 VMD는 브랜드의 아이덴티티(Identity)보다는 백화점의 시즌 테마 연출 강화를 위하여 VMD연출을 한다. 백화점 내 고객의 시선을 가장 잘 끌 수 있는 연출공간으로 지정된 곳에 연출된 점내 VMD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2단계, 주조색을 기준으로 색채를 선정하는 방식으로 색채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품색은 의류에서 가장 사용 면적이 많은 색을 0~4개 추출하고, 오브제색은 0~2개, 배경색은 바닥과 벽면색으로 0~4개로 한정지어 색채를 추출하도록 한다. 3단계, 백화점별 VMD의 상품, 오브제, 배경의 단색과 요소간의 배색을 색상과 색조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즌별 상품색의 색상 분포는 난색계열과 N계열이 4계절에서 공통적으로 높은 빈도로 분포되었다. 각 시즌 N계열 색상을 제외하고는 계절의 연상색과 일치하도록 분석된다. 또한 N계열의 상품색은 어떤 색채와의 배색에서도 조화를 잘 이루기에 시즌마다 높은 분포로 사용된다. 봄은 Light, Pale에 여성스럽고 부드러운 이미지를, 여름은 Light, Deep 의 맑고, 깨끗하고, 차분한 이미지를 연출해 준 것으로 분석된다. 가을은 Light Grayish, Deep, Dark의 차분하고, 중후한 이미지를 표현해 준다. 겨울은 무채색 및 저명도, 중명도의 색조 사용이 높게 분석된다. 둘째, 시즌별 오브제 색채의 분포는 상품색과 동일하게 난색과 N계열의 사용이 높게 분석된다. 색조 또한 유사한 범주에 속한다. 셋째, 계절별 배경 색상 분포는 N계열의 사용이 공통적으로 분석된다. 계절의 연상색 및 상품과 오브제에 적용된 색상의 유사색을 사용하여 연출이미지의 테마를 강화해 주고 명시성을 높여 주는 역할을 한다. 넷째, 계절별 상품, 오브제, 배경의 배색 분석은 봄에는 톤 인 톤(tone in tone) 배색과 유사색 및 인접색의 조화, N계열의 화이트와 조화하여 배색을 사용한 빈도가 높게 분석된다. 여름은 반대 색상과의 배색인 색상대비와 톤 온 톤(tone on tone) 배색, 톤 인 톤(tone in tone) 배색, 콘트라스트 배색, 2배색인 바이컬러 배색도 높게 분석된다. 가을은 YR계열의 상품, 오브제, 배경의 톤 인 톤, 톤 온 톤 배색으로 색상은 유사색상들을 배색하여 조화로운 느낌을 주며 차분하고, 수수한 이미지를 보여준다. 겨울은 계절색에서 연상색 자체가 무채색 계열이지만, R계열의 색상을 함께 배색하여 크리스마스라는 테마를 연상하도록 한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L' 백화점은 고채도의 색채 활용 빈도가 높게 분석되며, 색채의 사용범위도 타 백화점에 비하여 넓게 나타난다. 'S' 백화점은 분석된 연출들의 대부분이 차분한 이미지의 색상과 색조를 사용하였다. 'H' 백화점은 봄과 가을에는 계절감을 반영한 색채의 사용을 진행하고, 타 시즌에는 색채의 사용 폭이 넓게 분포된다. 앞으로도 소비자의 생활수준이 상승함에 따라 VMD의 연출 또한 계속 성장 할 것으로 보이므로, 시즌감을 고려한 연출은 소비자로 하여금 상품의 정보를 유용하게 전달하고, 백화점의 이미지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색채의 트렌드와 소재, 조명, 소비자의 니즈와 감성을 고려한 백화점 VMD의 연구가 향후 계속 연구되길 바라며, 백화점 VMD의 디자인 요소를 분석 하는데 본 연구자의 연구가 색채분야에 대한 기초 자료가 되길 기대한다.;Overflowing advertisement in changes of rapidly changing distribution environment and the structure of competition cannot leave much aftertaste from the consumers. If psychological appeal of consumers with differentiated marketing can be established, it will be differentiation in many distribution environments. In distribution environment, department stores in environment of city among commercial buildings became an important element. VMD is combined with formative elements of visual, auditory and tactile to express image of store to consumers and provides information of the products to make consumers to go into the stores. This study tries to re-recognize importance of color in VMD based on basic theory and empirical study. By classifying solid color and color matching that used based on VMD of Korean 3 major department stores into product, objet and background for each department store, an investiga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Color status of color matching and solid color of product, objet and background that were used in 4seasonal VMD was organized and analysis of color characteristics of VMD design elements of each department store and VMD strategic differences was condu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e a reference for seasonal color study of design elements of department store VMD. Proc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Step 1, picture images collected for each department store were classified into 4 seasons. Department store VMD conducts VMDdirecting for enforcing season theme directing of department store rather than for identity of the brand. Analysis based on VMD within the store with directing space where the consumers get interested the most was conducted. Step 2, color analysis with method of selecting color based on dominance color was conducted. For product color, 0 to 4 colors that have the most usable area in clothing were extracted, and 0 to2 for objet color, and 0 to 4 for wall color were extracted. Step 3, solid color if product, objet, background of VMD for each department store and color matching for elemen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classifying into color and tone.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ly, for color distribution of seasonal product color, warm color related and N related were highly distributed in all 4 seasons. Except for each season's Nrelated color, analysis was conducted by matching with associated color of the season. Also, as product color of Nrelated makes harmony with any color or color matching, it is used for high distribution for each season. It was analyzed that spring has feminine and soft image to light and pale colors, and summer has clear, clean and relaxing image to light and deep colors. Fall has calm and courteous images to Light Grayish, Deep and Dark colors. And winter And winter has achromatic color, low-brightness and medium-brightness tone. Secondly, for distribution of seasonal objet color, warm color and Nrelated colors were highly distributed just like product color. Tone also belongs to similar category. Thirdly, for seasonal background color distribution, use of Nrelated colors showed in common. By using similar color of colors that were applied in associated color, product and object, theme of the directing image is enforced and explicitness is increased. Fourthly, regarding color matching analysis of seasonal product, objet and background, it was analyzed that spring has high frequency of tone in tone color matching and color matching of harmony of similar color and close color and white color of N related colors. For summer color matching, it was analyzed that color contrast and tone on tone color matching, tone in tone color matching, contrast color matching and bi-color matching for 2 colors were highly distributed. For fall, tone in tone, tone on tone color matching of product, objet, background of YRrelated were showed and similar colors make a harmony and showed calm and pure image. For winter, associated color itself is an achromatic color, but with R related colors, theme of Christmas is associa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L' department store showed high frequency of high-chroma colors, and for scope of colors, it showed wider comparing to other department stores. 'S' department store mostly used colors of calm images and tone. And 'H' department store used colors that reflect the seasons of spring and fall and for other seasons, usable scope of color was highly distributed. In the future, as standard of living of consumers will be increased, it seems that directing of VMD will be continuously increased, directing considering sense of the season will deliver the information of the products to the consumer effectively and will increase the image of department stores. It is hoped that studies of department store VMD considering needs and emotions of colors' trends and materials, lighting and consumer will continue, and this study will be a basis for color area for analyzing design elements of department store VM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