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2 Download: 0

아로마 용액을 이용한 구강간호가 뇌졸중 노인의 구강상태와 구강 세균 집락에 미치는 효과

Title
아로마 용액을 이용한 구강간호가 뇌졸중 노인의 구강상태와 구강 세균 집락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Effects of Special Mouth Care with an Aroma Solution on Oral Status and Oral Cavity Microorganism Growth in Elderly Stroke Patients
Authors
이은혜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효정
Abstract
본 연구는 아로마 용액을 이용한 구강간호가 뇌졸중 노인의 구강상태와 구강 내 세균 집락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D시 소재 요양병원에 입원한 65세 이상 뇌졸중 환자로 실험군 30명, 대조군 31명이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2월 5일부터 4월 6일까지였다. 실험처치는 아로마 용액을 이용한 구강간호로 아로마 용액은 티트리 : 레몬 : 라벤더 에센셜 오일을 1 : 1 : 3의 비율로 혼합하여 용해제에 용해한 후 증류수에 0.2%로 희석하여 만들었다. 실험군에게는 아로마 용액을 이용하여 1회 5분씩, 일주일 동안, 아침․저녁 식사 30분 후(하루 2회) 구강간호를 제공하였으며 대조군의 경우 생리식염수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구강간호를 제공하였다. 실험처치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처치 전․후로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객관적 및 주관적 구강상태 점수를 측정하고, 구강 세균배양검사를 실시하였다. 객관적 구강상태 측정을 위해 정연이(1996)가 번역하고 검증한 구강사정지침(Oral Assessment Guide)을 사용하였으며, 주관적 구강상태 측정을 위해 박윤정과 홍미순(1996)이 번역하고 보완한 구강안위감 측정 도구(Oral Perception Guide)를 사용하였다. 구강세균집락은 연구자가 멸균된 면봉으로 대상자의 잇몸, 혀, 구강점막에서 검체를 채취한 후 세균배양검사를 의뢰하여 그 결과 값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sion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 및 구강건강관련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동질성 검증은 χ-test, Fisher's exact test와 t-test로 분석하였다. 실험처치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두 군 간 종속변수의 차이는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 처치 전 객관적 구강상태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 처치 후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t=-2.310, p=.024) 제 1-1 가설은 지지되었다. 2. 실험 처치 전․후 주관적 구강상태 점수는 두 군 모두 상승하였으나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t=0.793, p=.431) 제 1-2 가설은 기각되었다. 3. 실험 처치 전 구강 내 집락 된 세균 수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 처치 후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t=-2.449, p=.017) 가설 2는 지지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아로마 용액을 이용한 구강간호는 뇌졸중 노인의 객관적 구강상태를 개선하고, 구강 내 세균 집락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임상에서 뇌졸중 노인의 구강간호를 위한 중재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amine the effect of oral care with an aroma solution on oral status and oral cavity microorganism growth in elderly patients with stroke.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and a pre-test and post-test design. The participants included 61 patients(3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1 in the control group) who had been admitted to a long-term care hospital for stroke patients in D city. All the participants were aged ≥65 years, met the criteria for the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which was conducted from February 5, 2014 to April 6, 2014. The experimental group was received special mouth care consisting of application of an aroma solution containing tea tree, lemon, and lavender essential oil in a 1 : 1 : 3 ratio, diluted with a 0.2% solubilizer. The control group received special mouth care with a 0.9% saline solution. The mouth care was performed twice daily for 7 days in both groups. The scores for objective oral status, subjective oral status, and colonizing oral microorganism count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version 21.0 software. The general, disease-related, and oral-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were analyzed using a descriptive statistics. The homogeneity between the two groups was analysed using the χ-test, Fisher's exact test, and t-test; and the effects of experimental treatment were compared using the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homogeneous before treatment . 1. The objective oral status of the experimental group, measured as Oral Assessment Guide scor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2.310, p=.024).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ubjective oral statu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t=0.793, p=.431). 3. The oral microorganism count of the experimental group, as measured by oral swab cultur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2.449, p=.017).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pecial mouth care with consisting of the application of an aroma solution containing tea tree, lemon, and lavender essential oil in a 1 : 1 : 3 ratio, diluted with a 0.2% solubilizer, could be an effective oral health nursing intervention for elderly patients with strok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