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덕유-
dc.contributor.author이혜순-
dc.creator이혜순-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6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27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5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27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요양보호사의 뇌졸중관련 지식과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뇌졸중 관련 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특별시 소재의 노인생활시설 13개, 재가노인복지시설 14개 등 총 27곳에 소속된 요양보호사 25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1월 30일 부터 4월 30일까지였다.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설문지의 내용은 요양보호사의 뇌졸중관련 일반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장미경(2003)의 지식측정도구를, 뇌졸중관련 증상과 위험요인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한남이, 고은아와 황선영(2009)의 지식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뇌졸중 교육요구도를 측정하기 위해 장미경(2003)의 뇌졸중 교육요구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양보호사의 일반적 특성, 뇌졸중관련 일반 지식, 뇌졸중관련 증상과 위험요인 지식, 뇌졸중 교육관련 특성, 교육요구도를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사후검정은 Tukey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요양보호사는 평균 56.56세였고, 여성이 94.1%,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이 61.2%로 가장 많았다. 근무형태는 노인생활시설에서 56.5%, 재가노인복지시설에서 43.5%이었다. 요양보호사로 일한 경력은 평균 33.96개월이다. 2. 요양보호사의 뇌졸중관련 일반 지식은 총 6점 만점으로 평균 4.95(±0.99)점이었고, 연령(F=4.093, p=.018), 최종학력(F=3.156, p=.025), 뇌졸중환자경험유무(t=2.241, p=.026)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요양보호사의 뇌졸중관련 증상 지식은 총 15점 만점으로 평균 10.36(±2.53)점이었고, 연령(F=5.802, p=.003), 최종학력(F=3.220, p=.023), 경력(F=3.119, p=.027)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요양보호사의 뇌졸중관련 위험요인 지식점수는 총 16점 만점으로 평균 10.90(±2.51)점이었고 연령(F=8.553, p<.001), 최종학력(F=4.399, p=.005), 근무형태(t=2.242, p=.026), 경력(F=3.426, p=.018)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요양보호사의 뇌졸중 교육요구도는 총 30점 만점으로 평균 25.51(±3.87)점으로 모든 항목에서 알고 싶다(4점부여)이상의 교육요구도를 나타냈고 경력(F=4.690, p=.003)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요양보호사의 연령, 최종학력, 근무형태, 경력 등이 뇌졸증 관련 지식과 교육요구도와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요양보호사의 특성을 고려하여 뇌졸중 증상을 인식하고, 위험요인을 관리할 수 있는 뇌졸중 관련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describe the knowledge of stroke and educational needs in care workers. The study was initiated with the ultimate aim of improving nursing intervention to educate the care workers. Participants (N=255) were col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throughout 27 home cares and long-term service centers in Seoul, Korea.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January 30th, to April, 2014. Questionnaires were using the instrument by Me Kyung, Chang (2003) for the basic knowledge of stroke. Questionnaires were using the instrument by Nam Yi, Han(2003) for the knowledge of stroke symptoms and risk factors. Questionnaires were using the instrument by Me Kyung, Chang (2003) for educational needs of stroke.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for Windows (version 21.0). The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the ANOVA, and Tukey tes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Below is a summary of results. 1. An average age of the care workers was 56.56(±6.265), among them, 94.1% was female, 61.2% of them had graduated form high school. Working type distinguished as 56.5% of long-term care service centers and 43.5% of home care service centers. An average work experience of the care workers was 33.96 months. 2. The mean of the basic knowledge of stroke for care workers was 4.95(±0.99) out of 6. Knowledge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F=4.093, p=.018), education level(F=3.156, p=.025) and experience for stroke patient or not(t=2.241, p=.026). 3. The mean of the knowledge of stroke symptoms for care workers was 10.36(±2.53) out of 15. Knowledge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F=5.802, p=.003), education level(F=3.220, p=.023) and career(F=3.119, p=.027). 4. The mean of the knowledge of stroke risk factors for care workers was 10.90(±2.51) out of 16. Knowledge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F=8.553, p<.001), education level(F=4.399, p=.005), working type(t=2.242, p=.026) and career(F=3.426, p=.018). 5. The mean of educational needs of stroke for care workers was 25.51(±3.87) out of 30. It shows educational needs above "want to know(4 point)" in every categories. Needs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career(F=4.690, p=.003).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s that the care work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e levels and educational needs of stroke depending on their age, education level, working type, and career. Therefore, nurses must be aware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ncrete and individual stroke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are work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1 B.연구의 목적 4 C.용어의 정의 5 II.문헌고찰 6 A.뇌졸중 증상과 위험요인 6 B.요양보호사 교육의 현황 12 III.연구방법 17 A.연구설계 17 B.연구대상 17 C.연구도구 18 D.자료수집방법 21 E.자료분석방법 22 F.연구의 윤리적 고려 22 G.연구의 제한점 23 IV.연구결과 및 논의 24 A.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4 B.연구 대상자의 뇌졸중 교육관련 특성 26 C.연구 대상자의 뇌졸중관련 지식 정도 29 D.연구 대상자의 뇌졸중 교육요구도 39 E.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뇌졸중관련 지식 41 F.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뇌졸중 교육요구도 50 Ⅴ.결론 및 제언 53 참고문헌 58 부록 72 부록 A.피험자 설명문 및 동의서 72 부록 B.연구 설문지 76 부록 C.IRB 심의결과 통보서 81 Abstract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5222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요양보호사의 뇌졸중 관련 지식 및 교육요구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of Stroke among Care Workers-
dc.creator.othernameLee, Hye Soon-
dc.format.pagevi, 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