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영경-
dc.contributor.author최단비-
dc.creator최단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6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4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55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435-
dc.description.abstract전 세계적으로 향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가 점점 높아지고 각종 화장품에서 향에 대한 비중이 점점 커져가고 있다. 향에 대한 연구와 개발도 중요하지만 넘쳐나는 제품과 복잡하고 다양해진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감성을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고려한 디자인이 더해져야 한다. 현재까지 국내외에서 후각기능을 돕고 향을 효과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색채와 연결 짓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는데, 색채와 향이 교차관계를 이루며 색채가 향을 느끼는데 효과적임을 밝히는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으나, 이를 적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어떠한 색을 보았을 때 특정한 향이 연상되는 색채의 공감각 기능을 적절하게 활용하고, 향의 연상을 빠르게 유발시킬 뿐 아니라 제품의 특성이 되는 액체 자체를 디자인에 활용하여 향에 대한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하며, 나아가 액체의 성질인 농도와 부피를 고려하여 제품의 용도에 맞게 디자인에 적용한다면 소비자의 세밀한 향 감성에 보다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과정을 진행하였다. 첫째, 연구의 바탕이 되는 시각과 후각, 향에 대해 알아보고 감성디자인을 위해 활용되는 색채연상과 공감각 기능을 고찰하며, 색채와 향에 관한 선행연구를 다뤘다. 둘째, 액체의 색과 농도에 따른 향 감성에 관한 1차 실증연구로서 액체색과 농도에 따라 변하는 향 이미지와 향의 종류를 비교 분석하여 결과를 요약하였다. 셋째, 액체의 농도와 이를 조절하는 변수인 부피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향 감성의 차이를 분석한 2차 실증연구로 액체색의 농도와 부피의 증감여부에 따라 어떤 향을 효과적으로 연상하며, 향의 강도와 향 이미지의 연상 정도를 분석하여 결과를 요약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1차 설문과 2차 설문을 분석하여 얻은 결과를 종합하여 도출된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액체의 색상은 향을 연상시키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농도와 부피를 통해 향의 종류와 연상강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선행되었던 고체색 연구에서 색상의 특성을 보이는 향은 플로랄, 오리엔탈, 아로마틱 향이었으나, 액체색에서 색상의 특성을 보이는 향은 플로랄, 아로마틱, 워터, 그린 향으로 차이가 있었다. 고체색에서 우디 향은 분산된 색상과 집중된 색조의 특성을 보였다고 밝혔으나 본 연구의 우디 향은 G 액체색에 집중되었고, 중간이상의 농도에서 효과적으로 연상되어 달랐다. 또한 액체색에서는 P색이 아로마틱 향을 연상시켰으나 고체색에서는 G와 BG색이 아로마틱향을 유발한다고 언급하여 고체색과 액체색의 향에 관한 감성은 상이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액체색의 부피와 농도는 연상되는 향의 세기에 복합적으로 작용하였고, 색에 따라 두 요소 중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의 차이가 있었다. 다수의 액체색이 동일한 부피 내에서는 농도가 높아질수록, 동일한 농도 내에서 부피가 커질수록 연상되는 향의 세기가 강해졌으나 같은 액체색 내에서도 그 증감비율은 매우 상이하여 어떤 부피에서는 농도가 증가해도 연상세기에는 크게 변화가 없으나, 어떤 부피에서는 농도에 의해서 연상세기가 눈에 띄게 상승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색에 따라 농도가 동일하더라도 부피에 의해 연상되는 향의 세기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 함께 고려된다면 다양한 향 관련 제품에 기대되는 향의 세기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액체색에 따라 연상되는 형용사가 차이가 있었고, 형용사의 이미지에 따라 어떤 형용사는 부피가 작을수록 연상 강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일어났으며 어떤 형용사는 농도가 강해질수록 연상 강도가 높아졌다. 그러므로 특정한 향 이미지를 연상하기 위해서 그 특성에 맞게 농도와 부피를 조절한다면 향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연상시킬 수 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자는 위의 결론들을 종합하여 10개의 향 이미지에 따른 액체색 - 향의 조화로운 모델을 CIE L*a*b* 색공간에서 분포도로 제시하였다. 관능적인, 화려한 향은 R, YR, P 액체색에서 높게 연상되고 농도와 부피가 증가할수록 효과적이며 주로 플로랄, 씨트러스, 아로마틱 향이 연상된다. 달콤한 향은 R, YR, Y, P 액체색에서 주로 연상되며, 씨트러스 향의 분포가 넓었다. 시원한 향과 싱그러운 향은 G, B 액체색에서 높게 연상되고 주로 워터향을 유발하나, 농도와 부피에 따라 그린향과 우디향을 연상시킬 수 있다. 우아한 향과 연약한 향은 R, P 액체색에서 높게 연상이 되고, 깨끗한 향은 G, B 액체색에서 연상되며 부피가 크면 농도가 약해지고, 농도가 강해지면 부피가 작아져야 해당 향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연상시킬 수 있다. 색과 향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져 왔으나 컬러 칩을 이용한 고체색 연구에 한정되어 있었고,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향수 용기 및 용액의 색채와 차이가 있었기에 본 연구는 색채의 공감각 기능에 초점을 맞춘 실증적 연구를 통해 액체색을 제안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색채의 감정을 최대한 활용하여 액체색이 시각과 후각을 연결 짓는 매개가 됨으로서 복잡하고 장식적인 용기가 아니더라도 효과적으로 제품의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며 향수제품에 국한되지 않고 다각적인 향 관련 제품 디자인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The demand of consumers for scent has gradually raised and the importance of scent in each cosmetic has increased over the world as time passes on. The researches and development of scent are also important but the design that systematically and reasonably considers consumer' emotion should be added in order to satisfy overflowing products and the consumer's needs that became more complicated and diverse. Until now, the domestic and overseas studies on connecting colors that enable efficient smelling of scent from helping olfactory functions have been active and the studies that reveal the correlation of color and scent and efficiency of colors to smell scent have made a lot but the studies that apply them are still insufficient. In this connection, bases on the judgment that if the synaesthic function of colors that remind specific scents when colors are seen is appropriately utilized and association of scent is connected promptly and the liquid that becomes the product characteristic itself is utilized for design to effectively transfer the image of the scent and furthermore concentration and volume that are the liquid characters are considered to be applied to design in compliance with the purposes of products, it can efficiently approach to the close emotions of customers, this study proceeded below research courses. First, it examined the visual and olfactory senses that are the basis of this study and reviewed the color association and synaesthic functions utilized for emotional design and dealt with preceding studies on color and scent. Second, it analyzed the scent images and types changing according to the liquid color and concentration and summarized its results as the first empirical study on the scent emotion according to the liquid color and concentration. Third, having a complicated consideration for liquid concentration and volume that is the variable to adjust the concentration, it analyzed the efficient association according to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liquid concentration and volume and the association degree of scent strength and image and summarized the results. As for the research results, it suggested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the first and second questionnaires. First, the liquid color plays an important role in associating scent and effectively adjusts a scent type and association degree through concentration and volume. Furthermor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act that the scents that show color characteristics in the preceding studies on the solid color were floral, oriental and aromatic scents but the scents that show the color characteristics in the liquid color were floral, aromatic, water and green scents. The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woody scent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persed colors and the concentrated tone but this study found that woody scent concentrated on G liquid color and was efficiently associated in the concentration over the middle. Moreover, P color associated aromatic scent in the liquid color but it was mentioned that G and BG colors induce aromatic scent in the solid color so that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senses of the solid and liquid colors are different. Second, the volume and concentration of the liquid color complicatedly influenced the strength of the associated scents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egrees influencing the two factors according to colors. Several liquid colors showed stronger senses of associated scents in as concentration became higher the same volume and volume became larger in the same concentration but the increase rates were very different even in the same liquid color, and in some volume, even though concentration increased, the association degree did not have a remarkable change but in some volume, concentration caused a remarkable increase to the association degree. Therefore, if it is considered that the degree of the associated scent by volume can be different even in the same concentration according colors, the degree of scent anticipated to various sense sensible products can be visually expressed. Third, the adjectives were different associated by associated colors and some adjectives had the effect to increase the association degree as the volume was smaller and some adjectives showed higher degrees as the concentration became stronger. Accordingly, in order to associate a specific scent image, when concentration and volume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scent images can be associated effectively. At last, I summarized the above conclusions and suggested a harmonious model of liquid color - scent according to 10 scent images in CIE L*a*b* color space as the distribution chart. The freshly and luxurious scent was associated highly in R, YR, P liquid colors and it was more effective as concentration and volume increase and mainly, floral, citrus and aromatic scents are associated. The sweet scent was normally associated in R, YR, Y, P liquid colors and had a wider distribution of citrus scent. The cool and fresh scents were associated high in G, B liquid colors and mainly induce water scent but can associate green and woody scents according to concentration and volume. The elegant and weak scents are associated high in R, P liquid colors and the clean scent is associated in G, B liquid colors and when volume is big, concentration becomes weak and when concentration becomes strong, volume needs to be small to effectively associate the corresponding scent images. Because researches on colors and scents have been active but they were limited to the solid color researches using color chips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olors of scent containers and liquid colors, it is all significant in that this study suggested liquid colors through empirical research with a special focus on the synaesthic function of the color. it is considered that through this study, liquid colors becomes the media to associate the visual and olfactory senses by utilizing the senses of colors and product images can be effectively transferred even though they are not complicated and decorative containers and without being limited to scent products, this study can be helpful to search for diverse scent related product desig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Ⅱ. 후각 감성 디자인의 개념 및 색채와의 연관성 분석 5 A. 색채 지각 및 공감각의 특성 5 1. 색채의 지각 5 2. 색채 연상 5 3. 색채 공감각 6 B. 시각과 후각의 특징 7 1. 시각의 특징 7 2. 후각 및 냄새의 특징 8 C. 후각 감성 디자인 및 색채와의 연관성 9 D. 색채와 향의 관계 11 1. 향의 의미 및 분류 11 2. 색채와 향에 관한 분석 14 3. 액체색과 향에 관한 분석 17 III. 액체색과 농도에 따른 향 감성에 관한 1차 실험 분석 19 A.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9 1. 실험 도구의 제작 및 측정 19 가. 액체의 조색 19 나. 액체색의 측정 19 2. 실험 대상 및 환경 21 가. 실험 대상 21 나. 설문 환경 21 3. 설문 항목 선정과 방법 22 가. 향 감성 평가항목의 선정 22 나. 실험 방법 23 B. 1차 실험결과 분석 24 1. 액체색과 향의 연상관계 24 2. 액체색 농도와 향의 연상관계 25 3. 액체색 농도와 형용사의 연상관계 27 C. 분석결과 요약 29 Ⅳ. 액체색의 농도 및 부피에 따른 향 감성에 관한 2차 실험 분석 31 A.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1 1. 실험 대상 및 환경 31 가. 실험 대상 31 나. 설문 환경 32 2. 설문 항목 선정 및 구성 33 가. 향 감성 평가 항목의 선정 33 나. 설문지 구성 34 3. 실험 도구의 제작 34 B. 액체색 측정 분석 36 1. 액체색의 측정 방법 36 2. 액체색의 측정 분석 37 C. 2차 실험 결과 분석 40 1. 향 형용사와 액체색의 비교분석 40 가. 향 형용사에 따른 액체색의 연상 강도 분석 결과 40 나. 액체색 별 향 형용사 분석 47 2. 액체색의 농도와 부피에 따른 향의 세기 분석 65 가. 단일요인에 의한 향의 세기 분석 결과 65 나. 복합요인에 따른 향의 세기 분석 결과 66 다. 색상별 부피와 농도에 따른 향의 세기 분석 결과 70 3. 액체색의 농도와 부피에 따른 향의 종류 분석 74 D. 분석 결과 요약 82 Ⅴ. 결론 및 제언 85 참고문헌 94 Abstract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7166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농도와 부피에 따른 액체색을 적용한 후각 감성 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Olfactory Sensibility Design Applying Liquid Colors According to Concentration and Volume-
dc.creator.othernameChoi, Dan Bee-
dc.format.pagexv, 10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