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7 Download: 0

한·태 미래 표지에 대한 대조 연구

Title
한·태 미래 표지에 대한 대조 연구
Other Titles
A Contrastive Study of Future Markers in Korean and Thai : Focusing on ‘-gess-’, ‘-(eu)l geosi-’ and ‘ca’
Authors
ARJAREE, CHUENGPREMPREE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훈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의 미래 표지 ‘-겠-’과 ‘-(으)ㄹ 것이-’ 및 태국어의 미래 표지 จะ ‘ca’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한국어의 ‘-겠-’과 ‘-(으)ㄹ 것이-’ 및 태국어의 จะ ‘ca’를 살펴보고 고찰한 다음, 두 언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통사적·의미적 특징을 중심으로 대조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1장에서는 연구 목적을 제시하고, 본 연구의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을 소개하였으며,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제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해를 돕기 위해 미래 표지에 대한 양 언어의 기본 배경을 제시하였다. 먼저 한국어의 미래 표지를 분석할 때 필요한 한국어의 시제 체계와 상의 개념 및 분류, 그리고 한국어의 양태, 시간부사구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다음으로 태국어의 미래 표지를 분석할 때 필요한 태국어의 시제 체계와 상의 개념 및 분류, 그리고 시간부사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국어의 미래 표지 ‘-겠-’과 ‘-(으)ㄹ 것이-’ 및 태국어의 미래 표지 จะ ‘ca’의 통사적·의미적 특징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았다. 한국어의 ‘-겠-’과 ‘-(으)ㄹ 것이-’ 및 태국어의 จะ ‘ca’는 미래 이외에 추측 의미, 그리고 의도 의미로도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 각 의미에 따라 나타나는 통사적인 특징을 인칭, 시제, 서술어 및 문장 종류에 대한 제약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제4장은 본 연구의 핵심이다. 여기에서는 한국어의 미래 표지 ‘-겠-’과 ‘-(으)ㄹ 것이-’ 및 태국어의 미래 표지 จะ ‘ca’가 가지는 통사적·의미적 특징을 살펴보고 그들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앞에서 논의한 바를 정리하고, 연구 결과를 최종적으로 정리하였다.;This research focuses on Korean future markers ‘-gess-’ and ‘-(eu)l geosi-’ and Thai future marker ‘c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ake these markers into consideration and perform contrastive analysis o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concentrating on syntactic and semantic features. Chapter I presen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uggest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nd research method, and examines the advanced research. In chapter II, the background of tense markers in Korean and Thai are described to promote more understanding on this research. This session depicts the notation and classification of Korean tense system and aspect together with Korean modal and adverbial phrase of time which are necessary in the analysis of Korean future markers. In sequence, the notation and classification of Thai tense system, aspect and adverbial phrase of time which are necessary in the analysis of Thai future markers are also described. Chapters III examines characteristics of Korean future tense markers ‘-gess-’ and ‘-(eu)l geosi-’ and Thai future marker ‘ca’ greater. Here the fact that Korean’s ‘-gess-’ and ‘-(eu)l geosi-’ and Thai’s ‘ca’ also express supposition and intention are identified.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each semantic function are also examined in this chapter with concentration on the limitations of personal pronouns, tense, and predicate. Chapter IV displays the essentials of this research : it investigates syntactic and semantic features that Korean future markers ‘-gess-’ and ‘-(eu)l geosi-’ and Thai future marker ‘ca’ carry, as well as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inally, chapter V organizes the arguments made in previous chapters to presen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