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나영-
dc.contributor.author윤빛나-
dc.creator윤빛나-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5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901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5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90117-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contemplated on Peacock feather among Ipsik (笠飾, Hat ornaments) of Joseon Dynasty, extending the scope of consideration to Hosu (虎鬚, Hat ornament in the shape of barley ears used to decorate hat) and Sangmo (象毛, Red-colored feathers used to decorate the top of Jeonlip). Literature records were confirmed to find the origin and transition of Ipsik, and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ach Ipsik were examined with focus based on directly measured relics. Paintings were used to compare the method of wearing Ipsik for different costumes. Ancient people began to worship birds as they saw birds flying freely in the sky. Gwanmo (冠帽, headdress) was decorated with feathers of such birds to symbolize the ruling class and used as a criterion for differentiating social classes. However, as its original symbolic meaning began to gradually disappear, only the superficial symbolism remained to become Peacock feather Ipsik of Joseon Dynasty. The ancient meaning of Peacock feather that distinguished between social classes gradually diminished, and only decorative elements remained. The shape of Peacock feather Ipsik differs according to Gat [笠, 笠子, Korean traditional hat], and it is largely classified into types A and B according to shape of Peacock feather. Peacock feather Ipsik type A is decorated by inserting long feather into holders on Gat. Strings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hole on the holder, which is probably intended to fix the position of Gat during movement. Peacock feather Ipsik type B was made into shape of a fan by binding Peacock feather with feather of a blue-colored bird. It was hung by connecting to Jeongja (頂子, Ornament used to decorate the top of a ha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relics of purplish Ipsik,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Peacock feather Ipsik was inferred. Feathers of birds are collected as the main ornaments of Ipsik, bound by a string in the top part, and surrounded by cloth and silver paper. Hosu is a type of Ipsik on which decoration can be done on the same Gat as Peacock feather It is recorded in the literature as 'Maeksu (麥穗, Barley ears)' or 'Hosu'. Its material was probably changed to whiskers of tiger after the first appearance of the term Hosu in the Era of King Yeongjo (英祖, 1694-1776). Most of relics were made of thin bamboo, and bamboo was used in addition to barley ears and tiger whiskers. Hosu is made by creating lower and upper parts and connecting the two for attachment. The lower part is sharpened and surrounded by Hanji (Traditional Korean paper handmade from mulberry trees), and its top is decorated by black and brown papers. There is a small hole on top of the lower part, which has the same intent as Peacock feather Ipsik type A of fixing it to Gat. The upper part had each node surrounding Hosu around the central axis to wind several times with white paper and a strip of golden paper on top. Hosu is inserted into holders on Gat for decoration. One or two Hosu are inserted on both sides or both sides and back. Hosu is divided into 'd' type or 'I' type according to shape, which mainly appear in Cholip (草笠, Straw hat) and Julip (朱笠, Official's red hat), respectively. Hosu is stored in a storage bin exclusively made for Hosu after inserting into Hosu-support. Sangmo is thin red fur with shape of tassel or ear hung at the tip of Jeonlip (戰笠, 氈笠, Felt hat) as a decoration. It was used alone or with Peacock feather to decorate Jeonlip. Sangmo was an essential ornament of Gat worn by military officials to distinguish between civil officials and military officials. Sangmo is made using horse's hair or thread. Materials are tied at the top and connected to Jeongja using devices such as string and ring. Sangmo is positioned on the back of Jeonlip. Yellow tassel is attached with Sangmo, and it is classified into Sangmo with and without Bongsul (column tassel)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Bongsul. As a result of analyzing Ipsik shown in paintings according to costumes, Ipsik shows fixed forms regardless of social class. Peacock feather Ipsik type A and Hosu Ipsik were used to decorate Julip, Heuklip (黑笠, black hat) and Hwangcholip (黃草笠, yellow straw hat), and Peacock feather Ipsik type B and Sangmo Ipsik decorated Jeonlip.;이 연구는 조선시대 입식(笠飾) 중 공작깃[孔雀羽]을 중심으로 호수(虎鬚), 상모(象毛)까지 범위를 확장하여 고찰한 것이다. 입식의 변천에 관해 문헌기록을 확인하였고, 직접 실측 조사한 유물을 토대로 입식의 구성 및 제작방법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회화를 통해 복식으로 나누어 입식의 착용방법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고대인(古代人)들은 하늘을 자유롭게 날아다니는 새를 보며 조류숭배사상(鳥類崇拜思想)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새 깃을 관모(冠帽)에 장식하면서 지배층의 상징으로 변화하였고 계급을 구분하는 기준이 되었다. 그러나 점차 그 본래의 상징적 의미가 약해지면서 표면적인 상징성만 남게 되었으며, 이런 장식이 조선시대의 공작깃 입식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공작깃은 고대로부터 내려온 계급을 구분해주는 본의(本意)를 잊고 점차 장식적인 요소만이 남아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공작깃 입식은 갓[笠, 笠子]에 따라 그 형태가 다르며, 공작깃의 형태에 따라 크게 AㆍB 두 유형으로 분류된다. A형 공작깃 입식은 세로로 길게 만든 형태로 입자의 꽂이에 꽂아 장식한다. 꽂이의 구멍으로 줄을 연결할 수 있는데, 이는 이동시 빠지지 않게 립에 줄을 둘러서 고정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B형 공작깃 입식은 공작깃과 함께 청색의 새 깃을 같이 묶어서 부채 형태로 만든 것으로 정자(頂子)에 연결하여 매달았다. 보랏빛 입식의 유물을 조사한 결과 공작깃 입식의 제작과정을 유추할 수 있었다. 요약하자면, 입식의 주장식(主裝飾)인 새 깃을 모아서 상부(上部)에서 줄로 묶은 뒤, 그 위를 천과 은색 종이로 감싸는 것이다. 호수는 공작깃 입식과 같은 입자(笠子)에 장식할 수 있는 입식으로 문헌에는 맥수(麥穗)나 호수(虎鬚)로 기록되어져 있다. 영조(英祖)대에 호수라는 명칭이 처음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이때 재료가 호랑이 수염으로 바뀐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유물들은 대부분 가는 대나무[細竹]로 만든 것으로, 보리 이삭과 호랑이 수염 이외에 대나무도 사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호수의 제작방법은 밑동과 윗동을 각각 만들어 이어 붙이는 것이다. 밑동은 뾰족하게 깎아 한지로 감싸고, 흑색과 갈색의 얇은 종이와 두꺼운 종이를 몇 줄 돌려 감는다. 밑동의 위쪽에는 구멍이 뚫려있는데 A형 공작깃 입식과 마찬가지로 입자에서 빠지지 않게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윗동은 중심축 주위를 마디마다 호수로 돌린 뒤 흰색 종이로 여러 줄 감고, 그 위에 금색 종이 한 줄을 감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며 여러 줄을 만든다. 호수는 립의 달린 꽂이에 꽂아 장식하는 것으로, 양옆이나 양옆과 후면에 각각 1-2개를 꽂는다. 호수 꽂이는 형태에 따라 ‘d'형과 ’I'형 꽂이로 나뉜다. d형은 주로 초립에서, I형은 주립에서 나타난다. 호수는 호수받침대에 꽂아 호수 전용 보관통에 보관한다. 상모는 전립(戰笠, 氈笠)의 끝에 장식으로 달은 술이나 이삭 모양으로 만든 붉은 빛깔의 가는 털로, 전립에 홀로 장식하거나 공작깃과 함께 달았다. 상모는 문관(文官)이나 무관(武官)을 구별하기 위하여 무관의 립에 장식하던 필수 장식품이었다. 상모의 재료는 말갈기나 실을 사용한다. 제작방법은 상부에서 묶은 뒤, 줄이나 고리와 같은 연결 장치로 정자에 연결하는 것으로 전립의 뒤쪽에 위치하도록 장식한다. 상모와 함께 황색의 술이 달려있는데, 황색의 봉술의 유무에 따라 봉술이 달린 상모와 아닌 것으로 분류된다. 회화에 나타난 입식은 복식에 따라 분석한 결과, 계급의 고하(高下)를 막론하고 일정한 형식을 보여준다. A형 공작깃 입식과 호수 입식은 주립(朱笠)ㆍ흑립(黑笠)ㆍ황초립(黃草笠)에 장식하였고, B형 공작깃 입식과 상모 입식은 전립에 장식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 목적 및 의의 1 B. 연구 범위 및 방법 2 II. 공작깃 입식 4 A. 문헌에 나타난 공작깃 입식 5 B. 유물에 나타난 공작깃 입식 16 1. A형 공작깃 입식 18 2. B형 공작깃 입식 20 3. 보관방법 28 C. 회화에 나타난 공작깃 입식 31 1. A형 공작깃 입식 31 가. 주립 입식 공작깃 31 나. 흑립 입식 공작깃 32 다. 황초립 입식 공작깃 37 2. B형 공작깃 입식 37 가. 동달이와 전복을 입은 경우 38 나. 기타 포와 전복을 입은 경우 41 III. 호수 입식 44 A. 문헌에 나타난 호수 입식 44 B. 유물에 나타난 호수 입식 47 1. 재료 및 제작방법 47 2. 착용방법 51 3. 보관방법 56 C. 회화에 나타난 호수 입식 58 1. 주립 입식 호수 58 2. 흑립 입식 호수 59 3. 황초립 입식 호수 62 IV. 상모 입식 65 A. 문헌에 나타난 상모 입식 65 B. 유물에 나타난 상모 입식 69 C. 회화에 나타난 상모 입식 75 1. 동달이와 전복을 입은 경우 75 2. 협수와 전복을 입은 경우 77 Ⅴ. 결론 82 참고문헌 84 ABSTRACT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022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조선시대 입식(笠飾)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공작깃·호수·상모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psik of Joseon Dynasty : Focusing on Peacock Feather, Hosu and Sangmo-
dc.creator.othernameYun, Bit Na-
dc.format.pagexii, 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학과-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