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인성-
dc.contributor.author이교영-
dc.creator이교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4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904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5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90430-
dc.description.abstract최근 한류 파급효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한국의 국가 이미지가 향상되고 있으며 한국에 대한 문화적 관심과 더불어 한국 패션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현재 한국 패션산업은 정부의 섬유패션산업 성장을 위한 정책 및 지원으로 국제적인 경쟁력이 강화되는 추세이며,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 국가의 경제적 수요를 창출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 패션을 세계화시키기 위한 방안이 산업계 전반에서 모색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한국적 이미지를 적용하여 전통성과 예술성이 강조된 패션 상품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패션 상품들은 한국의 전통 문양이나 색, 한글 등을 직접적으로 차용하거나 약간의 변형만을 주어 표현함으로써 대다수의 사람들이 수용하기에는 미흡한 디자인으로 표현되고 있다. 한국 패션이 세계적으로 정체성을 확립하고 세계 패션 시장에서 중요하게 자리 잡기 위해서는 한국의 전통적인 요소를 그대로 표현하는데 얽매이기 보다는 한국을 상징할 수 있는 이미지를 담되 전 세계인들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보편성을 지닌 새로운 형태의 스타일을 창조해 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적 이미지 활용방안의 새로운 접근 방법으로, 네거티브 공간 개념을 패션에 적용시켜 발상의 전환을 통한 새로운 디자인을 제안함으로써 한류 패션의 보편화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따라서 한국의 대표 건축양식인 한옥을 네거티브 공간 이미지의 구체적인 대상으로 선정하고 한옥이 지닌 한국의 상징성과 예술성을 반영한 새로운 형태의 스타일을 제안하였다. 이는 패션 디자인 발상법의 새로운 표현 영역을 제안하고 한국적 이미지의 새로운 패션 스타일을 제시함으로써 본 연구가 관련 분야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한류 패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한류 패션을 통한 국가 이미지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구 방법으로 문헌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으며 먼저 문헌연구로는 선행 연구 및 단행본, 기사, 웹 사이트 등을 통해 네거티브 공간의 개념 및 역할에 따른 기능과 네거티브 공간의 표현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실증적 연구로는 한옥 이미지를 활용한 현대 패션 디자인 사례를 통해 한옥 이미지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현대 패션 디자인에서 네거티브 공간을 활용한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여 조형적 특징을 도출하였고, 한옥의 네거티브 공간 이미지를 활용한 총 5개의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네거티브 공간은 화면구성에서 비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영역으로 포지티브 형태가 강조되도록 돕는 기능을 가진다. 네거티브의 표현 특성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었다. 첫째, 네거티브 공간이 면적 대비 최대면적으로 구성되었을 때(네거티브 공간 > 포지티브 형태) 형태를 명료하게 지각하도록 돕는 명료성이 나타났다. 둘째, 면이 동등하게 분할되어 포지티브 형태와 동등한 면적으로 구성되었을 때(네거티브 공간 = 포지티브 형태) 형태와 형태가 맞물려 연속된 패턴이 나타나거나, 형태로 인식되는 면적이 존재하지 않아 테두리 밖으로 형상을 연상하게 하는 연속성이 나타나기도 했다. 셋째, 네거티브 공간이 최소면적으로 구성되었을 때(네거티브 공간 < 포지티브 형태) 네거티브 공간을 통해 화면 전체에서 암시하는 형상을 보도록 시선을 유도하는 암시성이 나타났다. 네거티브 공간을 표현한 현대 패션 디자인을 분석한 결과, 네거티브 공간은 포지티브 형태를 강조하는 역할을 가진다는 것에 입각하여 명료성, 연속성, 암시성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디자인의 강조점에 따라 조형적 특징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명료성이 나타나는 디자인은 인체의 색에 지배적인 영향을 받는 컷 아웃 룩이 나타났다. 의복에서 컷 아웃된 영역은 동작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필요 요소가 아닌 미적 욕구의 장식적인 효과가 강조된 디자인으로 의복에서 특정 부분에 시선을 집중시키는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연속성을 지닌 디자인은 반복된 패턴이 나타나거나 의복 내에 형태로 인식되는 최소면적이 존재하지 않아 시선을 분산시킴으로써 의복 자체를 강조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암시성이 나타난 디자인은 네거티브 공간으로 지각되는 면적이 깊이와 음영으로 표현되어 실루엣에 영향을 미쳐 여성의 곡선미를 극대화시켜주는 디자인이 나타났다. 그 뿐만 아니라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구조적 디테일에 해당하는 형태를 부분적으로 표현하여 완벽한 형태의 상상이 가능한 디자인이 나타나기도 했다. 위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옥의 네거티브 공간 이미지와 2014 S/S 시즌 트렌드 미니멀리즘을 반영하여 ‘New Minimalism’이라는 콘셉트하에 한류 패션을 선호하는 소비계층을 위한 총 5착장의 여성복을 개발하였다. 디자인 Ⅰ ‘Black for Summer’는 한옥의 이미지를 연속성으로 표현한 재킷으로 실루엣은 직선적으로 나타나고 디테일 구성에서는 한옥의 형상을 암시하는 형태로 커팅하여 블랙과 화이트의 면적이 뚜렷하게 지각되도록 컬러 블로킹으로 표현하였다. 디자인 Ⅱ ‘A Dream in black & white’는 직선적인 실루엣의 롱 원피스에 한옥의 지붕에서 영감을 얻은 형태를 라펠의 형태에 접목시켜 비대칭으로 제작하였다. 흑백 대비 컬러를 활용하여 의복 전체에서 라펠 형태의 명료성을 강조하여 시선집중 효과가 나타나도록 표현하였다. 디자인 Ⅲ ‘Twiggy’는 화이트 컬러의 크롭트 탑에 한옥 이미지에서 나타난 선을 슬래시 기법으로 표현함으로써 암시적인 형태가 나타나는 디자인으로 표현하였다. 디자인 Ⅳ ‘My black mini d-ress’는 레이어드 원피스로 겉 원피스는 비치는 소재, 안 원피스는 불투명 소재를 대비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실루엣에 한옥의 형태를 암시적으로 내포하도록 표현하였다. 디자인 Ⅴ ‘Edie Sedgwick’은 티어드 스타일의 크롭트 탑으로 한옥의 처마에 나타나는 곡선 형태를 겉감에 형상화하고 안감에는 컷 아웃기법으로 와당의 윤곽을 표현하여 명료성을 강조한 형상을 구축하도록 디자인하였다. 이상으로 살펴본 결과와 같이 현대 패션 디자인에서 네거티브 공간의 활용은 디자이너의 관점과 의도에 따라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고 디자인 개발에 있어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시각적 전환의 무한한 창조적 표현 수단으로 폭 넓게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한국적 이미지를 현대적 감각에 맞게 보편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디자인 표현 방법은 기존의 패션 디자인 표현 방법 및 한국적 패션 디자인 상품을 한 단계 더 향상시키고, 한류 패션뿐만 아니라 한국 패션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While many foreign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showing interest on the new culture called the Korean Wave, the social cultural exchange between countries are becoming active with increase of interest on the Korean stars who are representing the Korean Wave, and the phenomenon of preferring and imitating their fashion styles began to appear naturally in each recipient countries. Along with cultural interest on South Korea with the increase of interest on Korea's fashion, even the fashion industry that symbolizes the culture and art is also becoming globalized. As a result, the concrete measures are being sought in order to create the economical demand of the country according to the growth of Korea's fashion industry, and as the source of ideas which emphasizes the artistry have by the unique culture of the country, an ongoing study on the Korean fashion is being made. In order for the Korean fashion to be placed importantly in the world's fashion market, rather than being bound to expressing the traditional elements of Korea as is, the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in the new form of style that can symbolize Korea with universality that can be easily accepted by the people around the world. Therefore, for the Korean fashion, this study has selected the negative space image of Hanok as a specific target of design concept reflected with the symbolism and artistry of Korea have by the Hanok, the expressional value of negative space was utilized as the expressional method for a new form of fashion style. Prior to the design proposal, the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related books, articles, fashion professional information site, portal site, as well as previous studies. For the empirical study, the keyword such as ‘Negative space fashion’ and ‘Negative space inspiration fashion’ was searched using Google from June 2013 to March 2014 where the photo work related to the negative space shown in 4 major collection of the recent 2010 S/S season to 2014 S/S season was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sis, the negative space image of Hanok was utilized in the design derived by the formative elements and the design for Korean fashion reflected with the trend was proposed.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obtained. Firs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negative space dealt in various academic fields, the expressional value according to the visual characteristics covered in the visual design was studied. As a result of study on the previous studies and other literature data,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negative space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clarity, continuity, and suggestiveness. In the negative space, when the screen was configured with the maximum area compared to area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area(negative space > positive form), a clarity which emphasizes the form to be perceived clearly have appeared. When the side of negative space was equally divided and configured with the positive form(negative space = positive form), it either had a continuous pattern because the forms were meshed together or a relevance with the rectangular border by all divided areas, so the area which can be recognized as a form did not exist and a continuity appeared which can be imagined as being connected with the outside border. When the negative space was configured with the minimum area(negative space < positive form), an implicit form that induces the eye to see the thematic form that wishes to emphasize the entire screen with minimal elements have appeared. Second, the architecture and fashion as a symbol system that refers to a certain way of thinking and the lifestyle of that era is considered as the core elements that makes the unique culture have by the area, so it has been preserved as the iconic image of the country even up to now. Although the architecture and fashion each plays a different role, since both of them have a homogenous structural formativeness, such form and appearance are utilized as the motive which becomes the abundant artistic source as a new and important material of art. In the modern fashion based on the influence have by the Korean wave, using the Korea's traditional architecture as the source of design ideas, it was found that a variety of studies by the domestic designers for promulgating the beauty of Korea were continuously being progressed. By reconfiguring the image of Hanok in a variety of ways, the transformation into the style of a new form that suits the modern fashion was seen, and based on this, a method of utilizing the beauty of Hanok into the fashion design was sought after. Thir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tandards of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negative such as clarity, continuity and suggestiveness, based on the theory that negative space plays the role that emphasize the positive form, the cases of modern fashion design reflec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negative space shown in the recent 4 years of collection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design emphasized with clarity have shown a cut out look that boldly exposes the parts of the body,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being influenced dominantly by the color of the body was shown. The area cut out from the dress was shown as a decorative effect of aesthetic desire and not as essential elements that appears importantly when wearing thus in the dress, an effect of focusing the eyes on a specific area of detail configuration was seen. Whereas, the design having continuity had an appearance of repeated pattern of regular forms or the positive form was not clearly perceived and brought the effect of dispersing the gaze, so the visual effect which did not emphasize the specific area but the dress itself was shown. For the design showing the emphasis through the suggestiveness, the area perceived as the negative space is expressed as the element showing the depth and shading thus the silhouette appears in the form that maximizes the curvaceous of women or expresses only the suggestive part of the form that corresponds to the structural detail which do not actually exist and shown a design characteristics of having an illusion as if having a perfect form. Fourth, based on the above results, a total of 5 women's wear was developed under the concept of ‘New Minimalism’ reflected with the negative space image of Hanok and 2014 S/S season trend of the minimalism and proposed as the design for the consumption class that prefers the Korean fashion. Through the results of such study, the utilization of negative space can be expressed in a variety of ways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and intention of the designer, and in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 it was found that it can be instrumental for a creative expression of visual transition away from the stereotype. Therefore, this study has proposed the new creation of the Korean image and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Korean fashion industry by utilizing the negative space and by reflecting the image of Hanok in the fashion design according to the modernistic sens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Ⅱ. 이론적 고찰 5 A. 네거티브 공간에 관한 고찰 5 1. 네거티브 공간의 개념 5 2. 네거티브 공간의 역할 및 기능 8 3. 네거티브 공간의 표현 특성 10 B. 건축과 패션의 상관관계에 관한 고찰 21 1. 건축과 패션의 시대별 유사성 22 2. 한옥 이미지를 활용한 현대 패션 디자인 사례 30 Ⅲ. 현대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네거티브 공간의 표현 방법 36 A. 네거티브 공간 > 포지티브 형태 : 명료성 37 B. 네거티브 공간 = 포지티브 형태 : 연속성 41 C. 네거티브 공간 < 포지티브 형태 : 암시성 45 D. 종합결과 및 논의 49 Ⅳ. 한옥의 네거티브 공간 이미지를 활용한 디자인 개발 53 A. 디자인 의도 및 기획 53 1. 콘셉트 54 2. 타깃 56 3. 뮤즈 57 4. 이미지 포지셔닝 58 5. 컬러 59 6. 소재 61 7. 참고치수 62 8. 작품 구성 63 B. 디자인 개발 64 1. 디자인 Ⅰ 64 2. 디자인 Ⅱ 70 3. 디자인 Ⅲ 76 4. 디자인 Ⅳ 83 5. 디자인 Ⅴ 91 Ⅴ. 결론 및 제언 98 참고문헌 101 Abstract 1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6058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네거티브 공간을 활용한 패션 디자인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한옥 이미지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Fashion design development utilizing negative space : Focused on Hanok image-
dc.creator.othernameLee, Kyo Young-
dc.format.pagexv, 11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학과-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