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나영-
dc.contributor.author유슬기-
dc.creator유슬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4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9007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5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90076-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조선 시대 여성들이 착용하였던 장옷[長衣]에 대해 고찰하고, 그 조형적 요소를 여성용 코트에 접목시킨 디자인을 제안한 것이다. 제작한 코트는 여름용 1점과 봄ㆍ가을용 4점으로, 총 5점이다. 문헌 기록에 따르면 장옷은 조선 초에 여인들이 주로 외출용 겉옷으로 착용하던 것이나, 18세기 이후로 유교사상이 강화되어 내외법이 더욱 강조되자 겉옷보다는 폐면(蔽面)을 위한 쓰개로 용도가 변화 된 것으로 보인다. 기록에 의하면 홑, 겹, 솜, 누비의 구성별로 그 종류가 다양하며, 색상도 아청(鴉靑), 초록(草綠), 보라(甫羅), 자적(紫的) 등으로 매우 다채로웠다. 출토유물은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조선 전 시기에 걸쳐 분포하며 특히 16, 17세기에 많이 출토되었다. 구성은 기록에서와 같이 솜, 누비, 겹, 홑이 있는데, 이 중에서도 솜 장옷과 누비 장옷의 출토량이 가장 많고, 18세기 후반 이후로는 겹옷이 증가한다. 출토 장옷의 소재로는 명주[紬]가 가장 많고, 그 외에 토주(吐紬), 세주(細紬), 화문주(花紋紬), 화문단(花紋緞), 공단(貢緞), 화문릉(花紋綾), 목면(木棉), 모시[苧布] 등의 다양한 직물이 있다. 전세 유물은 19세기 이후의 것이 다수 전해지고 있으며, 조선 후기 풍속화에도 장옷을 입은 여인들이 등장한다. 이들 자료를 통해 기록이나 출토유물만으로는 알기 어려운 실제 색상이나 착용방법 등도 파악할 수 있다. 이 시기의 장옷은 주로 쓰개로 사용하였으며, 녹색이나 청색을 많이 사용하였다. 착용 방법은 외출 시 내외용 쓰개로써 착용한 것을 볼 수 있고, 장옷을 접어 머리 위에 얹고 있는 모습도 종종 관찰된다. 장옷은 아랫자락이 매우 풍성하고 여유로워 신체를 감싸고도 자연스럽게 떨어지는 실루엣이 특징이다. 깃은 목판깃을 안쪽에 들여 달려 있으며, 섶 두 폭을 이어 넓게 만들었다. 옆선에는 사다리꼴 무를 달아 풍성한 도련선을 만들었고, 겨드랑이 아래에는 삼각무를 달았다. 깃과 고름, 삼각무는 몸판과 대비되는 자적색을 사용하여 장식성을 가미하였다. 이와 같이 장옷에 대한 문헌기록과 유물을 고찰한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들이 외출복으로 입을 수 있는 코트 다섯 점을 디자인하였다. 장옷의 조형성 중 목판깃, A자 형으로 퍼지는 넓은 실루엣, 삼각무, 배색 등을 활용하여 코트에 접목하였다. 작품 1은 장옷을 치마와 저고리 사이에 입었던 착장 방식을 모티브로 여름용 코트를 디자인 한 것이고, 작품 2는 목판깃을 응용한 것이다. 작품 3은 솜을 두고 누빈 대금형 맞깃과 A형 실루엣을 디자인 모티브로 활용한 것이다. 작품 4는 삼각무를 극대화하여 디자인 하였으며, 작품 5는 장옷의 특징적인 배색을 활용하여 디자인 한 것이다. 소재는 전통 한복 소재와 서양복에 주로 사용하는 것을 적절히 섞어서 사용함으로써 일상복으로 착용하는데 부담이 없도록 하였다. 색상은 코트에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검정, 회색 등과 함께 장옷의 배색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사용하였다. 장옷을 이용한 코트 디자인 개발은 전통의 재창조와 더불어 현대적 활용이라는 차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한복에 내재한 미적 감각과 조형적 특징과 같은 우리 옷의 본질적 특징을 더욱 깊이 파악하고 이를 현대화하여 사람들이 입고 싶은 옷으로 발전시키는 연구자가 많아지길 기대해 본다.;This study investigates jangot[長衣], a type of clothing worn by women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proposes modern coat designs by applying its formative features to today’s women’s coats. A total of five pieces of coats were made as a result of the study: one summer coat and four spring/fall coats. According to literature, women in the early Joseon period wore jangot as ordinary outdoor clothing, but after the eighteenth century when women were more strictly prohibited from showing their face to men by the principles of Confucianism, they wore it over their head to veil their face in public places.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there were various types of jangot in terms of compositions such as single-layered, double-layered, cotton-stuffed, and quilted. Also, a variety of colors including darkish blue[鴉靑], green[草綠], purple[甫羅], and red violet[紫的] were used for jangot. Excavated pieces of jangot indicate that they were worn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period from the fifteenth to nineteenth century, but the most number of pieces are from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y. As the historical records suggest, compositions of jangot vary from cotton-stuffed, quilted, and double-layered to single-layered. Among them, cotton-stuffed jangot and quilted jangot were excavated in the most number, and double-layered jangot seems to have increased after the late eighteenth century. The most number of excavated pieces of jangot are made of silk[紬], but other materials such as thick yellow silk[吐紬], thinly-woven silk[細紬], floral-patterned silk[花紋紬], sateen[貢緞], cotton[木棉], and ramie fabric[苧布] were also used. There are a number of jangot pieces passed down since the nineteenth century, and genre paintings from the late Joseon period also depict women wearing jangot. Actual colors and uses of the garment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se materials, which otherwise are difficult to know only with historical records and excavated relics. Jangot in this period was mainly used as a head-dress and made in colors such as green and blue. Most women wore jangot to cover their faces while going out, and some were depicted placing folded jangot on their head during outdoor activities. The lower part of jangot is so wide and luxuriant that the garment covers the whole body and creates a naturally-falling beautiful silhouette. A rectangular collar[mokpangit] is sewn inward from the edge of the garment, and a trapezoid cloth sewn to the center front line of bodice[seop] is used in size that is twice bigger than ordinary size to make the garment wider. Trapezoidal gussets[mu] are sewn along the sideline to create wider hemline[doreonseon], and triangular gussets[mu] are sewn under the armpits. Red violet color is used for collars, ribbons, and triangular gussets to adorn the garment with a different color than that is used for the bodice. Based on the study on jangot through literature and relics, five pieces of women’s coats were designed. Among jangot’s formative features, the rectangular collar, wide A-shaped silhouette, triangular gussets, and color arrangements were applied to modern coat designs. Both traditional-style materials and contemporary textiles were used. Black and grey, which are commonly used colors for coats, were used, mixed together with jangot’s unique color arrangement. Designing modern coats based on jangot holds a significant meaning as re-creation and modern application of traditional costume. I hope that more researchers will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clothing such as aesthetic and formative features of hanbok and modernize such garments so that more and more people would wear them in their daily liv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 목적 및 의의 1 B. 연구 범위와 방법 2 Ⅱ. 문헌과 회화에 나타난 장옷 3 A. 장옷의 유래와 착장방법 3 1. 장옷의 유래 3 2. 장옷의 착장방법 4 B. 장옷의 소재와 색상 6 1. 장옷의 소재 6 2. 장옷의 색상 8 Ⅲ. 장옷 유물 분석 11 A. 시기별 장옷 유물 분석 11 1. 16세기 장옷 11 2. 17세기 장옷 13 3. 18세기 장옷 14 4. 19세기 장옷 16 5. 20세기 장옷 18 B. 장옷의 조형 요소 분석 19 1. 깃 21 2. 소매 22 3. 무 24 4. 고름 25 5. 섶 27 Ⅳ. 장옷의 조형적 요소를 응용한 디자인 29 A. 제작의도 및 방법 29 B. 작품 해설 31 1. 작품 1-장옷 위에 당의 착장 응용 31 2. 작품 2-장옷의 목판깃 응용 36 3. 작품 3-장옷의 A라인 응용 41 4. 작품 4-장옷의 삼각무 응용 46 5. 작품 5-장옷의 A라인과 목판깃 응용 51 VI. 결론 56 참고문헌 58 ABSTRACT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9362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장옷[長衣]을 이용한 코트 디자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esigning Modern Coats Based on Jangot [長衣]-
dc.creator.othernameYu, Seul Gi-
dc.format.pagex, 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학과-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