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5 Download: 0

우드 무늬 인테리어 필름지의 인지속성과 감성특성 연구

Title
우드 무늬 인테리어 필름지의 인지속성과 감성특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gnitive attributes and the sensibility properties of the wood patterned interior films : Centered on the wood patterned floors
Authors
이설희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영경
Abstract
천연 소재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가 높아지면서 인공 소재를 통해 천연 소재의 색채와 질감을 살리는 친환경적 디자인 경향이 짙어지고 있다. 그래서 디자인의 모티브인 천연 소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원목마루를 구성하는 주요 인지 속성과 감성 특성을 조사하고 인테리어 필름지가 그 감성 특성을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서 필요한 주요 인지속성을 알아보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 공간의 원목 마루 바닥재로 주로 사용되는 Maple(메이플), Ash(애쉬), Oak(오크), Teak(티크), Walnut(월넛) 원목마루와 146개 우드 무늬 인테리어 필름지를 비교하여 수종별 주요 인지 속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표면 특성 – 감성 형용사 평가를 통해 5개 수종별 감성 특성을 조사하여 수종별 감성 특성 차이와 원목 패턴 바닥재의 공통 감성을 도출하였다. 셋째, 수종별 주요 인지 속성 조사 결과와 수종별 감성 특성 조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원목 패턴 바닥재의 인지속성과 감성특성 관계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주요 인지 속성 조사와 감성 특성 조사 결과로 나누고 이 둘을 비교 분석하여 종합한 결론을 제시하였으며, 먼저 원목 패턴 바닥재의 인지속성 조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종별 주요 인지 속성은 명도와 나뭇결로 확인되었다. 둘째, 수종별 인지 속성 간에는 우선순위가 존재한다. 셋째, 명도에 따른 수종별 특성은 Maple(메이플)은 고명도, Ash(애쉬)는 고·중명도, 고명도, Oak(오크)는 고·중명도, Teak(티크)는 저·중명도, Walnut(월넛)은 저·중명도 이다. 넷째, Ash(애쉬)와 Oak(오크)는 특색 있는 나뭇결로 인해 감성 특성의 특징을 보인다. 원목 패턴 바닥재의 감성특성 조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목 패턴 바닥재의 공통 표면 특성은 ‘은은한’ 색감과 ‘따뜻한’ 온도감이다. 둘째, 원목 패턴 바닥재의 공통 감성 특성은 ‘쾌적한’, ‘부드러운’, ‘안락한’, ‘정적인’ 감성이다. 셋째, 수종별 대표적인 표면 특성은 Maple(메이플)이 ‘매끄러운’, Ash(애쉬)가 ‘선명한’, Oak(오크)가 ‘불균일한’, Teak(티크)가 ‘따뜻한’, Walnut(월넛)이 ‘무거운’이다. 넷째, 수종별 대표적인 감성 특성은 Maple(메이플)이 ‘경쾌한’, Ash(애쉬)가 ‘생기 있는’, Oak(오크)는 ‘복잡한’, Teak(티크)와 Walnut(월넛)이 ‘중후한’이다. 인지속성 조사 결과와 감성특성 조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원목 패턴 바닥재의 인지속성과 감성특성 관계는 다음과 같다. 수종별 감성 특성 차이는 표면 특성의 차이에 따라 달라진다. 특히 명도와 나뭇결의 차이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인지 속성과 감성 특성이 천연소재의 대용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인공소재의 제품 디자인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해 본다.;As more people want to use natural materials, environment-friendly designs, which use artificial materials to optimize color and texture of natural materials, become trendy. For this reason, it is required to have some study on natural materials, which are the motifs of environment-friendly desig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in cognitive attributes and the sensibility properties of solid wood floors and to find the main cognitive attributes of interior films that are necessary to optimize the sensibility properties of the solid wood floors.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the main cognitive attributes for each wood were deduced by comparing 146 solid wood floors, such as maple, ash, oak, teak, and walnut that were mainly used for houses, with the wood patterned interior films. Second, using surface property-sensibility adjective evaluations, the distinctions among the sensibility properties of each wood and the common sensibilities of the solid wood floors were deduced by investigating five sensibility properties of each wood. Third, the relations between the main cognitive attributes and the sensibility properties were deduced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main cognitive attribute study and the results of the sensibility property study for each wood. Lastly, the results of the main cognitive attribute study and the results of the sensibility property study were separated. Then the combined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two were suggested in th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main cognitive attribute study of the wood patterned floors were as follows: First, lightness and the wood grains were found to be the main cognitive attributes for each wood. Second, there exists the priority order among the main cognitive attributes for each wood. Third, maple had ‘high lightness’ ash, ‘high/medium lightness’ or ‘high lightness’ oak, ‘high/medium lightness’ teak, ‘low/medium lightness’ and walnut, ‘low/medium lightness’. Forth, ash and oak woods showed the sensibility properties due to their unique wood grains. The results of the sensibility property study of the wood patterned floors were as follows: First, the wood patterned floors had ‘subdued’ and ‘warm’colors as their common surface properties. Second, the wood patterned floors had ‘pleasant’, ‘smooth’, ‘comfortable’, and ‘tranquil’ feelings (sensibilities) as their common sensibility properties. Third, the major surface property of maple was ‘smooth’ ash, ‘vivid’ oak, ‘irregular’ teak, ‘warm’ and walnut, ‘heavy. Forth, the major sensibility property of maple was ‘cheerful’ ash, ‘lively’ oak, ‘complex’ and teak and walnut, ‘dignified. From the comprehensive analyses of the results of the cognitive attribute study and the sensibility property study, the relations between the cognitive attributes and the sensibility properties of wood patterned floors could be summarized as below: The distinctions among the sensibility properties of each wood came from the distinctions among the surface properties of each wood. Specifically, the distinctions were heavily affected by lightness and the wood grains. Studies on artificial materials must be continued hopefully the deduced cognitive attributes and sensibility properties from this study would help developing product designs for artificial materials, which can replace natural materia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