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영경-
dc.contributor.author천지윤-
dc.creator천지윤-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4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49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5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493-
dc.description.abstract건축 계획에 있어 하나의 영역으로 자리 잡은 건물외관의 색채계획은 단순히 도료 중심의 계획에 머물렀던 것이 점차 외관형태에 알맞은 외장재의 사용으로 변화되고 있다. 효율성과 경제성만을 강조하던 과거에는 객관적인 기준 없이 경험에만 의존해 색채계획을 진행하였다면, 앞으로는 정량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간의 감성에 기반을 둔 색채계획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재료의 색채 특성에 따라 인간이 느끼는 감성도 변화할 것이므로 건축물 전체의 이미지를 고려한 본래의 의도와 용도에 맞는 재료의 선택이 요구된다. 건축 재료는 각각의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건축가나 색채계획자가 이 특성을 이해하고 있어야만 색채계획에서 적절한 재료의 선택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유리외관건축으로 연구 범위를 설정하고 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디자인적 요인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유리외관 색채계획 시 활용을 위한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 재료의 특성과 건축 외장재로서의 유리에 대하여 문헌적 고찰을 통한 이론 연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유리외관건축의 물리적 색차 분석을 위해 색채감성 평가도구를 살펴보고 감성평가요인에 대해 정의하였다. 둘째,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유리외관건축의 투과, 반사, 형태 등의 디자인속성과 감성이미지에 관한 실증 연구를 진행하였다. 투과율과 반사율, 물성과 거리에 따른 색채분석을 진행하였고, 설문을 통해 감성이미지 형성을 위한 디자인 요인을 분석하였다.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의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회귀분석-곡선추정 2차 그래프로 검증을 거쳤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리외관건축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명도에 영향을 미친다. 투과율이 높을수록 명도는 낮아지고 투과율이 낮을수록 명도는 점차 높아진다. 즉 유리외관건축의 색채계획 시 외관의 색을 어둡거나 혹은 밝게 표현하고 싶다면 유리제품의 투과율을 확인한다. 둘째, 유리외관건축의 가시광선 반사율의 속성은 채도에 영향을 미친다. 반사율이 높을수록 채도는 낮아지고 반사율이 낮을수록 채도는 점차 높아지는 변화를 나타냈다. 즉 유리외관건축의 색채계획 시 외관의 색을 선명하게 표현하고 싶다면 유리제품의 반사율을 확인한다. 셋째, 유리는 건축외관 적용 후와 거리가 멀어질수록 채도가 높아졌다. 특히 거리에 따른 특성이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근경-중경-원경 순으로 채도 값이 높아지는 분명한 변화를 보였다. 넷째, 유리외관건축의 디자인적 속성에 따라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감성이미지가 상이하였다. 반사율과 관련된 감성이미지는 ‘매끈한’, ‘모던한’, ‘최신의’, ‘미래적인’ 이며 높이의 감성이미지와 정확히 일치하였다. 투과율과 관련된 감성이미지는 ‘또렷한’, ‘견고한’, ‘완벽한’, ‘선명한’ 으로 너비의 감성이미지와 거의 일치하였다. 둘 다 영향력의 순위에는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유리외관건축의 감성이미지들 간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미래적인-모던한-최신의-매끈한’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졌으며 모두 반사율과 관계가 있다. ‘완벽한-선명한-또렷한-견고한’은 매우 높은 관계에 있으며 전부 투과율과 연관이 있었다. 여섯째, 유리외관건축의 색채계획 시 유리제품의 선택 단계에서 특정한 감성이미지 표현을 위한 디자인 속성별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는 객관적인 데이터에 근거한 디자인 제안으로 효과적인 색채계획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리의 물리적 특성에 근거한 색채 분석과 감성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제안된 디자인 적용 방안은 감성이 반영된 유리외관건축의 색채계획에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도시경관의 이미지 제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Color planning of the building exterior, established as an area of the architecture planning, is changing to the use of materials fitting for the exterior beyond the paint-centered planning. While color planning was done only depending on the experience without an objective criterion in the past efficiency and economics were emphasized, future color planning shall be done based on human sensibility with quantitative data. As human sensibility changes according to color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material has to be selected considering the entire image of a building and fitting for its original intention and use. Since architectural materials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selection of adequate materials is possible only when an architect or a color planner understands their characteristics. So,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view to groping for the color planning through setting a research range as the glass exterior architecture increasing rapidly and analyzing design factors influencing on the sensibility. This study was done as follows. Firstly, a theoretical study was conducted on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materials and glass of the architectural exterior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Besides, it examined assessment tools for the color sensibility and defined evaluative factors of the sensibility with a view to conducting the physical color analysis of glass exterior architecture. Secondly, based on the theoretical research,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on design attributes including transmittance, reflectance and the form of glass exterior architecture in addition to the emotional image. It performed the color analysis according to the transmittance, reflectance, physical properties and distance. Also design factors were analyzed for shaping an emotional image through a questionnaire. Using the statistical techniques including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verification was done by regression analysis-quadratic curve estimation graph.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in glass exterior architecture, transmittance of a visible ray has an effect on lightness. The higher transmittance is, the lower lightness is, and the lower transmittance is, the higher lightness is. In other words, when planning colors of glass exterior architectu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ransmittance of a glass product for expressing an exterior color bright or dark. Secondly, in glass exterior architecture, reflectance of a visible ray has an effect on chroma. The higher reflectance is, the lower chroma is, and the lower reflectance is, the higher chroma is. That is, when planning colors of glass exterior architecture, it is required to check reflectance of a glass product for expressing an exterior color vivid. Thirdly, it showed that chroma increases after applying glass to the building exterior and becoming more distant. Particularly, characteristics were distinct according to the distance, showing an obvious change that chroma value increased in a short-range view-medium-range view-distant view in order. Fourthly, according to design attributes of glass exterior architecture, it showed that emotional images having a significant effect are different. Emotional images related to reflectance are sleek, modern, the newest and futuristic, exactly corresponding to the emotional image of height. Also emotional images related to transmittance are distinct, solid, perfect and clear, almost corresponding to the emotional image of width. There were difference of the influence rank in both cases. Fifthly, it showed that there is a close correlation among emotional images of glass exterior architecture. Things futuristic-modern-the newest-sleek had a very close relationship, having something to do with reflectance in every case. Things perfect-clear-distinct-solid had a very close relationship, having something to do with transmittance in every case. Sixthly, this study suggested criteria by design attribute for expressing certain emotional image at the step of selecting a glass product when planning colors of glass exterior architecture. It is regarded that such a design suggestion based on objective data will be helpful for the effective color planning. This study conducted a color analysis based on physical properties of glass and examined relationship among factors influencing on the emotional image. Design application suggested is regarded to be used for color planning of glass exterior architecture reflecting the sensibility.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aising an image of the urban scener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Ⅱ. 이론적 배경 5 A. 건축 재료에 대한 이해 5 1. 건축 재료의 특성 5 2. 건축외장재의 감성 및 색채에 관한 연구사례 분석 8 B. 건축외장재로서의 유리의 성질과 종류 13 1. 유리의 물리적 성질 13 2. 외장재용 유리의 종류 14 C. 유리외관건축의 색채감성 특성 16 1. 색채감성 평가도구 17 2. 유리외관건축의 감성평가요인 18 Ⅲ. 유리외관건축의 색채 분석 23 A. 분석 대상 및 방법 23 1. 분석 대상 23 2. 분석 범위 24 3. 분석 방법 28 B. 투과율과 반사율에 의한 색채 분석 29 1. 투과율에 따른 색차 분석 30 2. 반사율에 따른 색차 분석 32 C. 물성과 거리에 따른 색채 분석 34 1. 외관 적용 전 후 색채 특성 분석 34 2. 거리별 색채 특성 분석 37 Ⅳ. 유리외관건축의 색채 감성분석 41 A. 연구 설계 및 방법 41 1. 연구 대상 및 설문 구성 41 2. 연구 내용 46 3. 분석 도구 및 방법 46 B. 요인별 감성형용사와의 관계분석 49 1. 투과율과 반사율 50 2. 높이와 너비 62 3. 형용사간 상관관계 71 C. 실증분석 결과 요약 및 제안 73 1. 결과요약 73 2. 디자인 적용방안 제안 78 Ⅴ. 결론 및 제언 87 참고문헌 91 부록 I. 설문지 93 Abstract 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043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유리외관건축의 감성 및 색채 특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ensibility & Color Characteristic of Glass Exterior Architecture-
dc.creator.othernameCheon, Ji Yun-
dc.format.pagexiii, 9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